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정말 따뜻해졌네”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봄.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평균 자외선 지수가 연일 ‘높음’이다. 기분 좋은 햇살을 즐기기 위해 무방비하게 밖에 있다가는 피부가 빨개진다. 이럴 땐 그늘에서 햇빛을 피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그 후에도 피부가 가렵고 타들어 가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다형광발진’을 의심해보자. 햇빛 알레르기는 태양광에 노출된 후 수 초에서 수 분 내에 발생해 곧 사라지지만 다형광발진은 증세가 나타나는 시기가 다르다.
다형광발진(polymorphic light eruption:PMLE)은 일광 노출 부위에 홍반, 구진, 수포 등 다양한 피부 발진을 일으키는 광피부증으로 주로 젊은 성인 여성에 자주 생기는 후천성, 특발성 질환이다.
대한피부과학회에 따르면 “다형광발진은 태양광선에 피부가 노출된 후 30분에서 수 시간 내 발생하며 오래 지속된다”고 한다. 주로 발진이 나타나는 부위는 이마, 코, 가슴 상부, 목의 뒷면과 옆면, 손등 등이고 눈썹 아래, 코 밑 등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백원기 박사팀과 피부과학교실 김정수 박사는 “다형광발진은 약 2주 정도 지속된 후 없어지고 매년 재발하는 양상이 있다”고 밝혔다.
다형광발진의 원인은 명확히 발견되지 않았으나 면역질환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바 있다. 항원이 체내에 들어온 후 48시간 지나 반응이 나타나는 세포성 면역반응인 4형 과민반응으로 보는데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피부가 벨트, 금속 귀걸이에 닿았을 때 발진이 생기는 접촉 피부염이 있다.
다형광발진을 예방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태양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이닥 피부과 상담의사 신재빈(피부과 전문의)은 “햇빛을 가려줄 수 있는 긴 소매 의복을 입고 자외선 차단제를 꼼꼼히 바르며 햇빛 아래 장시간 노출을 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자료="하이닥, ⓒ(주)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한반도 평화와 번영 두 정상 손 맞잡다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