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를 다시 생각한 건 순전히 우연이었다. 뉴스를 둘러보다 눈에 걸린 1단짜리 해외 단신 때문이다. 보도한 매체는 거의 없었다. 남북 문제, 여야 정쟁, 끔찍한 살인 사건, 이런 이슈만으로도 신문 지면이 부족할 테니 데스크 눈에는 참으로 한가한 아이템이었을 거다. 그런데 나에겐 이날의 뉴스 중 가장 아름답고 신선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0월 18일 새로운 별자리 21개를 발표했다. 페르미 위성 발사 10주년을 기념해 위성이 관측한 별들에 형상을 상상해 이름을 붙였다. 감마선을 내뿜는 별들을 선으로 묶은 것이다. 새 별자리에는 어린 왕자, 헐크, 고질라, 묠니르(토르의 망치), 에펠탑, 콜로세움, 금문교, 오벨리스크 등 소설과 영화 속 이름이나 친근한 건축물 이름이 헌정됐다.”
나사가 명명해서 공개한 어린 왕자와 헐크 별자리. |
별자리 명명권은 국제천문연맹(IAU)이 갖고 있다. IAU가 공식 인정한 별자리는 요즘 우리 눈에 잘 보이는 오리온 성좌 등 88개다. 그래서 나사가 이번에 작명한 별자리는 비공식이다. 일종의 이벤트 형식이다. 황소, 사자, 전갈 같은 동물 이름에 익숙한 우리에게 새 별자리 이름들은 현대적이고 발랄하고 귀엽기까지 하다.
그중 누가 뭐래도 가장 기가 막히게 어울리는 건 바로 ‘어린 왕자’ 별자리다. 얼마나 근사한가. 어린 왕자의 고향이 별이니까. 어린 왕자는 줄로 엮은 철새들에 매달려 여섯 개 별을 지나 지구별에 왔다. 어린 왕자 별자리의 별 숫자도 여섯 개로 정해졌다. 프랑스 언론 보도가 궁금했다. 잡지 락튀알리테의 첫 문장이 멋졌다. “눈을 들어라, 이제 당신의 영웅이 그대를 내려다보고 있다.”
#1. 1942년 봄 뉴욕의 한 식당. 점심을 먹고 있던 생텍쥐페리는 흰 냅킨에 장난삼아 그림을 끄적거렸다. 함께 식사하던 출판업자 커티스 히치콕이 뭘 그리냐고 물었다. “별 거 아닙니다. 마음에 담아 가지고 다니는 한 어린 녀석이지요.” 히치콕이 그림을 살펴보곤 말했다. “어린이들을 위해 이 아이에 관한 이야기를 써보면 어떨까요. 올해 성탄절 이전에 책을 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생텍쥐페리는 바로 문방구에 가서 색연필을 샀다.
조종사 생텍쥐페리. 비행은 그의 삶 자체였다. |
조국 프랑스가 독일에 점령되자 아내와 함께 미국으로 떠났던 생텍쥐페리는 겨우내 집필에 몰두했다. 직접 삽화를 그렸다. ‘어린 왕자’는 1943년 4월 6일 레이널앤히치콕 출판사에서 영어(‘The Little Prince’)와 불어(‘Le Petit Prince’)로 출간됐다. 그의 조국에서는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나왔다. 그가 하늘에서 사라진 뒤였다.
위대한 것은 때로 이렇게 사소한 일에서 시작된다. 냅킨에 그린 낙서 한 장에서 프티 프랭스는 태어났다. ‘어린 왕자’는 250여개 국 언어로 번역돼 1억 권 이상 팔렸다. 성서 다음의 베스트 셀러라고들 한다.
#2. 그로부터 1년 후, 1944년 7월 31일. 지중해의 여름 하늘은 구름 한 점 없이 맑고 짙푸르고 뜨거웠다. 조국으로 돌아와 자유프랑스군 조종사로 참전한 생텍쥐페리는 아침 8시 45분 독일군 이동을 정찰하는 임무를 띠고 코르시카섬 미 공군기지에서 이륙했다. 조종사 허용 나이보다 아홉 살이나 많은 그의 비행은 여러 번 거부됐고 마지막 비행이었다. 기지 귀환 예정 시각은 오후 1시 30분. 채워진 연료로는 6시간만 비행할 수 있었다. 그날 생텍쥐페리의 애기(愛機) p38 라이트닝 정찰기는 돌아오지 않았다. 그의 나이 44세였다. 독일군 전투기에 격추된 걸로 추정됐지만, 그가 스스로 마지막을 선택한 것이라는 말도 있었다. 전후 프랑스에서는 생텍쥐페리의 실종 미스터리를 밝히려는 움직임이 계속 있었다.
그로부터 54년이 흐른 1998년 마르세유 동남쪽 바다. 넙치잡이 어부들이 쳐놓은 그물에 은 팔찌 하나가 걸려 올라 왔다. ‘콘수엘로’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 생텍쥐페리가 평생 사랑한 아내 이름이다. 몇 년 뒤, 그가 몰았던 비행기 잔해로 추정되는 조각들이 같은 해역에서 수거됐다.
다시 시간은 흐르고 2008년 3월.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공군 조종사로 복무했던 호르스트 리페르트(당시 89세)란 노인이 프랑스 언론과 인터뷰를 했다.
“이제 안 찾아다녀도 된다. 내가 그날 p38 라이트닝 정찰기를 격추시켰다. 며칠 후에야 그 정찰기 조종사가 생텍쥐페리였다는 걸 알았다. 나는 제발 그가 아니길 바랐다. 우리 시대의 모든 젊은이들이 그러했듯이 나도 그의 책에 빠져있었기 때문이다.”
앙트완느 드 생텍쥐페리(Antoine de Saint-Exupéry, 1900~1944). 많은 이들은 그가 그냥 신화 속에 머물러 있기를 바란다. 나도 그가 그냥 떠났다는 생각이 든다. 어린 왕자가 지구별에 머물렀다가 뱀에 물림을 자청해 자신의 별로 돌아간 것처럼. 그에게 비행은 직업이자 운명이었다. 하늘은 사색과 명상의 통로였고 비행은 작품의 뿌리였다.
프랑스는 그를 사랑했다. 그의 초상은 유로화 통합 이전 프랑스 50프랑 지폐에 자신이 그린 어린 왕자와 보아뱀을 삼킨 코끼리, 비행기와 함께 있었다. 그는 ‘야간비행’ 이나 ‘인간의 대지’ 같은 자신의 대작에 비교하면 소품 격인 ‘어린 왕자’가 후대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작품이 될 것이라고 상상이나 했을까.
소행성 b612에서 별을 바라보는 어린 왕자. |
한 번도 안 읽은 사람은 있을지언정 한 번만 읽은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나도 그랬다. 어릴 때는 그 먹먹하고 아련한 슬픔의 정체가 정확하게 무엇인지도 모르고 그저 읽으며 가슴이 저리기만 했다. 나이 먹어 혼돈과 미망에 빠져 있을 때는, 아무 페이지나 펼쳐도 거기에 해답과 위안이 있었다. 한 줄 한 줄이 다 아포리즘(잠언)이었다. 한때 내 이메일 아이디나 닉네임은 모두 ‘b612’였다. 그 의미를 바로 알아준 사람은 마치 고향사람처럼 반가웠다. 화산구 세 개와 새침데기 장미, 커다란 바오밥 나무만 있는 소행성 b612에서 하루에 44번까지나 노을을 바라보던 어린 왕자는 바로 나이고 당신이고 우리였다.
어린 왕자는 지구상에서 가장 슬프고 아름다운 시다. 동화가 아니다. 국내의 일 백여 번역본 중 얼마 전 타계한 불문학자 황현산 선생이 2015년에 번역한 게 백미로 꼽히는데 선생은 “어린 왕자는 철학책”이라고 했다. 삶과 죽음, 관계와 사랑, 절대적인 것, 변하는 것, 집착과 초월, 현명함과 어리석음, 세상의 비밀에 대해 슬프지만 아름답게 말했다. 이 시의 이상적인 독자는 ‘한때 어린이였으나 이제는 어린이가 아닌’ 이들이다.
별은 모두의 마음속에 있다. 사람은 별과 운명적인 인연이 있다. 여름방학 때 외할머니댁(별을 생각하면 왜 할머니보다 외할머니댁이 떠오를까)에 놀러가 밤하늘에 쏟아지는 별을 보고 벅찬 감동과 아득한 황홀을 느꼈을 것이다. 그리고 내 별 네 별 하며 소곤댔을 터다. 하늘에는 물병자리든 황소자리든 내 별자리가 있다. 별자리에는 길흉화복이 있다. 아득히 먼, 저 별은 그렇게 나와 닿아 있다. 나는 어느 별자리에서 왔을까, 죽으면 그리로 돌아갈까, 나도 별일까.
우리 모두 별을 잃어버린 시대에 산다고 말한다면 너무 감상적일까. 별이 여행의 나침반이 되고 꿈을 꾸어주던 시대는 종말을 고했다. 도시 하늘에 반짝이는 건 별이 아니다. 인공의 빛에 눈이 먼 우리는 별을 보지 못한다. 그래서 사막에 숨어있는 우물을 보지 못 하고, 네가 네 시에 온다 해도 세 시부터 행복해지지 않는다.
나사가 새로 명명한 별자리들은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그건 중요하지 않다.
“비밀을 가르쳐 줄게. 아주 간단한 거야. 마음으로 봐야만 잘 보인다는 거야. 정말 중요한 건 눈에 보이지 않거든.”
오늘 밤 별을 봐야겠다. 그가 웃고 있을 것이다.
◆ 한기봉 언론중재위원/칼럼니스트
한국일보에서 30년간 기자를 했다. 파리특파원, 국제부장, 문화부장, 부국장, 주간한국 편집장, 인터넷한국일보 대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초빙교수로 글쓰기와 한국 언론에 대해 강의했다. 언론보도로 피해를 본 사람과 언론사 간 분쟁을 조정하는 언론중재위원이다. hkb82107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