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닭아 닭아 미안한 닭아…울어다오, 새벽을 알려다오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민속학자)

2016.12.30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민속학자)
글자크기 설정
목록

닭이 회를 치면서 맵짠 울음을 뽑아
밤을 쫓고 어둠을 짓내몰아 동켠으로 훠언히 새벽이란
새로운 손님을 불러온다
 <윤동주-별동떨어진데>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민속학자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장(민속학자)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

닭과 계란 중 먼저인 것은? 암탉이 울면 망하는가? 닭은 기억력이 나쁜가? 닭갈비는 불필요한 것인가? 등등 참으로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들이 있다. 

닭과 계란의 선후에 관한 지루하고 해결되지 않는 논쟁에 빠지기 보다는 새벽이란 새로운 손님을 불러오는 닭 울음소리처럼 AI나 정치 사회적 문제들이 한순간에 밝음과 희망으로 바뀌기를 기원하자.

암탉이 울면 망하는 것이 아니고 계란을 낳았다는 기쁜 소식이다. 춘천 닭갈비가 유명한 것처럼 불필요한 존재가 아니다. 닭은 기억력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사람에게 조롱받을 만큼은 아니다.

미래를 예지하고 예고하는 서조(瑞鳥)

한반도에 언제 닭이 자생하게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고대부터 닭을 길렀던 것 같다. 문헌상에 삼한시대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훨씬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닭(민화,종이,125x54,국립민속박물관)
닭(민화,종이,125x54,국립민속박물관)

닭이 본격적으로 한국문화의 상징적 존재로 나타나게 된 것은 ‘삼국유사’에서 혁거세와 김알지의 신라 건국신화에서이다.

알영이나 김알지 같은 나라 임금이나 왕후가 나타날 때 서조(瑞兆)를 미리 보여 주는 새로 닭이 표현이 되어 있다.

천마총을 발굴했을 때 단지 안에 수십 개의 계란이 들어 있었고, 여러 고분에서 닭뼈가 발견된다. 능 속에 계란과 닭 뼈가 들어 있었던 것은 저 세상에 가서 먹으라는 부장식량일 수고 있고, 알 속에서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듯이 재생·부활의 종교적인 의미로 해석해 볼 수 있다.

계명성(鷄鳴聲)의 시보(時報)

닭울음은 천지개벽을 다룬 제주도 무속신화 천황 본풀이 서두에서는 혼돈(chaos)에서 질서(cosmos)로의 이행이라는 우주적 차원의 질서를 예고한다.

김알지 신화에서는 나라를 통치할 인물이 탄생했음을 알리며, 흰닭은 빛의 상징으로 자연상태의 사회에서 국가적 체계를 갖춘 단계를 예고한다.

닭은 울음으로써 새벽을 알리는, 빛의 도래를 예고하는 존재이다. 예고내용이 빛이기 때문에 닭은 태양의 새이다. 닭울음은 다양한 상징을 내포하고 있다.

닭(민화,종이,목단,105x41,국립민속박물관)
닭(민화,종이,목단,105x41,국립민속박물관)

닭의 울음은 때를 알려주는 시보(時報)의 역할을 한다. 시계가 없던 시절 새벽시간은 닭의 울음소리로, 날씨가 흐린날이나 밤시간은 닭이 횃대에 오르는 모습을 보고 시간의 흐름을 파악했다.

유시(酉時)를 오후 5시에서 오후 7시로 배치한 것도 바로 닭이 횃대에 오르는 시간에 맞춘 것이라고 한다.

특히 흐린 날 오후 주부들의 저녁시간 가름은 닭의 이러한 행동을 보고 알았다. 수탉은 정확한 시각에 운다. 그래서 그 울음소리를 듣고 날이 새었는지를 알 수 있었고, 조상 제사를 지낼 때는 바로 이 닭울음소리를 기준으로 뫼를 짓고 제사를 지냈다. 

닭은 태양이 뜨는 때를 아는 예조의 능력을 지니고 있다. 닭이 동틀 때와 해질 때를 미리 선언하고 행동한다.

여명(黎明)과 축귀(逐鬼)의 닭

닭은 울음으로써 새벽을 알리고, 빛의 도래를 예고하는 동물이다. 닭이 울면 새벽이 온다.

사람들은 닭울음소리와 함께 새벽이 오고 어둠이 끝나며, 밤을 지배하던 마귀나 유령도 물러간다고 생각했다.

1
닭의 태양 관련 상징성은 그 자체 속에 신성성을 함축하고 있다. 그리고 닭은 귀신을 쫓아내는 축귀(逐鬼)의 능력이 있다. 닭은 빛을 불러오면서 액을 물리치는 여명과 축귀의 상징이다.

닭그림은 세화(歲畵)로서 호랑이, 용, 개, 사자 그림과 같이 정초에 액을 없애고 복을 부르는 의도로 그려져 대문이나 출입구에 붙였다. 축귀와 벽사의 동물로 닭을 상정한 것이다.

입신출세와 부귀공명, 자손번창의 상징

조선시대에 학문과 벼슬에 뜻을 둔 선비은 서재에 닭그림을 걸었다.

닭은 입신출세와 부귀공명의 상징한다. 닭 볏은 관(冠)을 쓴 모습이다. 관은 학문적 정상과 벼슬을 하는 것과 같다.

특히 닭의 볏과 벼슬은 같은 발음이다. 닭과 함께 맨드라미, 모란을 함께 그린다. 닭의 볏과 맨드라미의 모습이 비슷하다. 이는 관 위에 관을 더하는 것으로 최고의 입신출세를 의미한다.

모란은 부귀를 상징하고, 수탉이 길게 우는 모습은 공명을 의미하다. 수탉, 즉 공계(公鷄)의 ‘公’과 ‘功’, 길게 운다는 ‘鳴’과 ‘名’의 음이 같은 데서 착안해 공명(功名)이 된다. 수탉이 모란과 만나면 부귀공명을 기원하는 의미가 된다.

봄날 갓 깨어난 병아리가 어미 닭의 보살핌을 받고 있는 그림이 있다. 이는 오복(五福)가운데 하나인 자식 복을 염원하는 것이다. 닭그림은 이처럼 입신출세와 부귀공명·자손번창을 기원하면서 선비의 서재에 걸었던 것이다.

한 시대의 시작을 상징하는 서곡(序曲)

닭은 흔히 다섯 가지 덕을 지녔다고 흔히 칭송된다.

이는 옛 중국의 전요(田饒)라는 이가 노나라 임금 애공(哀公)에게 이야기하는 가운데 임금이 갖추어야 할 덕을 비유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즉 닭의 벼슬(冠)은 문(文)을, 발톱은 무(武)를 나타내며, 적을 앞에 두고 용감히 싸우는 것은 용(勇)이며, 먹이를 보고 꼭꼭거려 무리를 부르는 것은 인(仁), 때를 맞추어 울어서 새벽을 알림은 신(信)이라 했다.

1

닭은 보양자(保養子)하고 가족의 보호와 생활권을 위해서 용감하게 투쟁하고 시간의 흐름, 세상의 변화를 판단하는 서조(瑞鳥)이다.

캄캄한 어둠 속에서 여명(黎明)을 알리는 닭은 상서롭고 신통력을 지닌 서조(瑞鳥)로 여겨져 왔다. 밤에 횡행하던 귀신이나 요괴도 닭 울음소리가 들리면 일시에 지상에서 사라져 버린다고 민간에서는 믿고 있었다.

새벽을 알리는 우렁찬 닭의 울음소리! 그것은 한 시대의 시작을 상징하는 서곡(序曲)으로 받아들여졌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정책칼럼, 이슈인사이트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필자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제136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외부 정책칼럼, 이슈인사이트 내용은 기고자 개인의 견해로 정부의 정책 방향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젊은 인재상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