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귀 빠진 날’의 단상

2020.10.27 한기봉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
글자크기 설정
목록

얼마 전 친구 생일 축하 모임을 가졌다. 코로나도 있고 해서 한동안 격조했던 친구들끼리 단톡방에서 이야기를 나누다 한 명이 귀 빠진 날이라는 걸 알게 됐다. 그렇잖아도 다들 마음은 주저주저하면서도 몸은 근질근질했는데 좋은 구실이 생긴 거다. 모처럼 네 명이 모여 가을 전어를 안주로 한잔 했다.

자연스레 생일에 대한 이야기가 오고갔다. “아침에 미역국은 얻어 먹었냐”부터 “이제 우리 여생에 생일이 몇 번이나 남았을까”하는 쓸쓸한 대화까지 나누다 생각지 않게 많은 걸 깨닫게 됐다.

우선 쓸데없이 박학다식한 한 친구가 물었다.
“생일을 왜 귀 빠진 날이라고 부르는지 알아?”
“그러게 코나 눈 빠진 날도 아니고, 왜 하필 귀 빠진 날이지?”
 
태아는 머리부터 세상에 나오는데 산모에겐 그때가 가장 힘들고 고통스러운 순간이다. 산부인과도 제대로 없던 시절, 시골집에서 순산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어머니들은 해산할 때 댓돌 위에 고무신을 벗어놓고 ‘내가 다시 저 신을 신을 수 있을까’ 하고 방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태아는 머리가 어깨 너비보다 크다. 그래서 일단 귀가 보이는 게 중요했다. 귀가 빠져나오면 몸통과 다리는 순조롭게 따라 나오니 출산은 다 한 거나 다름없다고 한다.

한 친구가 진지하게 물었다.
“그래. 그런데 생일은 어머니가 가장 고생한 날인데 왜 생일 축하는 저희들끼리만 하지?”

그 친구 이야기를 들으며 난 적잖이 감동했다.
그는 결혼을 해서 아내가 아이를 낳는 걸 보며 생일의 주인공은 자기가 아니라는 걸 문득 깨달았다고 한다. 그 후 그는 생일에는 꼭 어머니 아버지에게 미역국을 끓여 드리거나 맛있는 걸 사드리고 선물을 드렸다고 한다. 아버지의 그런 모습을 보고 자란 그의 아이들도 자신의 생일에는 그렇게 따라 한다고 한다.

그 말을 듣고 나니 나는 귀가 빨개졌다. 결혼 후 내 생일에 부모를 생각한 적이 있었던가. 어머니가 멀리 계시긴 하지만 아내와 아이들하고만 즐겁고 오붓하게 생일상을 먹었다. 어머니는 내 생일에는 가족과 좋은 데 가서 외식하라고 돈을 부치시곤 했는데도 난 정작 어머니에겐 스웨터 하나 선물한 적 이 없다. 다른 때는 문안 전화를 곧잘 하면서도 막상 생일에는 “저를 낳느라고 얼마나 힘드셨어요”라는 감사 전화 한 번 한 적이 없다. 생일은 내 것인 줄만 알았다. 내 어머니는 얼마나 섭섭하셨을까.

친구는 생일 아침에 미역국을 먹는 관습은 출산의 고통을 겪으며 생명을 주신 어머니의 은혜를 잊지 말라는 의미라고 말해줬다. 그래서 귀 빠진 날에는 자기가 미역국을 먹는 게 아니라, 귀를 빼준 어머니에게 미역국을 끓여드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다시 화제가 ‘귀’로 넘어갔다. 그 박학다식한 친구가 귀 이야기를 많이 해줬다. 그 진위는 모르겠으나 귀는 귀퉁이에 붙어있어서 ‘귀’가 됐다고 한다.

사람이 잘났다고 말할 때 왜 이목구비(耳目口鼻)가 반듯하다고 할까. 눈, 입, 코도 있는데 왜 귀(耳)를 앞세웠을까? 귀는 얼굴의 핵심 지점도 아니고 변방에 달려있는데도 말이다. 그건 그만큼 귀가 소중한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맨 앞에 간 거라고 한다. 늘 남과 세상에 귀를 기울이며 살아야 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귀엽다’는 단어는 남의 말을 잘 귀담아 듣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라는 우스개까지 곁들였다.

말은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있지만, 듣는 것은 가려들을 수는 없다. 듣는 것은 그래서 신의 뜻이라고 한다. 남이 내 험담을 할 때 ‘귀가 가렵다’는 표현을 생각해 보라고 한다. 입은 하나인데 눈과 귀가 두 개인 건, 말하는 것보다 듣고 보기를 두 배 하라는 의미라고 한다.
 
공자는 나이 60을 귀가 순해진다는 이순(耳順)이라 했다. 이는 원래 무슨 말을 들어도 그 이치를 깨달아 이해한다는 의미이지만, 무슨 말을 들어도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는 관용이 진짜 의미라고 한다. 선현들은 나쁜 말을 들으면 곧장 달려가 시냇물에 귀를 씻는다 했다. 난 이순의 나이가 넘었지만 그 경지에 언제나 도달할 수 있으려나.

늘 내 얼굴 귀퉁이에 붙어있지만 관심을 갖지 않았던 귀. 친구의 귀빠진 날에 귀에 대해 많은 걸 생각하고 깨닫게 됐다. 귀야, 미안하다. 그리고 내년 내 귀 빠진 날에는 꼭 어머니를 모셔다가 미역국을 끓여드리리라.

한기봉

◆ 한기봉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

한국일보에서 30년간 기자를 했다. 파리특파원, 국제부장, 문화부장, 주간한국 편집장, 인터넷한국일보 대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초빙교수로 언론과 글쓰기를 강의했고, 언론중재위원을 지냈다. hkb821072@naver.com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고, 칼럼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필자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제136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통일과 정의와 자유를 조국 독일을 위하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