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금융위·금감원,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공동조사 적극 추진

2022.02.16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목록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자본시장 불공정거래에 대한 금융위·금감원의 공동조사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월 16일 동아일보 <주가조작 활개치는데…금융당국 공동조사 4년째 헛바퀴>에 대한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동아일보는 2.16일 「주가조작 활개치는데... 금융당국 공동조사 4년째 헛바퀴」 제하 기사에서,

ㅇ “표면적으로는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 쟁점이지만 공동조사를 둘러싼 두 기관의 영역 다툼이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중략) 금감원이 개인정보 보호를 핑계 삼았고 금융위도 적극적인 방어에 나섰다는 것이다” 등의 내용을 보도하였습니다.

[금융위·금감원 입장]

□ 자본시장 불공정거래에 대한 금융위ㆍ금감원의 공동조사 제도는 2013년 금융위 자본시장조사단 설치와 함께, 금융위 조사공무원이 보유한 강제조사 권한과 금감원의 조사인력ㆍ경험을 활용하여 중요 사건에 대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ㅇ 그동안 금융위(자조단)와 금감원(조사국)은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척결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가운데, 공동조사 실시방안에 대하여도 지속적으로 협의해 왔습니다.

ㅇ 특히 2020.10.19일 「증권시장 불법행위 근절 종합대책」에 따라 공동조사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해 긴밀히 논의*해 왔으며,

* 조사ㆍ심리기관협의회(금융위ㆍ금감원ㆍ거래소ㆍ남부지검) 논의(’21.3.11, 4.27, 6.15, ’22.1.28.), 금융위ㆍ금감원 실무협의(’21.10.19, ’22.1.24.)

- 논의과정에서 제기된 개인정보보호 이슈도 최근 원만히 해결되었습니다.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법령해석(’22.1.11.) >

■사무위탁에 의한 조사 및 공동조사에 의하여 수집한 개인정보를 금융위와 금감원 상호간 공유하는 것은 소관 업무의 수행을 위하여 불가피하게 수집한 개인정보를 수집 목적의 범위 내에서 상대 기관에 제공하는 것이므로 법령상 상호간 개인정보 제공이 가능(법령상 민감정보 처리ㆍ제공도 가능)

□ 금융위와 금감원은 자본시장 불공정거래에 대한 집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의 일환으로 공동조사제도가 조속히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해 나가겠습니다.

< 공동조사 제도 >

■「자본시장조사 업무규정」에 따라 사건 조사과정에서 현장조사 및 압수ㆍ수색ㆍ심문 등의 강제조사가 필요한 경우 강제조사 권한을 보유한 금융위 조사공무원과 금감원 직원이 함께 조사를 실시하는 제도

■(선정절차) 금감원장이 특정사건에 대한 공동조사를 요청 등 → 조사ㆍ심리기관협의회 협의를 거쳐 증선위원장이 공동조사 대상으로 선정(자본시장조사 업무규정 §45)

문의 :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장代(02-2100-2544), 금융감독원 조사기획국(02-3145-558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월 16일 오늘의 바로잡는 언론보도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