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 가입자의 세대당 월평균 보험료가 지난해 10만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자들은 낸 보험료보다 평균 1.8배 정도의 혜택을 받았으며 저소득 세대, 중증질환 환자가 있는 세대일수록 혜택이 컸다.
1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16년 보험료 부담 대비 급여비 현황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1년 동안 자격변동이 없는 1695만 세대, 3855만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세대당 월평균 10만 4062원을 보험료로 부담하고 18만 3961원의 보험급여를 받아 보험료 부담 대비 1.77배의 혜택을 보고 있었다.
전체 세대를 보험료 순으로 5개 구간으로 나눴을 때 보험료 하위 20% 세대(1분위)는 월평균 2만 6697원을 내고 14만 599원을 보험급여로 받아 보험료 부담 대비 건강보험 혜택이 5.3배였다.
보험료 상위 20% 세대(5분위)는 월 24만 833원을 내고 월 27만 2041원(1.1배)의 혜택을 받았다.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를 비교하면 보험료 하위 20%의 지역 세대는 12.8배(월 13만 9160원/월 1만 881원), 직장가입자는 4.0배(월 14만 10371원/월 3만 5189원)의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료 상위 20%의 지역 세대는 1.0배(22만 3435원/23만 1005원), 직장가입자는 1.2배(29만 8138원/24만 6110원)의 혜택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보험료 대비 급여비의 추이를 보면 전체 보험료는 2012년 8만 8586원에서 2016년 10만 4062원으로 1만 5476원 증가했다.
전체 급여비는 14만 9896원에서 18만 3961원으로 3만 4065원 늘어나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비 혜택은 1.69배에서 1.77배로 증가했다. 보험료 상위 20%의 혜택도 2012년 1.08배에서 2016년 1.13배로 늘었다.
또 4대 중증질환 환자가 있는 세대의 보험료 부담 대비 급여비 혜택은 심장질환자가 있는 경우는 8.0배, 뇌혈관질환 7.7배, 희귀질환 4.1배, 암질환 3.7배였다.
같은 중증질환이라도 소득에 따라 급여 혜택이 희귀 질환은 10.1배, 암은 9.3배, 심장질환과 뇌혈관질환은 각각 8.8배씩 차이가 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지역은 세대주 연령이 60세 이상인 경우 2.6배(25만 5062원/9만 8638원)혜택을 받았으며 30세 미만(2.1배), 50대(1.4배), 30대(1.3배), 40대(1.2배) 순으로 집계됐다.
직장도 가입자 연령이 60세 이상인 경우 2.4배(21만 2571원/8만 8,557원)로 가장 혜택을 많이 받았고 40대(1.8배), 30대(1.8배), 50대(1.7배), 30세 미만(1.2배)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낸 보험료보다 많은 혜택을 받은 세대가 46.3%였고 나머지 53.7%는 낸 보험료보다 적은 혜택을 받았다.
받은 급여비가 낸 보험료의 1∼2배 이내인 세대가 전체의 18.4%였고 10배 이상의 혜택을 본 사람도 4.9%를 차지했다.
병·의원이나 약국 등 의료 서비스를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은 사람도 262만명으로 전체의 6.8%를 차지했다. 의료 서비스 미이용자는 지역 가입자(10.6%)가 직장 가입자(5.2%)보다 많았다.
의료 미이용자 비율은 2011년 8.0%에서 2013년 7.6%, 2015년 7.1%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시도별로 보면 지역세대의 월평균 보험료는 서울이 10만 7740원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은 6만 1735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직장가입자는 울산이 13만 6124원을 부담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서울(12만 2412원)이었으며 제주는 9만 5967원으로 가장 적은 보험료를 부담하고 있었다.
급여비는 지역세대의 경우 전남이 21만 9670원으로 가장 많았고(보험료 부담 대비 급여혜택 3.6배) 서울은 14만 7192원으로 가장 적었다.
직장가입자는 전남이 22만 8993원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이 17만 9724원으로 가장 적었다.
시군구별 보험료부담 대비 급여비 비율은 전남 신안군이 지역세대 6.4배, 직장가입자 3.3배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서울 강남구는 지역가입자 0.86배·직장가입자 0.89배로 가장 낮았다.
문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운영실 033-736-2440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5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 10조원 증가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