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 되면 몸이 나른하고 졸음이 쏟아지며 입맛이 없는 경우가 많아요. 신체는 동면기에서 활동기로 들어서면서 다량의 비타민과 무기질이 필요한데 이 영양소가 부족하면 나른함, 춘곤증 등의 반작용이 나타납니다. 봄나물과 봄채소는 생리적으로 필요한 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지요. 또한 봄나물과 봄채소는 쓴맛, 신맛 등으로 겨우내 무뎌진 미각을 자극해 입맛을 돋우는 봄의 보약이라 할 수 있어요.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입춘오신반(立春五辛槃)이라 하여 봄에 움파, 산갓, 당귀 싹, 미나리 싹, 무 등의 매운맛 채소들을 새콤하게 무쳐 먹어 오장육부에 영양과 비타민, 무기질을 공급했답니다. 봄에 돋아나는 나물을 먹으며 건강을 챙겼던 것이지요.”
![]() |
![]() |
부인병에 효과가 있는 쑥
쑥은 소화 흡수를 돕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여자들에게 매우 좋은 식품. 하루 80g만으로도 일일 권장량의 무기질과 비타민을 채울 수 있을 정도로 영양이 풍부하다. 봄볕이 강해지는 3월 말경의 쑥은 쓴맛과 향이 강해 아욱처럼 주물러 씻어 쑥물을 뺀 후 국을 끓이는데 콩가루를 넣으면 쓴맛이 돌지 않고 구수하게 먹을 수 있다.
피를 맑게 하는 돌나물
돌나물은 돈나물이라도 하는 봄채소로 자생력이 좋아 마당이나 화단 어디에서든 잘 자란다. 돌나물은 칼슘과 인 그리고 비타민 C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겨우내 움츠렸던 우리 몸을 활성화시켜주는 데 적합하다. 특히 칼슘이 풍부해 간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피를 맑게 하는 작용이 탁월하다. 톡톡 터지는 새콤한 잎의 맛이 좋아 샐러드 재료로도 자주 사용되는데 늦은 봄, 살이 통통하게 오른 돌나물은 물김치 재료로도 쓰인다.
호흡기에 좋은 취나물
성질이 따뜻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근육이나 관절이 아플 때 먹으면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 가래가 심하고 숨이 차는 감기도 도움이 된다. 이른 봄에 너무 질기지 않고 녹색이 선명한 것을 구입하는 것이 좋다. 알칼리성으로 산성인 쌀밥의 소화에 도움을 준다. 질긴 줄기는 잘라내고 가닥을 나눠 정리하고, 여린 취는 살짝 데쳐 나물로 무치고 질긴 취는 볶거나 국을 끓여 먹는 것이 좋다.
자양·강장에 좋은 원추리
원추리에는 비타민 A, B, C를 비롯해 포도당과 지방, 무기질, 아스파라긴산 등의 무기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자양 강장과 피로 회복에 좋다. 꽃대가 올라오면 독성이 있어 먹지 않는다. 원추리는 이른 봄의 연한 순을 먹는데 잎이 겹쳐 포기를 이루며 자라므로 잎 사이사이를 깨끗하게 씻어내야 흙이나 먼지가 씹히지 않는다.
신장에 좋은 두릅
신장이 약해 소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 부종이 심하거나 소변을 자주 보고 잔뇨감이 심한 사람이 오래 먹으면 치료 효과가 있다. 향이 좋고 통통하고 진한 연둣빛의 두릅이 맛이 좋고 부드럽다. 두릅적을 부치거나 데쳐서 회로 먹거나 나물로 무쳐 먹는다. 겉잎을 손질한 후 밑동에 십자 부분으로 칼집을 넣고 끓는 물에 데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손질법인데 튀김옷을 입혀 튀기거나 전을 부치기도 한다.
해독에 좋은 세발나물
해풍을 맞고 서남 해안지방에서 자라는 ‘갯나물’이라고도 불리는 나물로 섬유질과 엽록소가 풍부해 변비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해변에서 자라 칼슘과 칼륨 등의 천연 미네랄 등이 풍부하다. 비타민 C, 엽록소, 섬유질이 풍부해 면역력을 키우고 해독 작용, 노화 방지에 도움을 준다. 시든 잎과 줄기를 손질하고 가볍게 흔들어 씻어 끓는 물에 데치거나 볶아 먹는다.
중풍 예방에 탁월한 방풍나물
방풍나물은 ‘풍’을 방지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만큼 약효가 뛰어나고 특유의 향과 맛이 있어 근간에 새롭게 뜨고 있는 봄나물이다. 특히 코감기와 목감기의 치료에 도움을 주어 봄철 황사와 환절기 감기 대비용 식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너무 큰 것은 질겨 맛이 없으므로 작고 색이 진하지 않은 것을 골라 꼼꼼히 씻은 뒤 조리한다.
![]() |
![]() |
“봄나물은 대부분 데쳐 나물로 무쳐 먹거나 새콤달콤하게 숙회로 많이 먹어요. 또한 살짝 데쳐 밥 위에 올려 영양밥을 지어 먹거나 향이 좋은 것은 말려서 차를 끓여 먹어도 좋아요. 두릅이나 취는 빵이나 소시지, 달걀 등과도 잘 어울려 샐러드로 만들거나 팬케이크처럼 구워 브런치로 먹기도 하지요. 또한 봄나물은 식감이 부드러워 샐러드로 만들어 먹으면 특히 좋아요. 봄동이나 달래, 냉이, 부추, 참나물 등은 채소의 아삭함을 살려 샐러드로 만들고, 두릅이나 취나물, 씀바귀같이 쓴맛이나 특유의 향이 있는 채소는 살짝 데쳐 샐러드로 만들어보세요. 생채용 나물을 무칠 때는 일반적인 샐러드드레싱도 좋지만 액젓이나 새우젓 등을 사용해 겉절이처럼 무쳐 먹어도 맛있습니다. 향이 강해 거부감이 있는 봄나물은 발사믹식초나 마요네즈, 요구르트, 과일즙 등 나물의 강한 향을 중화시킬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 드레싱을 만들어보세요. 봄나물의 향이나 쓴맛에 익숙하고 좋아한다면 올리브오일이나 소금, 식초만 약간 뿌려서 먹어도 좋은 샐러드드레싱이 되지요.”
![]() |
방풍나물전
기본 재료 방풍나물 200g, 소금·식용유 약간씩
부침옷 밀가루·물 1컵씩, 찹쌀가루 3큰술, 소금·흰 후춧가루 약간씩
만드는 법
1 방풍나물은 질긴 부분과 시든 부분을 다듬고 씻어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데친다.
2 분량의 부침옷 재료를 고루 섞어 냉장고에 넣어둔다.
3 ②의 부침옷에 ①의 방풍나물을 담갔다 건져 기름 둘러 달군 팬에 올리고 앞뒤로 노릇하게 부친다.
* 나물은 데쳐서 사용해야 익는 시간을 줄여 전이 눅눅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취나물영양밥
기본 재료 쌀 2컵, 취나물 300g, 다시마물 2컵
취나물 양념 깨소금 1½큰술, 국간장·참기름 1큰술씩, 다진 마늘 2작은술, 소금 약간
만드는 법
1 쌀은 씻어 30분 정도 찬물에 담가 불린 뒤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2 취나물은 시든 잎과 질긴 줄기를 다듬고 씻어 끓는 물에 부드럽게 데쳐 찬물에 헹군다.
3 ②의 취나물 물기를 꼭 짜 분량의 취나물 양념에 조물조물 버무린다.
4 불린 쌀을 냄비에 담고 밥물을 부어 센 불로 끓인 뒤 끓어오르면 중불로 줄여 밥물을 잦힌다.
5 밥물이 잦아들면 ③의 취나물을 올려 약불에서 10분 정도 뜸을 들인다.
* 취나물에 간을 해 밥을 지으면 밥에 간이 살짝 배어 더욱 맛이 좋다. 말린 취는 밥을 지을 때 처음부터 넣고 짓지만 봄철의 부드러운 생취는 데쳐서 뜸을 들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원추리오징어숙회
기본 재료 원추리 200g, 오징어 1마리
초고추장 양념 고추장·식초 2큰술씩, 설탕 1큰술, 고춧가루 1/2큰술, 다진 마늘·깨소금 2작은술씩, 참기름 약간
만드는 법
1 원추리는 시든 부분을 다듬고 잎 사이사이의 흙을 씻어내고 물기를 빼둔다.
2 오징어는 내장을 제거하고 몸통에 잔 칼집을 넣어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다.
3 끓는 물에 원추리를 데치고 그 물에 다시 오징어를 데친다.
4 ③의 원추리는 꼭 짜서 데친 오징어와 함께 접시에 담고 분량의 재료로 만든 초고추장을 곁들여 낸다.
세발나물두부무침
기본 재료 세발나물 200g, 두부 1/3모
무침 양념 깨소금·참기름 1큰술씩, 다진 마늘 2작은술, 소금 1작은술, 국간장 약간, 소금물 적당량
만드는 법
1 세발나물은 시든 부분을 다듬어 깨끗이 씻은 후 팔팔 끓는 소금물에 재빨리 데쳐 찬물에 담가 식힌다.
2 두부는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도마에 놓고 칼등으로 부드럽게 으깨어 물기를 꼭 짠다.
3 볼에 ②의 으깬 두부를 넣고 분량의 무침 양념을 넣어 고루 버무린다.
4 ③에 ①의 세발나물을 넣고 간이 배게 조물조물 무쳐 낸다.
* 두부에 간이 배게 한 뒤 나물을 넣어야 풋내가 나지 않고 간이 고르게 배어든다.
요리 및 도움말 김영빈(수라재)
[위클리공감]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대게 한 마리 게눈 감추듯 ‘뚝딱’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