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운동을 해도 효과가 별로 없다며 투덜대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렇다면 자신이 어떻게 운동을 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운동습관이 잘못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폭스뉴스가 빨리 고칠 수 있는 잘못된 운동습관 5가지를 제시했다.
1. 적당히 장시간 운동한다.
천천히, 오랜 시간 하는 것은 좋지 않은 운동 전략이다. 시간 활용도를 최대한 높여라. 쉬엄쉬엄 한 시간보다는 쉬지 말고 30분간 고강도로 운동하라.
2. 딴 데 신경을 많이 판다.
헬스클럽에서 운동할 때 정신을 다른 곳에 팔아서는 안 된다. 스마트폰은 내려놓고 운동에 집중하라.
3. 근력운동을 소홀히 한다.
심박동 운동이 칼로리 소모가 많다고 보는 이들이 많지만 실은 그렇게 빨리 소모되는 건 아니다. 오히려 짧은 시간에 근력운동을 하는 것이 칼로리 소모 효과가 좋다. 근력을 키우면 운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그 근육을 유지하기 위해 칼로리를 소모하게 해 준다.
4. 스포츠드링크를 많이 마신다.
스포츠드링크는 기운을 북돋워줄 수 있지만 당분과 열량 덩어리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5. 같은 운동을 계속 반복한다.
똑 같은 운동을 하고 또 하면 당신의 몸은 그에 적응하게 되고 그 운동이 쉬워진다. 이는 몸이 그 운동에 친숙해져서 전력을 다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새로운 운동을 시도함으로써 몸에 새로운 긴장과 자극을 줘야 한다.
<자료=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문체부 “모든 의혹 털고 투명하게 재출발하겠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