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냉정과 열정사이’ 가면에 가린 현대인의 초상

[변종필의 미술 대 미술] 엔소르 VS 보쉬

2016.12.14 변종필 미술평론가
글자크기 설정
목록

벨기에 출신의 화가 제임스 엔소르(James Ensor,1860-1949)는 ‘가면의 화가’로 불린다. 작품 전반에 가면을 소재로 한 작품이 많아서 붙여진 별칭이다.

그의 작품 중 50여 개의 각양각색 가면이 화면을 빼곡히 채우고 있는 <가면과 함께 있는 자화상>은 독특한 화면 구성으로 유명하다. 원근법을 적용한 가면 행렬들은 마치 화면 밖까지 이어지는 느낌을 준다.

그림 전체에 얼굴만 가득히 채운 독특한 화면구성은 일찍이 15세기 북유럽 르네상스 시대에 독창적 화면구성과 표현기법으로 유명한 히로니무스 보쉬(Hieronymus Bosch)의 <십자가를 지고 가는 그리스도>라는 작품에서 시도된 구도이다.

평행선 없이 밀집된 머리로만 구성한 대담한 시도의 이 그림은 보쉬의 작품 중 극히 예외적인 그림으로 손꼽힌다.

같은 주제를 다룬 보쉬의 다른 그림과 비교하면 동일 작가의 작품이 맞는지 의심들만큼 파격적이다. 원근법을 무시하고 여러 각도의 얼굴만을 중첩했다. 수만 군중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곳에서 특정 인물(그리스도)에 초점을 맞춰 클로즈업한 느낌이다. 

좌: 보쉬 <십자가를 지고 가는 그리스도> 1515-16, 나무판에 유채, 74×81cm 헨트미술관, 벨기에  우 : 엔소르 <가면과 함께 있는 자화상, Self-potrait with Masks> 1899, 캔버스에 유채, 120×80cm 메나드미술관, 일본
좌: 보쉬 <십자가를 지고 가는 그리스도> 1515~16, 나무판에 유채, 74×81cm 헨트미술관, 벨기에 / 우 : 엔소르 <가면과 함께 있는 자화상, Self-potrait with Masks> 1899, 캔버스에 유채, 120×80cm 메나드미술관, 일본

<가면과 함께 있는 자화상>과 <십자가를 지고 가는 그리스도>는 상황은 다르지만, 표현기법과 내용, 작품의 내적인 의미 부분에서 비교할만한 요소들이 있다.

선악의 구분이 명확했던 시대의 화가와 선악의 구분보다는 개인적 성취에 관심이 많았던 화가가 바라본 세상은 분명하게 다르다.

보쉬가 종교적 관점에서 인류를 위해 고행의 길을 선택한 그리스도의 고난을 다뤘다면, 엔소르는 자기중심적 측면에서 인간의 무관심과 이중성을 ‘가면’이라는 소재에 대입하여 표현하는 것을 핵심으로 삼았다.

선과 악 VS 악과 추

15세기 유럽은 기독교 신앙에 따른 선(善)과 악(惡)의 대조가 뚜렷했다.

이 영향으로 보쉬는 기독교 신앙에 바탕을 둔 그림을 통해 선과 악을 명확히 구분 지었다. 특히 악을 추(醜)와 동일시하여 표현했다.

악의 형상은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을 만큼 추악한 모습이라는 생각했다. <십자가를 지고 가는 그리스도>그림에서 그리스도, 베로니카, 시몬(구레네 사람-십자가를 양손으로 받치고 있음)을 선으로 표현하고, 그 밖의 사람들은 예수의 왼쪽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나쁜 도둑(화면 오른쪽 아래)처럼 흉측한 몰골을 한 악의 무리로 표현했다. 한마디로 ‘악은 추하다’라는 모델을 제공하듯 그렸다. 

그림 속 추한 인물들 사이에서 돋보이는 것은 화면 중앙의 그리스도이다.

혼란스럽고 풍자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절대 흔들리지 않는 평온한 얼굴을 하고 있다. 이는 보쉬의 같은 주제를 다룬 두 작품보다 숙연한 얼굴이다.

추악한 주변 인물과 극한 대조를 통해 그리스도의 모습을 한층 성스럽게 느끼도록 했다. 그리고 왼쪽 아래 끝의 베로니카의 수건에 찍힌 화상으로 이 그림을 마주하는 사람에게 그리스도가 행한 기적의 순간들을 믿게 유도하고 있다.

궁극에 <십자가를 지고 가는 그리스도>는 인간 대신 십자가를 짊어진 그리스도의 고행이 악의 승리가 아님을 말한다.

보쉬 <십자가를 지고 가는 그리스도>시리즈 ‘그리스도 얼굴’부분. 나무판에 유채 좌: 1480s. 중간:1515-16. 우: 년도미상
보쉬 <십자가를 지고 가는 그리스도>시리즈 ‘그리스도 얼굴’부분. 나무판에 유채 좌: 1480s. 중간:1515-16. / 우: 연도미상

엔소르 시대에는 보쉬 시대처럼 선과 악의 구분이 명확하지는 않았다.

악을 반드시 추와 동일시하지도 않았다. 여기에는 18세기 말부터 유럽에 불기 시작한 낭만주의 열풍(예, 빅토르 위고의 ‘노틀담의 꼽추’)과 무관하지 않다. 현실에서 인간이 겪는 비합리적인 감정과 폭력들이 예술의 주제로 등장하며 예술의 도덕적 벽이 무너졌다.

추가 미적 범주로 인정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엔소르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그로테스크한 군중의 이미지는 여전히 악에 가까웠다.

그가 군중을 악에 가까운 추한 모습으로 묘사한 것은 개인적인 이유가 더 컸다. 엔소르에게 화가라는 직업은 생활의 윤택함과는 거리가 멀었다.

40대 후반에 이르러 대중적 인기를 얻기까지 그의 작품은 비판의 대상이었다. 동료와 평론가의 비판도 아픔이었지만, 무엇보다 현실과 동떨어진 생활로 인생을 소비한다는 가족의 싸늘한 시선(아버지는 예외)과 냉대를 견뎌야 했다.

이렇듯 엔소르는 화가로서 무시와 멸시를 당할 때마다 그리스도가 처했던 고행의 순간을 떠올렸다. 그림 속 상황은 다르지만, 성난 군중에 둘러싸인 그리스도를 보면서 자신의 처지를 예수와 동일시한 경향이 짙다.

구세주를 몰라본 대중의 무지함이 예수를 죽음에 이르게 했듯이 자신의 예술적 가치를 몰라보는 대중 때문에 불행한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했다. 그에게 가족과 대중은 좋은 것과 나쁜 것, 가치 있는 것과 무가치한 것을 구별하지 못하는 무감각한 대상일 뿐이었다.

그 결과 가면과 해골로 진부한 일상을 소일하는 대중의 모습으로 표현하고, 당시 사회는 무감각하고 무감정인 인간들의 집합소쯤으로 묘사했다. 섬뜩하고 추악한 몰골들 가운데 자신만을 온전한 인간으로 표현함으로써 현실에서 외면당한 자신을 위로했다.

인간은 누구나 자기 뜻과 다르게 사람에게 외면당할 수 있다. 그런데 이때 당사자는 군중심리와 달리 자기중심적 사고에 갇힐 수 있다. 자신의 잘못보다 진정 가치 있는 것을 알아보지 못한다며 사람들의 무지함을 탓하기도 한다. 엔소르가 그랬다.

그는 예술가로서 능력을 알아주지 않는 대중을 무생명의 가면으로 표현하는 오만함을 통해 자신을 인정하지 않는 시대를 풍자했다. 화가로서 자존심을 지키기 위한 일종의 자기방어였던 셈이다.

TIP : 보쉬 VS 엔소르
보쉬의 생애는 독특한 그림세계만큼 수수께끼로 가득하다. 언제 태어나고, 누구와 친분이 있으며, 취미는 무엇이고, 누구를 위해 그림을 그리고, 어느 곳을 주로 여행했는지 등 그에 관한 삶의 행적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1480년부터 화가로 활동하기 시작했지만, 그림을 생업으로 삼지 않았고, 궁핍한 삶은 아니었다는 정도만 전해진다. 삶은 철저히 베일에 가려졌지만, 그의 그림은 네덜란드 화가 피터르 브뤼헐을 비롯해 초현실주의 작가 등 후대 화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엔소르 역시 영향을 받은 화가 중 한 명이다.  엔소르는 화단과 사회의 무시를 견디지 못해 한때 붓을 꺾을 만큼 힘든 시기도 보냈다. 20세기에 접어들어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생활형편이 나아졌다. 말년에 벨기에 국왕에게서 남작 작위와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도뇌르 훈장을 받으며 벨기에 최고의 화가로 인정받았다. 자기중심적이던 엔소르는 제자를 두거나 특정 화파에 소속되는 것을 멀리했지만, 그의 표현주의 화풍은 에밀놀데, 파울 클레와 같은 유명작가를 매료시켰다.

* 참고문헌 및 추천도서 : 김진희 『서양미술사의 그림 VS 그림』 윌컴퍼니. 2016 / 박흥순 지음 『미술관 옆 인문학』 서해문집. 2011

 

변종필

◆ 변종필 미술평론가

문학박사로 2008년 미술평론가협회 미술평론공모에 당선, 200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부문에 당선됐다. 경희대 국제캠퍼스 객원교수, 박물관·미술관국고사업평가위원(2008~2014.2)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원 겸 편집위원, ANCI연구소 부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학출강 중이다.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정책칼럼, 이슈인사이트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필자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제136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외부 정책칼럼, 이슈인사이트 내용은 기고자 개인의 견해로 정부의 정책 방향과 다를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민·관·공 손잡고 ‘원스톱 에너지복지요금’ 실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