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길을 떠나기 전 가장 먼저 살펴볼 게 타이어다. 타이어의 상태가 탑승자의 안전을 좌우한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만큼 중요하다. 먼저 타이어의 홈 깊이부터 살펴봐야 한다. 깊이가 3mm는 돼야 안전하다. 보통 타이어 홈의 마모 한계선을 1.6mm로 보지만 날씨 변화가 심한 여름에는 3mm가 좋다. 비가 와서 젖은 노면을 달릴 때 생길 수 있는 수막현상을 막기 위함이다. 또 타이어 공기압을 높여야 한다.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길 곳곳에서 타이어 파편을 보게 된다. 대부분 타이어 공기압이 낮거나 오래된 타이어로 달릴 때 타이어가 삭으면서 생긴 것이다. 공기압이 부족하면 도로와 타이어 간 접지면이 넓어져 열이 발생한다. 타이어에 열이 발생하면 펑크 같은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압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타이어 공기압은 평소보다 10% 정도 높여주면 된다. 운전석 문을 열면 안전벨트 옆 기둥에 공기압이 표시돼 있는데 적혀 있는 숫자보다 10% 정도 더 공기를 넣어주면 평상시보다 좀 더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 |
고속도로를 주행할 때는 평상시보다 타이어에 공기를 10~15% 더 주입하면 연료비를 최대 10% 아낄 수 있다.(사진=조선DB) |
휴가철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막히는 구간이 많아 가다 서다를 반복하게 된다. 그러다 보면 엔진 온도가 높아질 위험이 있는데 이를 오버히트라고 한다. 따라서 고속도로를 주행할 때는 계기판에 있는 수온계를 잘 살펴봐야 한다. 엔진의 적정온도는 85~95도 정도. 엔진 온도가 높아졌을 때 제때 식혀주지 않으면 엔진을 교체해야 하는 상황까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운전하기 전 냉각수량이 얼마나 남았는지 점검한다. 만약 엔진 과열로 오버히트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차를 안전한 곳에 세워야 한다. 그다음 에어컨을 끄고 시동을 건 상태로 엔진이 식을 때까지 기다린다. 온도가 내려가지 않으면 가까운 정비소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여름철 차안에서 에어컨을 켜고 오랜 시간 창문을 닫고 있으면 산소가 부족해 멀미를 하거나 졸음운전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창문을 열어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졸음운전을 하지 않으려면 2시간마다 운전자가 휴식을 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 차 바닥의 먼지를 제거한다. 에어컨을 틀면 에어컨 내부에 팬이 돌아가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를 일으킨다. 먼지가 호흡기로 침투하면 차 안에서 미세먼지를 그대로 마시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차 내부에 있는 먼지를 제거하고 운행하는 것이 좋다.
먼 길을 떠나기 전에는 차가 제대로 움직일 수 있게 도와주는 오일이 충분한지도 체크해야 한다. 엔진오일, 브레이크오일 등 오일 종류뿐 아니라 워셔액도 살펴본다. 또한 브레이크등, 방향등, 전조등, 미등 같은 등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해야 안전사고를 피할 수 있다.
도움말 | 박병일 카 123텍 대표
[위클리공감]
- 공공누리 출처표시 및 변경을 금하는 조건으로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미리 알고 떠나자…여름휴가 응급처치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