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그 가치를 인정한 세계문화유산이 우리나라에 12곳이나 있다. 먼저 1995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석굴암과 불국사, 그리고 2000년에 등재된 경주역사유적지구가 있다. 이곳들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수학여행이나 단체관광 등을 통해 누구나 한 번쯤 가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곳이지만 알고 가면 또 새로운 게 보이는 곳이다.
불교의 이상을 현실에 그렸다는 평가를 받는 석굴암과불국사는 한국 고대 불교예술의 최고 경지를 보여줄 뿐 아니라 원형 보전이 잘되어 있는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특히 다보탑과 석가탑은 고대 동북아 불교의 최고 걸작으로 꼽힌다. 천년고도의 문화가 살아 있는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총 5개 지구로 이뤄져 있다.
다양한 불교 유적이 있는 남산지구, 옛 왕궁 터였던 월성지구, 많은 고분이 모여 있는 대릉원지구, 불교 사찰 유적지 황룡사지구, 방어용 산성이 위치한 산성지구 등으로 제대로 둘러보려면 2박 3일도 빠듯하다. 신라인의 문화와 예술감각을 잘 보여주는 경주는 어딜 가도 볼거리, 먹을거리가 충분하다.
신라예술의 정수를 만끽했다면 발걸음을 돌려 충남 공주와 부여, 전북 익산 등 백제의 옛 도읍지는 어떨까. 백제역사유적지구는 2015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고대왕국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이곳도 경주만큼이나 볼거리가 풍부하다. 백제의 문화는 신라나 고구려와 달리 화려함과 아름다움이 특징이다. 세련된 백제의 문화유적을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경북 안동의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은 2010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양동과 하회는 마을의 배치와 가옥의 전통에서 500여 년 동안 엄격한 유교의 이상을 따라 촌락이 형성되었던 조선시대 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곳으로, 타임머신을 타고 조선시대로 간 듯한 기분이 들게 한다. 영국 여왕의 방문으로 화제가 됐던 하회마을은 교육·문화·체험 프로그램이 다양하고, 양동마을은 내국인 해설 시간에 맞춰 가면 훨씬 더 생동감 있는 마을 구경을 할 수 있다.
![]() |
경주 양동마을.(사진=동아DB) |
경남 합천 해인사에서 보관하고 있는 고려 팔만대장경은 그 내용의 완전성과 정확성, 예술성의 관점에서 세계 불교 역사에서 독보적인 유산으로 평가받는다. 고려 팔만대장경판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돼 있는 것과 별도로 대장경판을 봉안하고 있는 목판 보관용 건축물인 해인사 장경판전도1995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15세기에 고안된 장경판전은 대경장판을 600년이 넘도록 변형되지 않고 온전하게 보관해온 우리 건축과학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탁월한 유산이라 할 수 있다.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도 2007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제주도는 세계에서 보기 드물게 움직이지 않는 대륙 지각판 위열점(熱點, Hot Spot)에 생성된 대규모 순상화산으로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 요새 형태의 성산일출봉 응회암은 벽면이 바다 밖으로 솟아나와 경관이 빼어나다.
계절에 따라 색과 모습이 달라지는 한라산은 폭포, 갖가지 모양으로 형성된 암석, 그리고 주상절리(柱狀節理) 절벽, 분화구에 호수가 있는 우뚝 솟은 정상 등이 경관과 미적 매력을 더해준다. 용암 동굴인 거문오름동굴은 천장과 바닥이 형형색색의 탄산염 생성물로 장식돼 있고 탄산염 침전물은 어두운 용암 벽에 벽화를 그린 것처럼 덮여 있어 독특한 볼거리를 연출하는 등 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굴로 평가받고 있다.
![]() |
창덕궁 후원.(사진=동아DB)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굴로 손꼽히는 제주 거문오름동굴
동서양에서 유례없는 독특한 건축물 ‘종묘’와 ‘조선왕릉’
서울에서 멀리 나가기가 어렵다면 1995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종묘나 1997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창덕궁을 찾아가보자. 종묘 정전은 동서양에서도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독특한 건축물로 꼽힌다. 죽은 자들을 위한 세계를 조영한 건축답게 절제, 단아함, 신성함, 엄숙함, 영속성을 보여준다. 건축물과 함께 제사, 음악 등무형유산이 오늘날까지 행해진다는 점에서 종묘의 문화유산 가치는 더욱 높다.
창덕궁은 전통 풍수지리 사상과 조선왕조가 정치적 이념으로 삼은 유교가 적절히 조화된 대표적인 건축물로, 중국의 궁궐 건축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여준다. 특히 조선 왕실 정원의 대표라 할 수 있는 후원이 압권이다. 하지만 창덕궁 후원은 개별 관람을 할수 없다. 문화재 보호와 생태 보존을 위해 제한된 인원만 인터넷 누리집(www.cdg.go.kr)을 통해 예약을 받는다.
![]() |
남한산성.(사진=동아DB) |
경기 광주, 성남, 하남시에 걸쳐 있는 남한산성은 서울 도심을 바라보며 산책을 즐기기에 좋은 장소로 2014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17세기 조선시대비상시 임시수도의 기능을 하도록 계획·설계된 산성으로 한국식으로 요새화된 도시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손꼽힌다. 5개의 둘레길 코스가 있어 체력에 맞게 골라서 돌 수 있다.
서울과 경기도 일대에 있는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 총 48기가 2009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뛰어난 자연경관 속에 배산임수(背山臨水)를 기본으로이상적인 자리를 선택해 조성한 조선왕릉은 유교문화 맥락에서 자연 및 우주와의 통일이라는 독특하고 의미 있는 장례 전통에 입각해 만들어져 세계적으로도 드문 건축 문화를 보여준다. 호젓하면서도 경건한 공간으로 사계절 언제 들러도 고요한 정취가 흘러 마음이 차분해진다.
![]() |
[위클리공감]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태풍 대비 안전조치 강화…지진 2차 피해 최소화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