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작년 9월부터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부여 신청으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를 찾는 민원인이 크게 늘었다.
신축 아파트가 준공되고, 입주 신청을 받기 시작하면서부터다. 1차가 919세대, 2차가 930세대니 총 1849세대의 전입신고를 받아야 했다.
몇 달이 지났지만, 아직도 1차 입주 첫날이 기억난다.
다른 날보다 민원이 많을 거라는 예상은 했지만, 민원인이 한꺼번에 방문해 대기인원이 20명, 30명을 넘어갈 거란 생각은 하지 못했다.
그날 점심 식사를 건너뛴 채 대기 순번 줄이는 데에만 온 신경을 쏟고, 팀원 모두가 전입신고가 차례로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았지만 어쩔 수가 없었다.
번호표를 뽑고 1시간 이상 기다리는 민원인이 답답함과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하는 건 불가능했고, 민원인이 많이 방문할 거라고 예상되는 날은 여전히 두려웠다.
그렇게 9월 한 달 내내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부여 신청을 받았다.
민원인은 지난번에 왔던 사람이라고 말씀하셨지만 하루에 100명 이상의 민원인이 다녀가기에 모두 처음 보는 사람 같았다.
팀원들은 본인의 일로도 바쁜 시기에 민원창구에 와서 전입 신고서 작성 방법을 안내하고, 쌓인 민원이 차례로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사전에 상황을 정리해 주었다.
처음 겪는 상황에 당황하던 민원창구의 두 담당자는 주변의 도움으로 무사히 1차 아파트의 입주 지정 마지막 날을 넘겼다.
신청서를 모아둔 상자를 정리하며 이렇게 많은 전입신고를 받았구나 하는 생각에 잠시 울컥했다.
주덕읍의 주민등록 담당자로서 방문 민원인의 전입신고를 받고 때로는 사실조사를 나갔지만 한 번도 전입신고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전입신고는 실제 거주지로 신고하는 것이 원칙이고, 이사 온 날로부터 2주 이내에 신고해야 한다.
나의 실거주지에서 지역 주민이 되어 건강보험, 교육, 복지서비스와 같은 공공 행정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기에 전입신고는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행정절차이다.
전입신고의 중요성을 알면서도 바빠서 제때 신고하지 못하는 사람들, 한곳에 오래 살았기에 이사를 간 경험이 적어 전입신고 자체가 생소하게 느껴지는 사람들, 다양한 경우가 존재하기에 읍 행정복지센터에는 전입과 관련한 문의 전화가 자주 온다.
그렇다면 복잡하게만 느껴지는 이 전입신고를 어떻게 하면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을까?

전입신고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이사 갈 주소지의 관할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신분증과 전입지 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부동산계약서 등)를 제출하면 된다.
온라인으로도 신고가 가능하다.
정부24 사이트(https://www.gov.kr)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정부24'를 통해 간단한 인증 후 전입지 정보를 입력하면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다.
전입신고를 통해 개인은 그 지역의 주민으로서 공공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지자체는 인구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인구의 이동, 가구의 수, 인구 밀도와 같은 정보는 그 지역에 대한 이해와 공공 서비스 정책 수립에 중요한 자료다.
전입신고를 통해 정확한 주민 정보가 확보되면 행정의 효율성은 높아지고, 주민을 대상으로 더 나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정확한 전입신고는 그 지역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든다.
주민등록 담당자인 나조차도 전입신고의 중요성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지 못했었다.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일이기에 더욱 그랬던 것 같다. 2023년 1월, 4700여 명이던 주덕읍 인구는 이제 7300명 가까이로 크게 늘었다. (2025. 2. 17. 기준)
한 지역이 인구 증가로 점차 변화하는 모습을 보며 그 과정에 있었던 공무원으로서 뿌듯함을 느낀다.
이렇게 민원 담당 공무원의 역할을 다시금 생각하게 되다가 빼곡하게 적힌 전입신고 서식을 보고 전입신고서 작성에 어려움을 겪는 민원인들을 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오늘도 민원인의 전입신고서 작성을 안내하고, 온라인 전입신고 건을 처리하며 전입신고의 중요성을 되새긴다.
생각보다 간단하지만 우리 생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행정절차가 바로 전입신고다.
방문, 전화, 온라인 등 전입신고에 대해 문의할 수 있는 창구는 얼마든지 많으니, 행정복지센터를 찾는 민원인이 더 이상 전입신고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으면 좋겠다.

◆ 김윤서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 주무관
충주시에서 민원담당으로 일하며 겪은 일상을 수필로 쓴 글이 등단의 영광으로 이어졌다. 공직 업무의 꽃인 '민원 업무'로 만난 수많은 일화들이 매일 성장통이자 글감으로 다가오고 있다. 내가 건넨 한마디가 누군가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으로 업무에 임하고 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136조(벌칙)
-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 및 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도파민의 시대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