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종부세, 매년 과세기준일 기준 납세의무 확정

2021.11.29 기획재정부
목록

기획재정부는 “종부세는 매년 과세기준일(6.1일)을 기준으로 납세의무를 확정한다”고 밝혔습니다.

11월 26일 조선일보 <새 아파트 가며 30년 살던 집 팔았는데…종부세 400만→1억 6,200만원>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1.11.26(금) 조선일보 “새 아파트 가며 30년 살던 집 팔았는데... 종부세 400만 → 1억 6,200만원” 기사에서

ㅇ “현행 종부세가 양도소득세나 취득세와 달리 ‘일시적 2주택자’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어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보도

[기재부 입장]

① 재산세, 종부세와 같은 보유세는 매년 부과·고지되는 세목으로 특정일(매년 6.1일)을 기준으로 주택소유 관계 및 납세의무자 확정이 필요합니다.

ㅇ 헌법재판소도 매년 6.1일을 기준으로 소유자를 확정하여 재산세를 과세하는 것은 헌법에 부합한다고 판시(2006헌바111, ‘08.9.25.)한 바 있습니다. 

ㅇ 일시적 2주택자의 상황을 고려하는 경우, 매년 6.1일에 납세의무를 확정하기 어렵습니다. 

* 종부세와 같은 보유세인 재산세도 일시적 2주택자를 고려하고 있지 않음

② 보유세인 재산세와 종부세의 과세기준일 6.1일은 ‘05년 종부세법 제정시부터 17년째 유지되어 왔으며,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입니다.

ㅇ 보도에서 언급된 사례의 경우, 만약 종전 주택(강남 소재 주택)을 ‘21.6.1일 전에 양도하였다면 신규 취득한 아파트(성동구)에 대해서만 1세대 1주택자(기본공제 11억원, 최대 80% 세액공제 적용)로 종부세를 부담하였을 것입니다.

③ 일시적 2주택자의 취득 주택을 종부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경우, 기존에는 종부세를 부담하던 주택이 과세대상에서 제외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 (예) ‘20년에는 종부세가 과세 되었던 주택이 해당 주택의 양도가 발생하면서 일시적 2주택자의 신규 취득 주택이 되어 종부세 과세대상에서 제외

ㅇ 또한 2주택자의 종부세 과세회피 수단으로 동 제도가 악용될 우려도 있습니다. 

ㅇ 보유세 특성상 일시적 2주택자에 대한 특례 적용(취득 주택 비과세)은 곤란하고 혼인, 부모 봉양을 위한 합가 등 꼭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합가에도 불구하고 일정 기간 별도 세대로 볼 수 있도록 규정하는 등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 혼인, 부모 봉양을 위한 합가에 대한 특례는 일시적 2주택과 달리 해당 주택이 과세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은 아니며 누군가의 주택으로 귀속

④ 특히, 언론의 보유세 급증 사례는 시가 약 43억원(공시가격 30억원)의 고가주택을 2채 보유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사례로서, 일반적인 사례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세제실 재산세제과(044-215-4310)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등유, 개소세 탄력세율 한도만큼 인하·적용 중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