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암 발생은 대도시에 집중되며 시군구별로 최대 15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남자는 전립선암, 여자는 유방암과 폐암 발생이 증가했으며 갑상선암과 대장암은 남녀 모두에서 많아졌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 중앙암등록본부는 이 같은 내용의 시군구별 암발생통계 및 발생지도를 22일 최초로 발표했다.
시군구별 암사망통계는 지난 2005년부터 통계청을 통해 발표하고 있으나 시군구별 암발생통계를 발표한 것은 1999년 국가암등록통계사업이 시작된 이래 처음이다.
이에 따르면 시군구별, 암종류에 따른 암발생률은 적게는 2배, 많게는 15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 |
연도별·암종별 지역간 암발생률비. 위쪽이 남자 아래쪽이 여자이다. |
남녀 모두에서 갑상선암의 지역간 격차가 가장 컸다. 지역별 암발생률(거주민 10만명 당 암 진단자)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암은 갑상선암이었는데 2004∼2008년 구간에서 남자 기준으로 14.5배를 기록했다.
담낭 및 기타 담도암(9.9배)과 전립선암(8.4배)도 지역별 차이가 컸다. 위암(2.2배), 폐암(2.2배), 대장암(2.3배)은 차이가 상대적으로 지역간 격차가 작았다.
갑상선암은 남녀 모두에서 여수를 비롯한 전남 지역 대부분과 서울·대전·대구 등 대도시에서 발생률이 높았다.
2009∼2013년 구간 남자 갑상선암 발생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강남구로 5년간 인구 10만명당 47.7명의 환자가 나왔고 여자 환자 최대 발생지는 전남 광양시로 인구 10만명당 185.1명이 발생했다.
갑상선암 발생 증가는 최근들어 대도시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갑상선암 검진율이 증가하고 과잉진단에 따른 것으로 복지부는 해석했다.
대장암은 대전시와 충청도, 폐암은 전남과 경북, 충북에서 많이 발생했다.
위암은 충청, 경상, 전라의 경계지역에서 발생률이 높았다. 특히 충북 옥천군은 남자 위암 발생률이 꾸준하게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간암은 경북 울릉군과 경남·전남의 남부지역, 담낭 및 기타 담도암은 낙동강 유역 인근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남과 전남은 거주민의 높은 B형, C형 간염 항체 유병률, 낙동강 지역은 민물고기 생식 습관과 이에 따른 장내 기생충감염이 암발생률을 높이는 것으로 복지부는 추정했다.
유방암과 전립선암은 서울 강남, 서초, 경기 분당에서 많이 발생했다. 서울 강남 3구와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 거주하는 여자는 초경연령이 빠르고, 출산율이 낮으며, 출산연령이 늦어 유방암 발생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남녀 모두에서 갑상선암 및 대장암의 전국 및 시군구 단위 암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자 갑상선암은 1999∼2003년 10만명 당 2.9명 발생하던 것이 2009∼2013년 24.3명으로 8.4배 늘었고 여자는 같은 기간 16.7명에서 110.6명으로 6.6배 증가했다.
남자 대장암 발생률은 31.1명에서 50.8명, 전립선암 발생률은 9.7명에서 26.5명으로 높아졌고 여자 대장암은 18.8명에서 27.4명, 유방암은 28.2명에서 49.5명으로 각각 증가했다.
복지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제3차 국가암관리종합계획에 따른 지역별 세부집행계획 수립 시 지역별 암 발생의 특이사항을 반영할 방침이다.
또 암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사업 수행시에도 지역별 특이성을 고려, 맞춤형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지속적으로 높은 암발생률을 보이는 지역에 대해서는 국립암센터와 지역암센터 간 연계를 통해 조사를 위한 연구를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선제적 모니터링과 암발생 군집지역 위치 확인을 위해 중앙암등록본부에 암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한편, 복지부는 국가적 차원의 암관리를 위해 국가암관리종합계획을 지속적으로 수립·시행하고 있다.
올 9월에는 ‘전 국민을 암으로부터 보호하고 암 전주기에 걸친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비전으로 하는 ‘제3차 국가암관리종합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문의: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044-202-2515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관광숙박산업 ‘능력중심 인재 양성’ 나선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