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진기 국립전주박물관장 |
2020년 새해는 경자년 흰색 쥐띠해다.
‘경자(庚子)’는 ‘십간십이지(十干十二支)’로 연도를 표기한 것이다. 경(庚)은 십간(十干)의 일곱 번째로 방위로 서쪽, 오방색으로 흰색에 해당된다. 자(子)는 십이지의 첫 자리로, 방위로 정북(正北)을, 달로 음력 11월을, 시간으로는 오후 11시부터 오전 1시다.
‘띠’는 사람이 태어난 해를 십이지로 상징하는 동물이다. 쥐띠는 갑자[甲子, 靑], 병자[丙子, 赤], 무자[戊子, 黃], 경자[庚子, 白], 임자[壬子, 黑]의 순으로 60갑자를 순행한다.
그러므로 요즘 같이 한 해를 색으로 이야기한다면 ‘경’이 오방색으로 흰색에 해당되니, 내년 경자년은 ‘흰 쥐띠’해다.
![]() |
동해안 일출을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간절곶에서 흰 쥐 조형물 너머로 해가 뜨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쥐는 역사 속에서 다양한 문화적 표상으로 나타난다.
가야 지역에서 출토된 창고형 고상 가옥의 가형토기에는 쥐와 고양이가 장식되어 있다. 곡식 창고에 올라오는 쥐 두 마리를 노려보고 있는 고양이의 모습으로 보아 예나 지금이나 곡식 창고나 뒤주의 주인은 쥐였다.
통일신라 이후 쥐는 십이지의 하나로 능묘와 탑상, 불구, 생활용품 등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으며, 조선시대 쥐그림은 들에서 수박이나 무를 갉아먹는 모습을 많이 그렸다.
특히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수박과 쥐그림’에는 수박의 빨간 속살 앞에서 씨앗을 먹고 있는 쥐 한 쌍이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 여기서 수박은 씨가 많으므로 쥐와 함께 다산(多産)과 풍요를 의미하고, 한 쌍의 쥐는 부부 사랑도 상징한다.
또 다른 오브제인 무의 경우 <시경 詩經> 제1편 국풍 곡풍(國風 谷風)에서는 부부의 백년해로를 표현하고 있다. 무는 아래 위를 다 먹을 수 있으니, 뿌리만 먹고 잎새는 맛이 없다고 내버리지 않는다는 의미다.
더불어 부인이 나이 들어 얼굴이 시든 것만 생각하고, 소싯적 함께 고생했던 일이나 아내의 미덕까지 잊어버리고 딴 여자에게 눈길을 돌리면 안 된다는 뜻이다.
이런 즉, 쥐와 함께 수박과 무가 그려진 그림은 부부애와 다산의 상징으로 읽을 수 있다.
![]() |
신사임당이 풀과 벌레 등을 소재로 그린 ‘초충도(草蟲圖)’. (그림=국립중앙박물관) |
쥐의 또 다른 상징은 다산왕이며 미래를 예언하는 예지력을 가진 동물이다.
고구려 유명한 추남과 조선의 점쟁이 홍계관은 상자 속에 들어 있는 쥐의 수를 맞추지 못해서 죽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암컷 쥐의 뱃 속에 새끼가 들어 있어서 정확히 맞춘 것이다.
이처럼 쥐는 생태적으로 언제나 임신이 가능하여 새끼를 배고 있다. 즉, 겉으로는 실제 수를 맞히기 어렵고, 그것은 결국 다산의 상징으로 통했다.
한편 삼국사기 신라본기 권제9 혜공왕 5년조에 보면 “치악현에서 8000여 마리나 됨직한 쥐 떼가 이동하는 이변이 있고, 그 해 눈이 내리지 않는다”라는 글이 있다.
이와 같이 쥐는 자연의 이변이나 닥쳐올 위험을 예감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알려져 있다. ‘쥐가 배에서 내리면 폭풍우가 온다’거나 ‘쥐가 없는 배는 타지 않는다’는 속담에서도 쥐의 이런 신통한 능력을 이야기한다.
또한 쥐는 정보화(IT)시대의 안성맞춤 캐릭터다.
함경도 지방의 창세가(創世歌)에는 불과 물의 근원을 알려준 생쥐 이야기가 나온다. 아주 옛날 세상이 만들어질 때 미륵이 태어나 해와 달을 이용해 별을 만들고 자신의 옷을 만들었다.
그런데 물과 불의 근원을 알지 못해 날곡식을 먹었고, 생쥐가 물과 불의 근원을 미륵에게 알려주는 댓가로 세상의 모든 뒤주를 차지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 <황금구슬>이라는 옛 이야기에서는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한 쥐가 나온다.
잉어를 놓아준 대가로 얻은 황금구슬로 부자가 된 노부부가 나쁜 할머니에게 속아 황금구슬을 도둑맞자 그 집의 개와 고양이가 황금구슬을 되찾으러 나선다. 그리고 그 나쁜 할머니 집에서 대왕 쥐를 잡아 정보를 캐내어 구슬을 찾는다는 이야기다.
여기서 몸집은 작지만 어느 곳이나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많은 정보를 알고 있는, 조그만 정보체로 여겼던 조상들의 쥐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다.
![]() |
통일신라 전민애왕릉에서 출토된 납석제십이지상 중 쥐. (사진=국립중앙박물관) |
앞서 기술했듯이 쥐는 문화적으로 재물과 다산, 풍요기원의 상징이며 미래의 일을 예시하는 영물이다.
하지만 사람에게 쥐는 결코 유익한 동물이 아니다. 생김새가 얄밉고, 성질이 급하고 행동이 경망한데다 좀스럽기까지 하다. 게다가 진 데 마른 데 가리지 않고 나돌며 병을 옮기고, 집념이 박하고 참을성 없고 시행착오가 많다.
더욱 혐오스러운 것은 양식을 약탈하고 물건을 쏠아 재산을 축낸다. 백해무익한 동물이다. 다만 한 가지 쓸모가 있다면 의약의 실험동물로서의 공헌이랄까.
그러나 이것은 사람의 입장에서 본 것일 뿐, 자연계의 일원으로서의 쥐는 나름대로 그 존재 의의가 자못 크다. 이런 즉 2020년 경자년 새해에는 자기중심적으로 치우치지 말고, 편견 없이 온 세상 모두 평화로 공존하기를 기원한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136조(벌칙)
-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 및 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아직 익숙하지 않은 수소에너지, 안전한가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