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자장면’도 좋고 ‘짜장면’도 좋다!

정재환 방송사회자·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2011.09.26 정재환 방송사회자·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글자크기 설정
목록
1
 
8월 초 한 잡지와 인터뷰를 했는데 어느 분의 블로그에 인터뷰 기사가 오른 것을 발견했다(8월 27일). 그런데 얘기가 좀 잘못 전달된 부분이 있었다.

“저는 자장면이라고 방송에서 발음하고, 글을 씁니다. 그게 맞으니까요. 그렇지만 일상적으로 말할 땐 ‘짜장면 먹자’고 말해요. 어쩔 수 없는 거거든요. 말은 규범을 정할 수는 있지만 강제할 수는 없어요.”

어, 이게 아닌데, 방송할 때나 글을 쓸 때는 ‘자장면’이라고 하고 중국음식점에 가서는 ‘짜장면’을 시켜 먹는다니, 이 얼마나 우스운 인간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보다도 사실과 다른 것이 난 분명히 아래와 같이 말했다.

“저는 일상적으로도 자장면이라고 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짜장면이라고 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곧 기자에게 기사를 수정해 달라는 문자를 보냈더니 주말이라 당장 수정이 어려워 월요일에 고치겠다는 답장이 왔다. 마음 같아서는 당장 고쳐달라고 하고 싶었지만 어쩔 수 없었다. 이런 소동을 겪으면서 자장면에 대해서 다시 생각을 했고 그 단상을 재잘터에 올렸다.

“자장면은 내 아킬레스건이다. 사람들이 자장면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자장면과 짜장면을 복수표준어로 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겠지만 그 또한 쉬운 일은 아닌 것 같다.” (재잘터 8월 27일 11시 13분.)

화요일 오후까지도 기사가 고쳐지지 않아 담당 기자에게 다시 부탁한다는 문자를 보냈다. 그런데 31일 수요일에 뜻밖의 뉴스가 나왔다. 짜장면을 복수표준어로 인정한다는 것이었다. 잠시 생각을 정리한 후 재잘터에 글을 올렸다.

“국립국어원에서 짜장면을 복수표준어로 인정했다. 이제 자장면도 좋고 짜장면도 좋다. 뭐든 좋다.” (재잘터 8월 31일 15시 8분.)

그러고는 기자에게 다시 문자를 보내, 짜장면을 복수표준어로 인정한다는 발표가 났지만 그래도 기사는 꼭 고쳐달라고 부탁했다. 결국 문제의 기사는 그 후에야 “저는 일상적으로 자장면이라고 말하고 씁니다. 다른 사람들이 짜장면이라고 하는 것은 어쩔 수 없어요.”라고 수정되었다.

갑작스럽기는 하지만 자장면과 짜장면의 갈등은 이렇게 해소되었다. 자장면과 짜장면뿐만 아니라 먹거리, 맨날, 내음, 나래, 복숭아뼈 등 39개 낱말이 복수표준어가 되었다. 앞으로는 교육용어, 행정용어, 방송과 언론 등에서도 마음껏 쓸 수 있게 되었다. 당연한 사실이지만 자장면, 먹을거리, 만날, 냄새, 날개, 복사뼈 등도 전과 변함없이 마음껏 쓸 수 있다.

이번 복수표준어 사정의 의미는 언어 현실을 적극 반영한다는 것이지만, 규범을 지키지 않은 사람들의 손을 들어준 결정이기도 하다. 먹을거리와 복사뼈를 열심히 지켜온 이들은 좀 허탈하지 않을까? ‘규범’이란 게 그렇지만 특히 강제할 수 없는 언어규범이란 언중이 스스로 지킬 때만이 그 가치를 잃지 않는다.

또 하나는 여전히 표준어로 인정받지 못한 말들과의 형평의 문제인데, 이것은 이번 조치로 모든 것이 다 해결되지는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쭈꾸미, 아구찜, 한켠, 방구, 애기, 바램, 챙피, 곰팽이 같은 말들도 언중이 선호하기는 39개 못지않지만 왜 빠졌는지 아리까리(아리까리도 표준어가 아니다)하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정책브리핑의 기고, 칼럼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필자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제136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청명한 가을, 금강소나무숲으로의 초대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