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인공눈물, 오히려 병 키울 수 있다

2016.12.19 .
글자크기 설정
목록

최근 라식·라섹 등 시력교정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인공눈물의 사용량이 점차 많아지는 추세다. 하지만 인공눈물을 사용할 때 용도를 고려치 않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사용하다보면 오히려 다른 병을 키울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인공눈물 넣고 있는 여자.

인공눈물은 보통 ‘눈에 수분을 보충해주는 수단’으로 인식되는데 이는 별도의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라 인식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구매 후 시도 때도 없이 사용하거나 냉장고에 장기간 보관하면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인공눈물은 종류에 따라 구성하고 있는 성분이 다른데 대표적인 성분은 벤잘코늄, 티메로살, 클로르헥시딘 등과 같은 살균성분이다. 인공눈물은 모든 제품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이와 같이 살균성분이 있는 제품만이 가능한데, 이러한 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다량 사용을 금해야 한다. 살균성분에서 오는 독성이 각막 손상, 결막의 섬유화 등 전안부 이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품들은 가급적 사용을 자제하고 부득이하게 사용할 경우에도 하루에 네 번 이상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스테로이드 성분이 들어간 경우도 마찬가지다. 스테로이드 점안제는 소염효과가 우수해 만성 결막염이나 알러지 환자 등이 주로 사용하는데, 이 또한 습관적으로 사용할 경우 백내장을 앞당기거나 안압 상승으로 인한 녹내장 등 실명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최근 많이 사용되는 일회용 인공눈물도 방부제가 없기 때문에 개봉 후 24시간이 지났거나 액이 혼탁해진 경우에는 폐기해야 하며 타 제품보다 감염에 민감한 만큼 올바른 사용법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점안 시에는 용기 투입구가 눈과 닿거나 손끝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자극이 덜한 흰자위 쪽으로 투입해야 한다. 인공눈물을 넣은 다음에는 인공눈물의 성분이 눈물길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눈을 깜빡이지 말고 30초 정도 감고 있는 것이 좋고, 2가지 이상의 안약을 동시에 사용할 때에는 약 5분 간격을 두고 점안해야 약의 성분이 골고루 흡수될 수 있다.

렌즈 착용자들의 경우에는 방부제가 눈에 침착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무방부제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눈물을 점안하면 눈물이 마르면서 렌즈와 눈을 밀착시키고 추후 렌즈 제거시 각막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또한 하루에 4번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일주일이 지나면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폐기하고 상온에서 6시간 이상 노출 시 변질 우려가 있으므로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고 외출할 때는 가지고 다니지 않는 것이 좋다.

<자료=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경북 의성·영주 국도 2~4차로 확장·신설 개통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