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대규모 국가 R&D 계속사업 타당성 검증 강화

기재부, 사업적정성 재검토 전면 실시…상반기 8개 선정

2015.01.26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정부가 대규모 R&D 계속사업에 대한 적정성 재검토를 실시, 사업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올해부터 대규모 국가연구개발(R&D) 계속사업에 대해 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를 전면 실시해 타당성 검증을 강화한다고 26일 밝혔다.

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란 예비타당성조사 방식에 준해 적정 사업규모 등을 재검토,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에 반영하는 것을 말한다.

그 동안 감사원, 국회 등으로부터 국가연구개발사업(R&D)에 대한 효율화 및 타당성 검증 강화 필요성 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기재부는 5년 이상 경과한 계속사업 등을 대상으로 매년 20여 개 사업을 선정해 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 상반기 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 대상사업(8개)을 선정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 분석을 의뢰한 상태다.

  <2015년 상반기 대상사업(8개)>

부처

사업명

선정사유

산업부

국민편익증진 기술개발사업

예타 규모 이상으로 증가

산업부

신성장동력장비 경쟁력강화사업

사업기간 연장

산업부

전력피크 대응을 위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실증연구

당초 계획 대폭 변경 추진

미래부

기초연구성과활용지원사업

예타 규모 이상으로 증가

미래부

기초연구실지원사업

객관적 성과분석 없이 사업 확대

농식품부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

예타 규모 이상으로 증가

중기청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

예타 규모 이상으로 증가

중기청

글로벌시장형 창업사업화기술개발

단기(2년) → 계속사업으로 요구

 

올해는 관행적 계속 지출사업, 사업 추진과정에서 예비타당성조사 규모 이상으로 증가한 사업 등 객관적 타당성 검증이 필요한 사업들을 대상사업으로 선정했다.

KISTEP는 향후 6개월간 해당 사업들에 대한 성과 검증, 적정 사업규모 등을 면밀히 분석할 예정으로, 이 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 결과를 2016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에 반영해 지출 효율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타당성이 인정된 연구과제 및 사업 등에 대해서는 차질 없이 지원하되, 타당성이 부족하거나 없는 연구과제 및 사업 등은 지원 규모 축소 또는 일몰을 추진할 예정이다.

기재부는 “앞으로도 R&D에 대한 타당성 검증 등을 강화해 관행적 계속사업화 방지 및 불요불급한 지출 억제 등 국가연구개발사업(R&D) 효율화를 강력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신설 정부조직·기구 2년간 성과 못내면 자동 폐지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