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페미니즘 비평에서 퀴어영화까지

[영화 A to Z, 시네마를 관통하는 26개 키워드] ⓠQueer cinema(퀴어영화)

2020.08.14 이지현 영화평론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처음으로 ‘여성영화’라는 개념이 등장한 것은 1970년대로, 정신분석학이 유행하던 시기였다. 기본적으로 정신분석학은 ‘관점’을 언급하는데, 이는 곧 ‘여성의 관점’과 ‘남성의 관점’으로 세분화되었다.

따라서 영화제작자의 입장에서 어떤 영화를 ‘남성중심적’이라고 말하려면, 이와 비교해 ‘여성용 영화’라거나 ‘여성혐오적인 영화’ 같은 것이 존재하는지도 함께 검토해야 했다.

폐쇄적이고 지역화된 학문이었지만, 이론가들의 입장에서 페미니즘은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번졌다.

먼저 미국을 중심으로 영미권 국가들은 ‘성적인 차이를 제도상에 어떻게 기입할 것인지’를 논의했다. 비교적 학문적인 접근이다.

이와 달리 프랑스를 비롯한 라틴계 국가들은 ‘인간 개인에 대한 인권’과 실생활에서의 ‘보편적인 성문제’에 파고들었다. 사회적인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페미니스트 영화 운동은 미국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지난해 10월 26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열린 제2회 광주퀴어문화축제에서 참가자들이 성소수자를 상징하는 무지갯빛 깃발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지난해 10월 26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열린 제2회 광주퀴어문화축제에서 참가자들이 성소수자를 상징하는 무지갯빛 깃발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젠더퀴어의 등장

1970년대 영화잡지 <스크린>의 평자들은 영화 속 여성의 이미지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점을 꼬집었다. 이들이 보기에 여성 캐릭터는 대개 성녀나 어머니, 팜므파탈 등으로 정형화되어 있었다.

당시 미국의 페미니즘 이론가들은 3가지 방법으로 문제 해결책을 고민했는데, 첫째로 정신분석학을 이용한 ‘시선 분석’ 방식을 들 수 있다.

내러티브 진행에서 여성의 시선이 중요하다고 이들은 언급했고, 시각적인 표현도 이전과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둘째, 널리 알려진 ‘텍스트 분석’ 방법이 이 과정에서 이용되었다.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하에서 억압된 여성 캐릭터를 통해 ‘사회의 징후 읽기’라는 새로운 비평 패턴이 당대에 등장했다.

셋째, 포스트모던한 ‘해체주의’가 여성주의와 만났다. 기존에 알려진 ‘여성적 특성’이 생물학적으로 필연적인 분류가 아니라고 이들은 설명했다. 따라서 여성의 정체성을 해체하는 작업이 진행됐다. 이른바 ‘젠더 이론’은 그렇게 나타난다.

초기의 젠더 이론은 ‘사회적 성별’에 관해 몇 가지의 변형을 제안했다. 그리하여 ‘젠더 롤’이나 ‘젠더 아이덴티티’ 같은 사회적 관점을 논의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후의 분위기는 달라진다. 가부장적 사회와 완전히 분리되어서 ‘남/여’ 구분을 언급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속화되었던 것이다.

트랜스젠더(transgender)라는 용어가 그 결과 만들어진다. ‘이상한’ 혹은 ‘특이한’ 이라는 뜻을 가진 ‘queer’를 이용한 젠더퀴어(genderqueer) 역시 같은 시기에 등장한 용어이다.

지금에 이르러 1990년대의 페미니즘 운동은 ‘젠더 스터디’라 불린다. 이 시기의 영화비평에는 ‘관음증, 페티시즘, 절시증’ 같은 용어들이 자주 보인다.

알튀세르나 라캉 같은 프랑스의 이론가들이 자국보다 영미권에서 더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는 점도 흥미롭다.

◈ 독립영화와 여성영화제

가장 먼저 1990년대 여성주의 이론가들의 눈에 포착된 연구대상은 ‘남성감독이 만든, 남성 위주의 카메라 움직임을 가진 영화들’이었다.

할리우드의 상업영화 대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심지어 이 영화들은 ‘관객’과 ‘스타’와의 관계를 일반화하는 과정에서도 남성우월주의적 대중영화의 트렌드를 뒤쫓는다.

막대한 제작비와 관련되어 있기에, 상업영화 내부에서 이 문제를 균형적으로 해결하기는 불가능했다. 때문에 독립영화 그룹이 움직였다.

최초의 페미니즘 다큐멘터리 <The Woman's Film>이 제작된 것은 1971년이다. ‘샌프란시스코 뉴스 릴’ 그룹은 40분 분량의 이 흑백영화를 통해 여성들이 겪은 삶의 불평등에 대해 인터뷰했다.

최초의 여성영화제도 이 무렵 시작되었다. 1972년 뉴욕에서 열린 ‘The First International Festival of Women’s Films’가 그 행사이다. 이후 1973년에는 ‘에딘버러 국제영화제’ 내부에서 여성 관련 이벤트가 신설되기도 했다.

현재 수많은 여성영화제들이 교류의 장으로써 토론의 기회를 제공한다. 여성감독들이 만든 다양한 독립영화가 영화제를 통해 관객들과 만나고, 점진적으로 상업영화 시스템 내부로 진입하고자 한다.

◈ 그리고 퀴어영화

1990년대 초반, 영화잡지 <사이트 & 사운드>는 동성애 주제의 독립영화를 일컬어 ‘뉴 퀴어 시네마’라고 명명했다.

사실 1980년대와 1990년대의 학술적 저술에서 자주 ‘퀴어’라는 단어를 발견한다. 하지만 이를 한 마디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LGBT(성적소수자들을 이르는 말. 레즈비언(lesbian)과 게이(gay), 양성애자(bisexual), 트랜스젠더(transgender)의 앞 글자를 딴 것. * 편집자 주)의 정체성이나 경험에 관해 언급하는 영화 모두를 포괄적으로 퀴어영화(queer cinema)라 부를 뿐이다.

최근 들어 퀴어영화는 대중영화 바깥의 트렌드가 되어 사회적 상상력과 결합하고 있다.

이를테면 <꿈의 제인>(2016년작) 같은 한국독립영화는 흥행 면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보였고,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2019년작)이나 <마티아스와 막심>(2019년작) 같은 해외영화들은 메이저영화와 견주어서도 밀리지 않는 확고한 팬층을 보여줬다.

‘페미니즘 운동’과 ‘영화의 페미니즘’은 사실상 병존해왔다. 영화를 통해 여성주의는 현실과 결합했고, 새로운 관점과 미학을 유행시켰다.

퀴어영화 역시 그 커다란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 대중적 호소력을 증명하며, 영화의 장르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퀴어영화의 저력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지현

◆ 이지현 영화평론가

2008년 '씨네21 영화평론상'으로 등단했다. 씨네21, 한국영상자료원, 네이버 영화사전, 한겨레신문 등에 영화 관련 글을 썼고, 대학에서 영화학 강사로 일했다. 2014년에 다큐멘터리 <프랑스인 김명실>을 감독했으며, 현재 독립영화 <세상의 아침>을 작업 중이다. 13inoche@gmail.com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고, 칼럼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필자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제136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 AI 기반 에너지산업 디지털화로 인한 산업생태계 대변화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