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영역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2018.03.26 .
목록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과 끝은 ‘국민’입니다

조국 민정수석의 마지막 헌법개정안 발표. <권력구조 부분> 내용을 카드뉴스로 정리했습니다.

1. 선거제도 개혁, 정치개혁의 시작입니다.
선거연령을 18세로 낮추었습니다. 선거의 비례성 원칙을 헌법에 명시합니다.
선거운동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합니다.

2. 대통령의 권한을 분산하고 국회의 권한을 강화합니다.
대통령의 국가원수의 지위를 삭제합니다. 대통령 소속인 감사원을 독립기관으로 합니다.
국무총리가 책임지고 행정 각부를 통할합니다. 국회의 정부에 대한 통제권을 강화합니다.

3. 대통령 4년 연임제는 다수 국민의 뜻입니다.
국회 입법조사처가 발표한 각종 여론조사 결과, 4년 연임 또는 중임 대통령제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대통령 4년 연임제는 책임정치 구현과 안정된 국정 운영이 가능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4년 연임제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3. 사법의 민주화는 강화됩니다.
법관들이 헌법과 법률, 양심에 따라 재판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됩니다.
대법원장의 인사권을 분산하고 절차적 통제를 강화합니다.
국민의 재판 참여를 통해 사법의 민주화가 시작됩니다. 평시 군사재판을 폐지합니다.

4. 헌법재판소 재판관 구성을 다양화합니다.
사회 각계각층의 입장이 균형 있게 반영될 수 있도록 ‘법관 자격’을 갖지 않는 사람도 재판관이 될 수 있습니다. 대통령의 헌재 소장 임명권 조항을 삭제하여 헌재의 독립성을 높이고 합의제 기관의 기능을 강화합니다.

5. 헌법이 바뀌면 내 삶이 바뀝니다.
국민의 기본권과 국민주권은 확대되어야 합니다. 지방분권과 자치는 강화되어야 합니다.
불평등과 불공정은 없어져야 합니다. 새로운 대한민국의 기본 틀은 개헌으로 완성되어야 합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봄이 오면 걱정되는 미세먼지…OX 퀴즈로 알아봄!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