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률 45대 1. 특별한 교사를 뽑는 어느 시험의 지난해 서울 지역 경쟁률이다. 특별한 교사는 바로 ‘이야기할머니.’ 전국 7300여 개의 유아 교육기관에서 옛이야기와 선현들의 미담을 들려주는 역할을 한다. 할머니에게서 배우는 ‘무릎교육’으로 아이들은 바른 인성과 풍부한 정서를 기르고, 노후 세대는 삶의 활력을 얻고 있다.
![]() |
이야기 할머니. |
“옛날 어떤 마을에 늙은 아버지를 모시고 사는 부부가 있었어요. 나무꾼인 남편이 며칠씩 집을 비우면 아내 혼자 시아버지를 돌봐드릴 때가 많았죠. 그러던 어느 날이었어요.”
한복을 입은 선생님이 옛날이야기를 들려주자 여섯 살 아이들은 숨을 죽이고 집중하기 시작했다.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에 따라 선생님의 목소리와 표정이 시시각각 변했다. 지게, 짚신 등 아이들이 처음 듣는 단어가 이야기에 나오자 선생님은 미리 준비한 지게와 짚신 모형을 가방에서 꺼내 들었다. 이야기가 진행되는 동안 아이들은 직접 모형을 만져보기도 했다. 떠들거나 다른 행동을 하는 아이들은 없었다. 10여 분간 진행된 이야기가 끝나자 아이들은 기다렸다는 듯 손을 들고 질문했다. 한복을 입고 아이들에게 옛날이야기를 들려준 이는 바로 ‘이야기할머니’다.
아이들에게 올바른 인성 함양
서울 강서구 화곡동 리틀빌리지어린이집에서 ‘이야기할머니’로 활동하고 있는 강순배 씨(61)를 만났다.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그는 아이들에게 교사가 아닌 할머니로 불렸다. 아이들은 그를 보는 순간 달려가 안기거나 손을 꼭 붙잡았다. 마치 손주를 만나러 유치원에 온 할머니 같았다.
“결혼하고 지금까지 전업주부로 살아왔어요. 그러다 네 살배기 손주를 위해 문화회관에서 동화구연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란 정부사업을 알게 됐습니다. 벌써 5년째 이야기할머니로 활약하고 있어요.”
이야기할머니가 된 계기를 묻자 강 씨가 한 말이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손주들이 할머니 무릎을 베고 이야기를 들으며 정서적 교감을 나누던 모습에 착안해 2009년 대구·경북에서 처음 시작됐고, 이후 교육적 효과가 커서 전국으로 확대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사업을 통해 유아들에게는 올바른 인성 함양 기회를, 여성 어르신들에게는 사회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핵가족으로 변화한 현대 가족문화에서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게 해주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강순배 씨는 “오히려 제가 이야기할머니로 활동하며 아이들과 만나면서 삶의 활력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요즘 그가 주변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듣는 소리는 “10년은 젊어 보인다”는 말이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반복되는 살림에 지쳐 얼굴에 그늘이 많았다고 한다. 그런데 이야기할머니로 활동하기 시작하면서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전한다는 사명감에 책도 많이 읽고 공부하는 시간도 부쩍 늘었다. 자신을 따르는 아이들을 보며 강순배 씨는 점점 삶의 활력을 되찾기 시작했다.
이야기할머니에 선발되면 연간 70여 시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여러 권의 이야기책을 읽고 외워야 한다.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외워서 들려줘야 하기 때문이다. 그만큼 이야기할머니의 학습량은 많은 편이다. 강 씨는 이야기할머니 활동을 하면서 힘든 것보다 보람을 느낀 적이 훨씬 많단다. 유치원 경험도 그에겐 특별했다.
“제가 이야기할머니로 활동했던 유치원에서 미술시간이 있었어요. 가족을 그리는 시간이었는데, 아이들 대부분이 엄마와 아빠만 그리더라고요. 아이들에게 조부모는 이방인과 같은 존재였어요. 그런데 이야기할머니로 아이들과 만나고부터는 이제 할머니도 엄연한 가족이라고 인정해가더라고요.”
이야기할머니 사업이 4~7세 아이들에게 올바른 인성 함양 기회를 주고 있는 것이다.
이야기할머니 제9기 모집 중
문체부와 한국국학진흥원은 올해도 ‘이야기할머니’ 제9기를 모집하고 있다. 고정된 직업이 없는 만 56세(1961년생)~만 70세(1947년생) 여성이라면 학력과 자격증 유무에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3월 10일까지 한국국학진흥원 이야기할머니사업단에 우편으로 지원 서류를 접수하면 된다. 서류 합격자에 한해 면접심사를 거쳐 최종 선발된다. 그러면 이야기할머니가 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무엇일까. 강순배 씨는 이렇게 답했다.
“이야기할머니의 말과 행동이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아이들의 가치관과 생활습관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그래서 아이들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늘 공부하려는 자세를 갖춰야 해요. 아이들은 할머니의 이야기를 듣고, 우리는 아이들의 순수함을 배우니 ‘교학상장(敎學相長)’이라는 말이 적절한 거 같습니다. 앞으로도 이야기할머니의 활약을 기대해주세요.”
![]() |
◎ 지원서 접수
접수기간 2017년 3월 10일(금) 소인분까지
제출서류 지원서, 자기소개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주민등록초본
-서류 양식(지원서, 자기소개서, 이용 동의서)은 아래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작성하며, 주민등록초본은 주민자치센터에서 발급받아 제출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누리집(http://www.storymama.kr/) → [공지사항]
▶한국국학진흥원 누리집(http://www.koreastudy.or.kr/) → [공지사항]
▶문화체육관광부 누리집(http://www.mcst.go.kr/) → [알림·소식]
접수방법 우편 접수만 가능(팩스 및 이메일 접수 불가)
경북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이야기할머니사업단(우36605)
전형절차 지원서 접수(3월 10일까지) → 서류전형 완료 및 면접대상자 공고
(3월 30일) → 면접전형(4월 24~28일) → 최종 합격자 공고(5월 8일)
합격자 공고 2017년 5월 8일(월),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누리집
상세 문의 한국국학진흥원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사업단 080-751-0700
◎ 교육
신규 교육 2017년 5월 중(2박 3일) / 한국국학진흥원(안동 소재)
월례 교육 2017년 6~11월 / 권역별 지정 교육장에서 매월 1회 운영
수료식 2017년 12월 / 장소 미정
◎ 현장 활동
활동 기간/횟수 2018년 4~12월 / 주 1~3회, 연간 26주 이내
활동 내용 배정받은 유아교육기관을 매주 방문해 유아 인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 옛이야기나 선현의 미담 등을 들려주는 활동
활동 지원 1회 활동 시 소정의 활동비 지급, 자원봉사자 단체상해보험 가입
[위클리공감]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3월 봄마중 변산 마실길을 걷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