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문재인정부 1년

저임금 노동자 인간다운 삶…최저임금 16.4% 인상

[문재인정부 1년] 피부에 와닿은 일자리 대책

81만명 공공부문 일자리 확충 ‘일자리 정책 5년로드맵’ 발표

세제 개선 등 정책수단통해 청년들 정책 체감도 향상에 최선

2018.05.09 국민소통실
글자크기 설정
목록

문재인정부는 대한민국 전체 노동자 중 23.5%에 달하는 저임금 노동자들에게 최소한의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2018년 최저임금 시간급을 16.4% 오른 7,530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전 사업장에 최저임금이 적용된 2001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인상률이다.

1

또한, 정부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소상공인 · 영세기업인들의 경영상 부담을 완화하고자 ‘일자리 안정자금’을 30인 미만 고용 사업자에게 월 보수 190만원 미만 노동자 1명당 월 13만원을 지원했다. 2018년 4월 30일 기준 노동자 184만명, 사업체 54만곳이 신청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5월 24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 대통령 집무실에 설치한 일자리 상황판 모니터를 보며 일자리 현황을 직접 설명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5월 24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 대통령 집무실에 설치한 일자리 상황판 모니터를 보며 일자리 현황을 직접 설명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에 따른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으로 2018년 3월 기준 30인 미만 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가 전년보다 14만 2000명이 증가하는 등 일자리 안전망도 강화됐다.
이와 함께 고용보험료 지원대상인 1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도 고용보험 가입자가 3월말 기준 전년 동월대비 10만 7,000명 증가했다.

공공일자리 81만명 확충계획, 공공서비스질도 향상

2015년 기준 우리나라의 일반정부 고용비중이 7.6%로 OECD 국가 평균인 18.1%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문재인정부는 공공부문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공공서비스의 질 상승과 민간부문의 고용시장 활성화를 유도했다.

소방 · 교원 · 경찰 · 집배원 등 현장 공무원은 과로에 시달리고 있으며 공공서비스의 질이 저하되고 있는 현실에서
 2017년 10월에는 총 81만명의 공공부문 일자리를 확충하는 ‘일자리 정책 5년로드맵’을 발표했다. 자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시 용산구 용산소방서에서 열린 일자리 추경 현장 간담회에서 소방대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시 용산구 용산소방서에서 열린 일자리 추경 현장 간담회에서 소방대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2022년까지 17만4000명의 현장민생공무원 확충 계획을 수립하고, 2018년 3월말까지 경찰 3,500명, 소방 5,400명, 교원 6,000명, 군부사관 3,600명, 사회복지 3,200명, 생활안전 등 1만 3,300명 등 총 3만 5,000명 충원할 계획이다.

또한 사회복지에 필요한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창출에도 온힘을 쏟았다.

보육·요양 등 수요가 많고 시급한 분야(1단계) 에서 일자리 17만명 확충 계획을 수립하고, 2018년 3월말까지 1만 8,000명을 증원하는 한편 2019년부터 사회서비스 공단 운영 및 문화·체육·환경 등 다양한 분야(2단계) 에서 일자리 17만개를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문재인정부는 또한 공공부문 일자리가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공공부문에서도 2020까지 20만 5,000명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마련하고, 2018년 4월 기준 10만 7,000명에 대해 전환을 결정했다.

청년 체감형 일자리 대책…중소기업 취업 청년 26만명 세제혜택

문재인정부는 청년고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 3월 15일 청년일자리 대책을 발표했다. 예산, 세제, 금융, 제도개선 등 정책수단을 통해 청년들의 정책 체감도를 높이고 양질의 민간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과, 청년을 고용한 중소기업, 청년 창업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다양한 방안이 중점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자세히 보면 청년 1명을 신규 채용하는 중소 · 중견기업은 최대 연 2,5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했다.

1


중소·중견 기업에 연간 1인당 900만원의 청년 추가고용장려금 지급하고 중소 1,600만원, 중견 1,200만원, 대기업 800만원의 세액공제를 해주기로 했다.

청년 창업기업은 창업 후 5년간 법인 · 소득세 100% 면제하고 기술혁신형 창업자에게는 제약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최대 1억원의 오픈바우처 지원하기로 했다.

문재인정부는 이에 안주하지 않고 임기 내내 지속적으로 청년일자리 대책을 추진하는데 대책이 실질적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현장 소통을 강화하고, 주력산업 혁신성장 방안마련 등 구조적 문제 해결에도 노력하기로 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청년부터 노인까지 ‘주거복지로드맵’ 마련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