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추위와 더불어 걱정되는 것이 바로 건조한 실내공기다. 실내공기가 건조하면 코 점막이 건조해져서 비염, 감기 등의 호흡기 질환이 심해질 뿐만 아니라 피부가 건조해져 아토피 등 피부 질환이 심해진다.
이러한 겨울철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해서 가습기는 적당한 습도 유지를 위한 겨울철 필수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가습 장치 관련 출원은 2013년 101건, 2014년 134건, 2015년 146건으로 최근 3년간 연평균 20% 정도 증가했다.
![]() |
가습 장치 관련 연도별 출원 현황(제공=특허청) |
가습 장치는 가습 방식별로 가열식, 초음파식, 복합식, 기화식 등으로 분류된다.
기화식은 젖은 필터를 자연적으로 말리는 자연 증발식과 송풍팬을 이용해 흡습체를 말리는 에어워셔로 분류된다.
에어워셔 방식은 가습 장치 관련 전체출원 중 52%인 199건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최근 미세먼지가 계절을 가리지 않고 문제되면서 가습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질에 대해 관심이 커진 것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초음파 방식은 2014년 22건에서 2015년 54건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초음파 가습기는 다른 방식에 비해 분무량이 풍부하고 전력소모가 적다는 장점을 갖는 방식이어서 기존의 제품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2013~2015년 3년간 가습 장치 관련 출원을 출원주체별로 살펴보면 에어워셔 방식은 중견기업과 대기업 출원이 78% 이상을 차지했으며 초음파 방식은 중소기업과 개인의 출원이 80% 이상을 차지했다.
에어워셔 방식의 경우 중견기업 중에서는 대유위니아가 64건(32%)로 가장 많이 출원했다. 다음으로는 코웨이가 47건(24%), 위닉스가 9건(5%) 출원했고 대기업으로는 엘지 전자가 22건(11%), 삼성 전자가 9건(5%) 출원했다.
초음파 방식은 일부 기업 주도 보다는 여러 기업과 개인이 대부분 5건 미만으로 출원했다.
![]() |
가습방식에 따른 세부 기술 분야 출원 현황(2013~2015) |
세부 기술 분야 출원 현황을 보면 에어워셔 방식에 관한 출원은 제습이나 조명이나 공기정화 필터 등 가습이외의 부가기능에 관한 발명이 79건(40%)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가습필터를 자동 세척 등 세척관리나 살균 장치 부가 등 안전에 관한 발명이 50건(25%), 히터를 부가하거나 필터의 재질이나 형상 변경을 통해 부족한 가습량을 조절 방법에 관한 발명이 45건(23%)으로 뒤를 이었다.
초음파 방식에 관한 출원은 기존의 물통 방식을 개선해 세척이 편리한 수조방식을 도입하거나 생수통을 장착해 사용하거나 살균을 위한 장치를 부가하는 등 안전에 관한 발명이 66건(59%)로 가장 많았다.
이는 곰팡이나 세균에 가장 취약한 초음파 가습기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이에 관해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음에 따른 결과로 판단된다.
특허청 관계자는 “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실내공기 질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앞으로도 안전한 가습뿐만 아니라 실내공기를 총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복합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 개발 및 특허출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문의: 특허청 특허심사1국 042-481-5639, 생활가전심사과 042-481-8531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문체부, 평창동계올림픽 설명회 18일 강릉서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