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아프리카에 도전해보라, 그게 바로 청년이다

[다시 쓰는 청년 재도전 스토리] 에어블랙 문헌규 대표

2016.12.05 중소기업청
글자크기 설정
목록

‘가능성’, ‘풍부한 지하자원’, ‘기회의 땅’ 이런 수식어로 형용되는 곳, 검은 대륙 ‘아프리카’.

10년 전 대기업에서 비철금속 자원투자 부문 업무를 맡아온 서른 살 청년 문헌규(현 에이블랙 대표) 씨는 ‘아프리카 창업의 성공을 위한 산소 같은 존재’가 되는 꿈을 꾼다.

그 생각이 결심으로 바뀌자 부모님과 지인들에게는 MBA 과정을 위해 호주에 간다는 말을 남기곤 홀로 아프리카 모로코로 향했다.

에어블랙 문헌규 대표는 “청년이기에 도전하는 것이라며 미지의 땅 아프리카 창업에 도전해보라”고 권했다.
에어블랙 문헌규 대표는 “청년이기에 도전하는 것이라며 미지의 땅 아프리카 창업에 도전해보라”고 권했다.

“많은 분들이 아프리카하면 기아나 질병으로 고생하는 빈곤한 나라라고 생각하시잖아요. 저도 마찬가지였거든요. 그런데 모로코 카사블랑카에 갔을 때 정말 깜짝 놀랐어요. 거리와 건물은 물론 도시 전체가 현대화되어 있었죠. 그동안 아프리카에 대해 큰 오해와 편견을 가지고 있었던 제 자신을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그의 진짜 목적은 사하라사막 마라톤 대회 출전. 일주일 동안 270km의 사막을 뛰고 걸으면서 긴 시간 동안 문규헌 대표는 글로벌 세계에서 우리나라의 위치를 냉정하게 인식했다. 또 아프리카 대륙의 매력을 느끼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중국의 경우 화교 문화를 통해 서로를 이끌고, 일본은 정부와 기업이 주도적으로 지원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교민들과의 협력이 취약하다 보니 아프리카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습니다. 특히 안전상의 문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해 현지 교민과의 끈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문 대표는 “사막 마라톤 이후 남아공에서 1년 체류했고, 교민사회를 처음으로 경험했다”며 “MBA 준비과정에서 교민들과 많은 얘기를 하며 사업자들을 도와야겠다는 걸 느꼈다”고 설명했다.

몸으로 느낀 많은 정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면 좋겠다는 생각에 한국으로 돌아와 회사를 그만두고 2007년 ‘고고아프리카’라는 네이버 카페를 만들게 된다.

처음 시작할 당시에는 인원수가 적었지만 현재는 2만5000여 명에 이르는 카페 회원 수를 보유하고 있다. 관련 정보 또한 처음에는 단순한 여행 문의였지만 이용자가 늘어나면서 점차 글로벌 비즈니스 영역으로 넓어졌다.

문헌규 대표는 그동안의 아프리카에 대한 조언을 구하면서 만났던 소중한 인연을 큰 자산으로 여긴다.
문헌규 대표는 그동안의 아프리카에 대한 조언을 구하면서 만났던 소중한 인연을 큰 자산으로 여긴다.
 
“아프리카는 12억 인구와 함께 GDP가 매년 7~12% 성장하고 있는 곳입니다. 향후 2050년에는 전 세계 GDP 20%를 달성할 정도로 잠재력이 높은 곳이죠. 때문에 전 세계 국가들이 앞다퉈 진출을 해놓은 상태입니다. 또 정보와 기록을 세세히 남겨 후발 진출자들이 활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그런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창업을 결심했습니다.”

2015년 7월 에어블랙을 창업하고 2015년 중소기업청에 운영하는 스마트벤처창업학교 3기로 입교한 문헌규 대표는 아프리카 정보 공유는 물론 비즈니스를 위해 아프리카 진출을 희망하는 모든 이들이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파리통’이라는 앱을 개발했다.

이 앱을 통해 아프리카 현지 상황 및 사업 정보, 인적네트워크 등을 공유할 수 있다. 특히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정리한 해외시장 정보 공공 데이터까지 연동하면서 공식적인 정보와 더불어 비공식적인 민간 정보들이 쌓이며 그 내용은 갈수록 풍부해졌다. 앞으로는 사회공헌 영역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

끝으로 그는 청년들에게 아프리카에 도전해보라고 권유했다.

“저도 처음에는 무척이나 두려웠습니다. 그런데 아프리카라는 미지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은 순간 그동안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세계를, 그리고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것이 창업의 밑거름이 되었죠. 아프리카에 도전하시면 더 좋고 그렇지 않더라도 지금의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새로운 것에 도전했으면 좋겠습니다.”

전 세계 육지의 약 20%에 해당하는 대륙. 열대와 건조기후, 지중해성 기후가 공존하는 독특한 자연환경과 문화가 있으며 석유, 우라늄, 구리, 다이아몬드 등 풍부한 지하자원이 매장돼 발전 가능성이 무한한 곳, ‘마지막 블루오션’ 아프리카가 여러분의 도전을 기다리고 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정책브리핑의 인터뷰의 저작권은 원작자에게 있습니다. 전재를 원할 경우 인터뷰이의 허락을 직접 받아야 하며, 무단 이용 시
저작권법 제136조
제136조(벌칙)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11. 12. 2.>
1. 저작재산권, 그 밖에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재산적 권리(제93조에 따른 권리는 제외한다)를 복제, 공연, 공중송신, 전시, 배포, 대여, 2차적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2. 제129조의3제1항에 따른 법원의 명령을 정당한 이유 없이 위반한 자
②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 <개정 2009. 4. 22., 2011. 6. 30., 2011. 12. 2.>
1.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여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명예를 훼손한 자
2. 제53조제54조(제90조 및 제98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에 따른 등록을 거짓으로 한 자
3. 제93조에 따라 보호되는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를 복제ㆍ배포ㆍ방송 또는 전송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
3의2. 제103조의3제4항을 위반한 자
3의3.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2제1항 또는 제2항을 위반한 자
3의4. 업으로 또는 영리를 목적으로 제104조의3제1항을 위반한 자. 다만, 과실로 저작권 또는 이 법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 침해를 유발 또는 은닉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자는 제외한다.
3의5. 제104조의4제1호 또는 제2호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
3의6. 제104조의5를 위반한 자
3의7. 제104조의7을 위반한 자
4. 제124조제1항에 따른 침해행위로 보는 행위를 한 자
5. 삭제 <2011. 6. 30.>
6. 삭제 <2011. 6. 30.>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제53회 무역의 날…어려움 속 재도약 다짐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