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은 호흡 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 발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천식이 있으면 숨 가쁨, 재채기, 가슴 통증, 쌕쌕거림 등이 나타난다.
하지만 이런 증상이 있다고 해서 천식이라고 단정 지을 순 없다. 이와 유사한 증세를 보이는 질환이 있기 때문이다. ‘프리벤션닷컴’이 천식으로 오해하기 쉬운 질환 5가지를 소개했다.
1. 불안증
불안증 증상은 머릿속에서만 나타나는 게 아니다. 공황 상태에 이르면 과 호흡에 이르고 이로 인해 숨이 가빠지게 된다.
또 혈액 내의 이산화탄소 양이 과도하게 늘어나면서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고 숨쉬기 힘들다는 호소를 한다.
2. 과체중
단순히 과체중이나 비만처럼 나쁜 체형 때문에 헉헉거리는 상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럴 때는 체중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천식과 유사한 증상들이 사라진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호흡기내과의 연구를 비롯한 많은 논문들이 천식과 체중 사이의 연관성을 주장하고 있다.
3. 심장, 폐 질환
가장 심각한 케이스는 심장이나 폐에 이상이 생긴 경우다. 본인이 천식 환자라고 생각한 사람 중 일부는 협심증, 폐섬유증, 폐동맥고혈압 등 보다 심각한 건강상 이슈를 가지고 있다.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폐기종이나 만성기관지염이 있는 경우도 천식으로 오해할 수 있다.
4. 고초열
봄철에 발생하기 쉬운 알레르기성 비염인 고초열은 천식으로 오해하기 쉬운 질병이다. 재채기가 나고 코 막힘으로 숨쉬기가 힘들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공기 중의 꽃가루가 원인이므로 봄부터 여름에 걸쳐 이런 증상이 반복된다면 고초열을 의심해볼 수 있다. 고초열 진단을 받았다면 꽃 피는 계절에는 외출을 줄이고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해야 한다. 또 병원에서 약물 치료나 주사 요법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도 있다.
5. 위식도 역류 질환
위식도 역류 질환이 있으면 위산이 식도를 타고 올라가면서 가슴 부위에 작열감이 느껴진다. 또 기침이 나고 목소리를 가다듬는 습관이 생기기도 있다. 이 같은 증상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천식으로 오해할 수 있다.
<자료=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2월 소비·투자 증가세…산업생산은 보합세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