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 가운데 반찬을 재활용하는 곳이 있다. 이런 재활용 반찬을 새것으로 알고 먹는 사람은 건강에 문제가 없을까? 암까지 걸릴 수 있는 재활용 반찬의 문제점을 따져보자.
1. 암 발생 1위, 위암이 급증하는 이유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에 의하면 위암은 2015년 국내에서 발생한 전체 암 가운데 13.6%로 1위를 차지했다. 흔히 위암은 짜고 탄 음식, 술 담배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많이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빼놓을 수 없다. 이 균은 위암 발생의 위험도를 6배까지 높일 수 있어 위암 전문의들이 균을 아예 없애는 제균 치료를 권할 정도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점막에 기생하는 나선 모양의 세균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 균의 독성 단백질이 위 점막에 침투해 염증을 일으키고 위암의 원인이 된다며 발암 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위염과 위궤양 등 다른 소화기질환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가족 가운데 위암 환자가 많은 것은 유전성도 있지만, 찌개나 반찬을 한 그릇에 놓고 떠먹는 식습관과 관련이 깊다. 하물며 건강 상태를 전혀 모르는 정체불명의 손님이 먹던 반찬을 자주 먹으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감염될 확률이 매우 높다. 반찬 재활용 식당에서 매일 식사를 한 사람이라면 위암에 걸릴 가능성도 증가할 수 있는 것이다.
2. 간암 원인, 간염 바이러스 전파 위험
국내 간암의 대부분은 B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해 생긴다. 미리 예방접종을 해 항체를 만들어 놔야 간암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 B형 및 C형 간염바이러스는 혈액, 침, 정액 등에 존재하는데, 이러한 체액이 손상된 점막 등을 통해 몸에 들어오면 감염이 될 수 있다. 면도기는 물론 칫솔을 공동으로 사용해도 위험한 이유다.
요즘 회식에서 ‘술 잔 돌리기’를 자제하는 이유도 간염에 감염될 우려 때문이다. 하물며 하루 수백 명 손님의 침이 묻어 있을 반찬을 자주 먹는다면 ‘술 잔 돌리기’보다 훨씬 위험하다. 그 나마 회식 상대는 평소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사람 위주이지만, 대중식당 손님은 간염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전혀 알 길이 없다.
3. 대중식당 이용하는 ‘혼밥족’의 고민
요즘 식당에서 혼자서 밥을 사 먹는 혼밥족이 늘면서 식당 위생에 신경 쓰는 사람이 많다. 식당은 가격대도 감안해야 하지만 위생이 첫째다. 어쩌다 한 번 들르는 식당이 아니라 거의 매일 가는 식당이라면 반찬 재활용 여부를 유심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반찬을 재활용하면 식중독 등 다양한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하지만 위생 불량으로 적발된 식당은 통상 일정 기간 영업 정지를 당하거나 과징금 부과 처분을 받는 게 고작이다. 식당 업주의 자정 노력이 없으면 반찬 재활용은 근절될 수 없을 것이다.
<자료=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www.kormedi.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컬러풀한 제주의 봄으로! 떠나요 제주도~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