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한글박물관 드디어 ‘첫 삽’을 뜨다

정재환 방송사회자·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2011.07.13 정재환 방송사회자·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글자크기 설정
목록
1
 
‘삽질한다’는 말은 누군가가 엉뚱한 일을 벌일 때 조롱하듯 하는 말이다. 큰 맘먹고 보람찬 일을 좀 하려는데 삽질한다거나 삽질하지 말라거나 하는 소리를 들으면 맥이 탁 풀린다. 무심코 던지는 ‘삽질하고 있네!’란 말은 왠지 ‘지랄하고 있네!’처럼 들려서 몹시 불쾌하기도 하고 기가 팍 죽기도 한다. 어떤 이는 ‘삽질한다’가 자기 무덤을 스스로 파는 것이라는 아주 무시무시한 설을 풀기도 하지만, 그러나 삽질에는 그렇게 부정적인 뜻만 있는 것은 아니다.

초등학교 3학년 때 낡은 집을 허물고 새 집을 지었다. 공사를 시작하던 날 건축업자였던 아버지는 손수 첫 삽을 떴다. 그 동안 남의 집만 짓다가 우리 집을 짓는 대 역사였으니 감회가 남달랐을 것이다. 누가 봐도 날아갈 듯 가볍고 춤추듯 신명나는 삽질이었을 것이다. 아버지는 튼튼하고 멋진 집을 짓기 위해 벽돌 한 장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고, 난 하루가 다르게 높아지는 담벼락을 바라보며 가슴이 설레었다.

아버지는 첫 삽을 뜬 이후로도 일꾼들과 함께 구슬땀을 흘렸고, 어머니도 새참을 내거나 일꾼들 시중을 들며 공사판을 지켰다. 일꾼과 집주인이란 구별이 따로 없었다. 모두 하나가 되어 기둥을 세우고 벽을 쌓았다. 삽질을 시작하고 얼마 후 장마가 시작되어 자주 공사가 중단되었었지만 다행히 추위가 닥치기 전에 새 집으로 이사할 수 있었으니 참으로 고마운 일이었고, 새 집으로 이사한 첫날의 감격은 어린 마음에도 아주 오래도록 잊히지 않았다. 어른들은 막걸리를 마시고 아이들은 돼지머리와 떡을 씹으며 온 동네가 집이 완공된 걸 축하하고 기뻐했다. 그리고 그 날은 밤늦도록 이상하게 잠이 오지 않았다.

새 집이라 모든 게 다 깨끗해서 좋았고, 더 이상은 밤에 화장실 가는 걸 무서워하지 않아도 되었다. 새 책상도 들어와 흥분도 했지만, 왠지 밥도 더 맛있었고 잠자리도 더 편안했다. 비록 작지만 소중하고 편안한 우리 집에서 난 자라났고 조금씩 철이 들었으며 이런저런 꿈을 꾸었다. 물론 그 때 꾸었던 꿈들은 지금 내 모습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지만, 그 집은 포근한 보금자리였고 온갖 상상력과 꿈을 키워준 소중한 장소였다. 그래서 ‘삽질’에 대한 유년의 내 기억은 아주 달콤하고 건설적이며 희망적이다.

7월 13일 수요일 아침, 용산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바로 옆에서 한글박물관을 짓는 첫 삽을 뜬다. 만시지탄이지만 그래도 역사적이고 감격적인 일이다. 한글의 나라 대한민국에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을 있게 하는 대 역사다. 짚신박물관에서 옹기박물관까지 온갖 박물관이 다 있지만 정작 한글박물관이 없었다는 믿기 어려운 현실은 곧 과거가 될 것이다. 한글박물관이 들어서면 대한민국의 국격은 한층 더 높아질 것이다.

2012년에 완공될 한글박물관은 덩치가 큰 박물관은 아니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아담한 자태를 띨 것이다. 하지만 규모는 작아도 그 안에 들어설 전시, 체험, 학습 등의 공간은 박물관을 찾은 모든 이들에게 지식과 정보와 즐거움과 기쁨과 휴식과 행복과 꿈을 줄 것이다. 한글박물관은 우리 문화의 정수인 한글을 만날 수 있는 소중한 장소가 될 것이고 대한민국의 상징이 될 것이다.

한글박물관을 찾는 외국인들은 세종의 한글 창제에 감탄할 것이고 우리가 오랜 역사를 지닌 문화 국가임을 실감할 것이다. 한글박물관은 우리의 자랑이 될 것이고, 국내외를 막론하고 만인에게 사랑받는 명소가 될 것이다. 후손들은 한글박물관에서 마음껏 뛰놀며 자긍심과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다. 희망찬 한글의 미래를 생각하고 한글로 이룩할 행복한 미래와 선진 문화 국가 대한민국을 꿈꿀 것이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정책브리핑의 기고, 칼럼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필자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제136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MRO와 동반성장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