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와 새해를 앞둔 12월은 어느 때보다 풍성한 문화 체험을 즐길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어린이박물관은 산타를 등장시킨 특별 이벤트를 마련하는가 하면, 만화박물관은 정유년을 기념하는 달력 만들기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올겨울 전국 박물관과 미술관이 준비한 특별한 체험전에는 무엇이 있을까.
![]() |
(사진=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
경기 동두천에 위치한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이 12월 20일부터 25일까지 첫 번째 겨울맞이 특별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특별 프로그램은 산타와 함께하는 마술쇼를 비롯해 공룡 발자국을 식별하는 체험, 가족의 별자리를 만들어보는 체험 등 전시장별 주제에 맞춰 10여 종의 상설 전시 체험 프로그램들로 구성된다. 2017년 겨울방학 프로그램을 미리 만나볼 수 있는 ‘별별 무슨 별? 밤밤 무슨 밤?’과 함께 산타와 함께하는 마술쇼, 누리소통망(SNS) 이벤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지난 5월 문을 연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은 ‘숲에서 꿈꾸는 아이들’이라는 주제로 영아, 어린이, 가족, 학교 · 단체 등을 대상으로 자연생태와 가까워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꾸준히 제공해왔다. 쥐라기 시대의 공룡 브라키오사우루스 모형을 타고 놀 수 있는 ‘클라이머존’, 공룡 화석을 발굴해보는 ‘공룡존’, 개미집 탐방이나 별자리 관찰이 가능한 ‘숲 생태존’ 등의 체험공간이 있다.
기간 12월 20~25일
장소 경기 동두천시 평화로 2910번길 46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문의 031-860-2860
![]() |
(사진=국립민속박물관) |
국립민속박물관은 한국의 고색창연한 옛 색을 찾아 나서는 특별전을 실시한다. 내년 2월까지 진행되는 ‘때깔, 우리 삶에 스민 색깔’은 한국인의 삶에 투영된 다채로운 색의 상징과 색감을 경험하는 자리로, 흥선대원군 초상(보물 제1499호), 흑초의(중요민속문화재 제13호), 색동두루마기 등 전통 생활품부터 현대 작품에 이르기까지 총 350여 점의 자료와 영상물이 전시된다.
색은 우리 삶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면서 시대에 따라 의미와 상징이 달라진다. 이번 전시는 전통 유물을 통해 우리 색의 생성과 변화를 보여준다. 1부 ‘단색’에서는 한국적 정서와 가치관이 담긴 대표적 색인 청, 적, 황, 백, 흑색을 소개한다. 2부 ‘배색’에서는 오행을 따른 음과 양의 조화, 상생과 상극의 어우러짐을 색으로 표현한 유물과 작품들이 전시된다. 3부 ‘다색’에서는 왕실에서 민간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뿐 아니라 중요한 의례에 나타나는 한국인의 전반적인 색채 감각을 다룬다.
기간 2017년 2월 26일까지
장소 서울 종로구 삼청로 37 국립민속박물관
문의 02-3704-3114
![]() |
(사진=한국만화박물관) |
우리 만화의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전승하고자 설립된 한국만화박물관에서 연말연시를 맞아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한다. 12월 24일과 25일에는 박물관 초대권을 증정하는 크리스마스 이벤트, 27일부터 내년 1월 8일까지는 ‘복주머니 그리기’ 행사, 2017년 정유년을 기념하는 ‘닭치고 복 받자’ 이벤트 등이 펼쳐진다. 나만의 특별한 달력을 만드는 ‘만화 달력 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은 매주 토요일 박물관 2층 체험교육실에서 열리며, 온라인으로 접수 가능하다.
기간 2017년 1월 말까지
장소 경기 부천시 길주로 1 한국만화박물관
문의 032-310-3055
![]() |
(사진=조명박물관) |
조명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경기 양주 조명박물관에서 크리스마스 특별전 ‘꼬마 눈사람의 겨울 이야기’가 마련된다. 체험전은 체험(크리스마스 전구 만들기, 눈사람 카드 만들기 등), 전시, 공연(빼꼼이의 크리스마스 대소동), 포토존 등으로 구성되며 퀴즈 풀고 선물 받기, 산타 할아버지와 사진 찍기, 산타 선물 잔치 등 다양한 이벤트도 마련된다.
기간 2017년 1월 31일까지
장소 경기 양주시 광적면 광적로 235-48 조명박물관
문의 070-7780-8911
![]() |
(사진=Mucha Trust 2016) |
3년 전 성황리에 마친 ‘알폰스 무하, 아르누보와 유토피아’ 전시에 이어 두 번째 무하전이 열린다. 첫 번째 회고전이 무하의 예술적 커리어의 발전을 기반으로 철학적 측면을 부각한 전시였다면, 이번 전시는 모던 그래픽 디자인의 선구자로서 예술적 업적에 중점을 둔다. 엄선된 300여 점의 유화, 판화, 사진, 장식품, 드로잉 등이 전시된다.
기간 2017년 3월 5일까지
장소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2층
문의 070-4632-6547
![]() |
(사진=S-FACTORY) |
황금 색채의 거장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이 미디어아트로 새롭게 태어난다. 빈 분리파 결성부터 황금시대 개척까지의 클림트의 작품과 일렉트로닉 음악이 결합된 웅장하고 환상적인 공간에서 전시된다. 총 6개 섹션으로 나뉜 전시장에서는 베토벤을 기리는 작품 ‘베토벤 프리즈’를 비롯해 ‘유디트’, ‘키스’ 등의 대표작들을 만날 수 있다.
기간 2017년 3월 3일까지
장소 서울 성동구 성수동 S-FACTORY
문의 1522-1796
[위클리공감]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합격할 때까지 ‘나는 수험생이다’라는 각오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