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無, 7無, 등 ‘피부에 좋지 않은 성분들이 들어있지 않다’고 홍보하는 화장품들이 많이 나와 있는데 그 중 자주 언급되는 성분이 바로 ‘알코올’이다. 화장품에 들어가는 알코올 성분에는 생각보다 많은 종류가 있으며 그 기능과 안전성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알코올 성분에 대해 정확히 알고 꼼꼼히 따져서 고르는 것이 현명하다.
알코올은 화장품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화장품에 사용되는 알코올은 주로 각질과 피지를 닦아내어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알코올 특유의 시원하고 산뜻한 청량감을 느낄 수 있고, 끈적한 사용감을 줄여주기도 한다. 기포방지제, 수렴제, 향료, 용제, 점도 감소제, 유화 보조제 및 유화 안정제 역할로도 사용한다.
많이 사용하는 토너(스킨)나 에멀전(로션) 등의 기초화장품은 물론 샴푸와 바디 제품에도 알코올이 함유된 경우가 많다. 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알코올 성분으로는 에탄올, 변성알코올, 세틸아릴알코올, 스틸아릴알코올, 벤질알코올 등이 있다.
청량제 vs 보습제로 사용되는 알코올
여러가지 알코올 중 이소프로필알코올, 변성알코올, 에탄올, 벤질알코올 등은 일시적인 청량감을 주는 알코올로서 피부에 닿는 즉시 기체로 빠르게 증발해 시원한 느낌을 준다. 피지 컨트롤, 소독 기능을 하기도 한다.
피지가 많은 남성피부나 지성, 트러블 피부용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는데, 청량감을 주는 대신 피부를 건조하게 하므로 민감하거나 건조한 피부는 이 성분들이 들어있는 화장품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세틸알코올, 스텔아릴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등은 주로 크림과 마스크 등에서 유화제, 유연제와 같은 보습 기능을 한다. 친유성을 띄어 휘발되지 않아 피부에 자극이 상대적으로 적다.
알코올 함유 화장품, 무조건 피해야 하나?
화장품에 사용되는 알코올들은 독성이 높거나 심각한 자극을 주는 성분들이 아니므로 알코올이 들어있다고 해서 무조건 피할 필요는 없다. 다만 각각의 알코올 성분들이 하는 기능을 살펴보고 스스로의 피부에 맞는다면 해당 성분이 들어있지 않은 제품을 고르면 된다.
화장품에 표시된 전성분 표기는 맨 앞쪽에 써 있는 성분의 순서대로 함량이 높음을 의미하므로, 에탄올 등 청량제로 사용되는 알코올 성분이 앞쪽에 위치해 있다면 악건성이나 민감성 피부에는 맞지 않으므로 가능한 뒤쪽에 있거나 아예 들어있지 않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자료="하이닥, ⓒ(주)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 뉴스 |
|
|---|---|
| 멀티미디어 |
|
| 브리핑룸 |
|
| 정책자료 |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운동 효과 2배 올리는 방법 5가지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