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가 우리에게 감동을 주는 건 그 안에 인간 승리의 드라마가 있기 때문입니다. 비장애인과 장애인을 특정 지을 수 없는 인간승리. 에움길을 돌아 그 자리에 당당하게 선 그 감동만은 영원할 것입니다. 정책브리핑은 9일 개막하는 패럴림픽에서 우리에게 불가능은 스스로 정해놓은 한계에 불과하다고 말하는 이들을 만나봅니다.
![]() |
여자컬링에 ‘영미’ 있다면 휠체어컬링엔 ‘오성’ 이 있다. 선수 다섯 명의 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오성 어벤저스’로 불러달라”는 휠체어컬링 대표팀은 10일 첫 경기에 임한다. 왼쪽부터 이도하, 서순석, 방민자, 정승원, 차재관 선수. 뒤는 최종길 대한장애인컬링협회장(사진=대한장애인컬링협회) |
2010년 3월21일 오전(한국시각), 캐나다 밴쿠버에서 기쁜 소식이 전해졌다. 한국 휠체어컬링 대표팀이 밴쿠버 패럴림픽센터에서 열린 2010 밴쿠버동계패럴림픽에서 값진 은메달을 따낸 것이다. 한국은 예선에서 졌던 강호 미국을 상대로 준결승에서 7-5로 설욕하고 결승에 올랐고, 곧바로 열린 결승에서 세계 최강 캐나다와 마지막 8엔드까지 가는 접전을 펼친 끝에 아쉽게 7-8로 졌다.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김학성, 조양현, 김명진, 박길우, 강미숙 등 하반신 장애인 5명이 일궈낸 기적이었다. 전용 컬링장이 2곳은 모두 대여가 안돼 수영장에 물을 얼려 훈련했던 설움을 이겨내고, 바지 속 오줌주머니가 터져 빙판 위에 쏟아졌던 창피한 기억까지 날려버린 쾌거였다.
비록 우리나라의 동계패럴림픽 출전 사상 첫 금메달을 아쉽게 1점 차로 놓쳤지만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통틀어 겨울올림픽 단체종목에서 따낸 첫 메달이었다. 또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겨울패럴림픽에서 한상민(39)이 알파인 좌식스키 대회전에서 은메달을 딴 데 이어 우리나라의 동계패럴림픽 출전 사상 두 번째 메달이기도 했다.
그로부터 8년이 흘렀다. 이번엔 안방 평창이 무대다. 이번에는 스킵 서순석(47), 리드 방민자(56), 세컨 차재관(46·이상 서울시청), 서드 정승원(60·경기도연맹), 후보 겸 세컨 이동하(45·경남연맹)가 나선다. 현재 한국 휠체어컬링은 세계랭킹 4위다. 2016년 키사칼리오오픈 은메달에 이어 지난해 7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최강 캐나다를 누르고 감격의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번 평창 패럴림픽에서도 유력한 메달 후보다.
휠체어컬링 대표팀 주장 서순석은 지난 2일 서울시 세종로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국 선수단 출정식에서 “여자컬링 대표팀이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따서 부담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팀킴’이 있었다면 우리에게는 ‘오성(五姓)’이 있다. 선수 다섯 명의 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오성 어벤저스’로 불러달라”는 재치있는 답변을 했다.
종전에는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1위를 한 팀을 국가대표로 내보냈으나 이번 대회에는 각 포지션에서 최고의 기량을 갖춘 선수를 선발하면서 대표 5명이 나섰다.
‘오성’은 모두 사고로 하반신 장애를 입은 중도 장애인이다. 그 중엔 이번 평창패럴림픽 한국선수단 최고령 선수인 정승원 선수와 ‘홍일점’ 방민자 선수가 눈에 띈다. 정승원 선수는 이번 대회 한국 선수단 최연소 출전자인 장애인 스노보드의 박수혁(18) 선수와 무려 42살 차이다.
정 선수는 컬링에서 세번째 투구를 하는 서드를 맡고 있다. 20여 년 전 산업재해로 하반신마비 장애를 입은 그는 론볼로 재활하다가 훨체어컬링으로 전향했다. 2009년 세계선수권대회를 시작으로 US오픈, 캐나다오픈 등 전 세계를 누비며 경험을 쌓았고, 지난해 6월 패럴림픽 국가대표로 선발됐다. 정 선수는 “생애 처음이자 마지막일지도 모르는 패럴림픽 시상대 위에서 애국가를 듣는 상상만 해도 가슴이 뭉클하다”며 반드시 금메달을 따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방민자 선수는 평범한 직장인이었던 1993년, 여름휴가를 갔다가 차량 전복사고로 하반신마비 장애를 입었다. 31살의 한창 젊은 나이였던 그는 장애인이 됐다는 현실에 큰 충격을 받고 외부와의 접촉을 단절했다. 결혼을 약속한 사람과도 헤어졌고, 10년 동안 칩거했다. 그는 “너무 힘든 시절이었다.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방황했다”고 되돌아봤다.
![]() |
휠체어컬링 대표팀 방민자 선수. 휠체어 컬링은 반드시 팀에 1명 이상의 여성선수가 포함돼야 한다. |
그러던 그는 동생의 권유로 장애인복지관에 나가면서 세상과 다시 만났다. 취미로 십자수, 수공예, 론볼 등을 접했다. 그 중에서도 잔디에 공을 굴려 표적 가까이 보내는 경기인 론볼에 마음이 꽂혔다. 그는 “사고 이후 처음으로 숨이 차다는 것을 느꼈다”고 했다. 운동에 흥미를 붙인 그는 2004년부터 본격적으로 컬링을 시작했고, 그로부터 14년 만에 꿈에 그리던 패럴림픽 무대를 밟게 됐다.
여자컬링 대표팀에서 ‘국민 영미’가 맡았던 리드 역할을 바로 휠체어컬링 대표팀의 ‘홍일점’ 방민자 선수가 맡는다. 휠체어 컬링은 반드시 팀에 1명 이상의 여성선수가 포함돼야 하는 등 비장애인 컬링과 몇가지 다른 규칙이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빗자루질을 하는 스위퍼가 없다. 휠체어를 탄 선수들의 이동에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대신 투구하는 선수 뒤에는 동료가 휠체어를 흔들리지 않게 붙잡아준다. 휠체어를 고정시켜 스톤의 방향에 정확도를 높인다. 휠체어 컬링 선수들이 다루는 스톤은 스톤의 무게는 20㎏에 이른다. 이것을 딜리버리 스틱이나 손으로 밀어 과녁 중심에 가까이 투구해야 한다.
이번 대회에는 12개 팀이 참가해 예선 풀리그를 거쳐 4강부터 토너먼트로 승부를 가린다. 예선 11경기에서 적어도 7승4패 이상을 거둬야 4강행이 가능하다. 백종철 대표팀 감독은 “1차 목표는 4강 진출”이라며 “준결승에 올라가면 예선 1-4위, 2-3위가 결승 진출을 다투기 때문에 홈 관중의 응원이 중요하다. 반드시 결승에 올라 금메달에 도전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 휠체어컬링은 10일(오후 2시35분) 미국과의 경기를 시작으로 15일(오후 2시35분)까지 하루 평균 2경기씩 예선 11경기를 치른 뒤 16일 준결승(오후 3시35분), 17일 결승전(오후 2시35분)을 갖는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3월 걷기여행길 8선, 겨울을 떨치고 사뿐사뿐~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