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콩 복합문화공간인 피엠큐(PMQ)에서 케이리본(K-Ribbon) 홍콩전시회가 열렸다. |
홍콩의 복합문화공간인 피엠큐에서 한국의 우수문화상품을 전시하는 행사가 열렸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는 28일까지 홍콩 피엠큐(Police Married Quarters)에서 한국문화의 품격을 담은 우수문화상품을 전시한다고 15일 밝혔다.
14일부터 열린 이번 전시에서는 한복 4종과 공예품 40종, 식품 및 한식 18종, 문화콘텐츠 1종 등 총 63종이 선보인다.
2016년 우수문화상품으로 지정된 상품 중 차이킴의 ‘연안김씨저고리’ 등의 한복상품과 아토의 ‘미니합세트’, 소지의 ‘토이킷’, 박만순옻칠공방의 ‘대나무 다용도 합’ 등의 공예품,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의 문화콘텐츠 등이 선보인다.
전시장에는 관람객들이 우수문화상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부대행사가 마련된다.
부각과 한과, 유자차 등 한식 시식 코너와 한복 체험 코너가 운영된다. 사진과 후기를 SNS에 올리면 우수문화상품 로고인 케이리본(K-Ribbon) 모양의 열쇠고리를 받을 수 있는 이벤트도 진행된다.
전시된 우수문화상품에 대한 인기투표, 케이리본 장식 크리스마스트리 만들기 등 다양한 행사도 마련된다.
![]() |
이번 전시에서는 한복 4종과 공예품 40종, 식품 및 한식 18종, 문화콘텐츠 1종 등 총 63종이 선보인다. |
전시장 내 한국 무역협회가 운영하는 해외 판매 전문사이트, 이른바 역직구몰인 케이몰24(Kmall24)에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도 배치해 관람객이 손쉽게 우수문화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전시가 진행되는 2주 동안 현지 구매자(바이어)와 판매대행업체(벤더사)를 수시로 초청해 우수문화상품의 해외 진출을 도울 예정이다.
전시를 둘러본 다니엘 라우(Daniel Lau)는 “공예품의 기술적인 부분이 흥미로웠다. 오늘 처음 먹어본 유자차와 한국 전통 과자인 유과도 맛있었고 행복한 경험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엘리스 테(Alice Te)는 “대부분의 전시품들이 한국 상품의 독특함을 보여준다”며 “공예품의 정교함이 눈길을 끈다”고 말했다.
우수문화상품지정제도는 문화적 가치가 우수한 상품을 한국문화를 알리는 대표상품으로 지정하고, 케이리본 셀렉션(K-Ribbon Selection)이라는 통합적인 브랜드 마케팅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현재 문화콘텐츠, 한복, 공예품, 식품, 한식 5개 분야에서 총 114점이 우수문화상품으로 지정돼 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앞으로도 한국을 대표하는 우수한 문화상품을 찾고 케이리본 셀렉션 브랜드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행사에서 선보이고자 한다”면서 “홍보와 유통뿐만 아니라 프리미엄 가치를 확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혜택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체부는 홍콩 온라인 파워유저 왕홍과 비제이(BJ) 등 1인 창작자(크리에이터)를 통해 우수문화상품 전시와 제도에 대한 마케팅을 진행하는 등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문의 :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전통문화과 044-203-2782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약사·보험사 등 근무하다 7급 공무원 되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