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비타민 부족하면 비만 발생한다

2016.12.26 .
글자크기 설정
목록

비타민은 동물체의 주영양소가 아니면서 동물의 정상적인 발육과 생리작용을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유기화합물을 통틀어 말한다. 비교적 소량이 필요하지만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는다.

크게 수용성비타민과 지용성비타민으로 나누어지고 부족하면 특유의 결핍 증상이 나타난다. 이런 비타민은 피로를 해소하고 면역력을 증강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그런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체중을 조절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몬드

‘미국영양학회저널(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에 실린 최근 논문에 따르면 비타민과 미네랄 섭취량은 체중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연구팀이 7년간 1만8000명을 대상으로 영양섭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연구팀이 설문결과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비만인 사람들은 정상 체중인 사람들에 비해 미량영양소 섭취량이 5~12% 정도 적었다. 미량영양소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처럼 많은 양을 섭취할 필요는 없지만 적은 양이어도 반드시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들을 말한다.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분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이 이에 해당한다.

연구팀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비만인 사람들은 정상체중인 사람들보다 비타민A, 비타민C, 마그네슘 섭취량이 많이 부족했다. 또 칼슘, 비타민D, 비타민E의 섭취량도 권장량보다 적은 편이었다.

체질량지수(BMI)가 높은 사람들은 칼로리 섭취량이 높지만 사실상 대부분 영양가가 떨어지고 열량만 높은 음식을 먹고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에 따르면 영양소 결핍이 비만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비타민A는 지방세포를 제어하고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도록 돕는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 비타민D는 배고픔을 통제하는 호르몬인 렙틴의 분비와 연관이 있다. 체내에 이러한 영양성분이 부족해지면 배고픔을 참기 어렵고 체중 관리가 힘들어진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처럼 체중 관리에 중요한 영양성분은 매일 얼마만큼 먹어야 필요량을 채울 수 있을까.

비타민A는 시금치나물 반 컵 분량 혹은 중간크기 고구마 1개 정도면 충당이 된다. 또 비타민D는 달걀 1개와 작은 크기의 참치 캔 1개, 강화탈지유(영양소는 강화하고 지방은 제거한 우유) 1컵이면 보충할 수 있다.

또 비타민E는 아몬드 반 컵이나 볶은 해바라기 씨 반 컵 정도면 하루 섭취 권장량을 채울 수 있다. 마그네슘은 볶은 호박씨 반 컵이나 다크초콜릿 55g 정도면 충분하다.

단 한 가지 견과류나 씨앗류처럼 단일 음식으로 채우려고 하면 물릴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를 섞어 먹는 편이 좋고, 다른 음식을 통해 채워지는 양도 같이 고려해 먹으면 된다.

<자료=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담당자와 협의한 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다음빨리 안전하게 살 빼는 방법 7가지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