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지진 총력 대응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이 되려면

홍태경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2016.09.27 홍태경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글자크기 설정
목록

지진이 대한민국을 강타한 9월이었다. 더 이상 우리나라도 지진에 안전하지 않다는 경고를 받아든 현실에서 앞으로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에 정책브리핑에서 관련 분야별 전문가들의 제언을 싣는다. 이를 통해 차분히 과거를 돌아보고 신중하고 꼼꼼히 대비책을 살펴보자.(편집자주)

홍태경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홍태경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추석 연휴를 이틀 앞둔 9월 12일 저녁 7시 44분 경주 외곽에서 규모 5.1 지진과 규모 5.8 지진이 48분의 간격을 두고 연쇄적으로 발생했다. 이번에 발생한 규모 5.8 지진은 1978년에 시작된 정부의 지진 관측 역사상 가장 큰 지진에 해당한다.

현재까지 발생한 여진만 400회가 넘어서고 있다. 특히 본진이 발생한 지 일주일 만에 규모 4.5의 중규모 지진이 또 다시 발생하면서 여진에 대한 우려가 가시지 않고 있다.

다행스럽게 지금까지 인명피해는 크지 않지만 문화재 손상을 비롯한 많은 재산 피해와 정신적 피해를 낳았다.

결국 정부는 경주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지진 피해로 인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지진은 그동안 크게 실감하지 못했던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갖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번 지진은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70° 가량의 경사를 가지며 발달한 단층이 지하 10~14 km 깊이에서 수평으로 엇갈리며 발생했다. 이번 지진은 지표 단층이 밀집한 양산단층대에서 발생했다. 본진과 여진은 양산단층으로부터 서쪽에 떨어진 지역에 퍼져 관측되고 있다.

큰 규모의 지진임에도 단층면이 지표까지 드러나는 지표 파열이 없었고 지진파 에너지가 적게 발산되는 단층면에 인근에 경주가 위치해 지진 규모에 비해 피해가 적을 수 있었다. 지표 파열이 없고, 본진과 여진의 위치가 그동안 확인한 단층의 위치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이번 지진의 원인이 되는 단층을 특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금껏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단층의 존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반도에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진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특히 이번 지진이 발생한 경주는 서기 779년에 역사상 가장 큰 인명피해를 기록한 지진을 겪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당시 100여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고려시대에는 석가탑이 지진으로 인해 무너져 보수한 기록도 남아 있다. 또한 조선왕조실록 등에는 수도권을 포함한 한반도 여러 곳의 지진 피해 기록이 남아 있기도 한다. 

이번 경주 지진은 많은 숙제를 남겼다. 우선 그동안 지진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활성단층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철저한 조사로 양산단층대에 존재하는 수십여개의 단층에 대한 활성 단층 여부에 대한 오랜 논쟁을 마무리해야 한다.

하지만 수백년 혹은 수천년간의 응력 누적의 결과로 발생하는 한반도 지진의 특성을 고려하여 활성 단층 흔적 발견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이번 지진의 예에서 보듯이 큰 지진임에도 지표 파열이 만들어지지 않을 수 있듯이 지표 아래 감춰진 단층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

원자력 발전소의 지진 재해 가능성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향후 원자력 발전소 부지 선정이나 추가 조사에서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주관해 부지 단층 조사를 수행하기 보다는 원자력안전위원회나 원자력안전재단 등의 국가 기관이나 공공기관이 주관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또 지진 재해 발생에 대한 체계적인 매뉴얼 관리와 정부의 발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지진이 발생하며 관련 부처 연합으로 즉시 ‘지진 조사 위원회’를 구성하고 즉각적인 현장조사가 필요하다. 이때,  지진 피해 파악과 함께 지진을 유발한 단층과 지진원의 특성에 관한 신속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를 바탕으로 대국민 정보 제공으로 국민의 불안을 줄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재난 문자 발송 시스템과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지진 발생시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지진 정보를 국민에게 전달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는 말이 있다. 한가지씩 개선하다보면 보다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일이 그리 요원한 일이 아닐 것이다. 이번 경주 지진은 앞으로 발생할 지도 모를 더 큰 지진 재해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여러 교훈을 주고 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지진가속도계측기, 초기 상황판단에 기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