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을 먹을 때 이가 너무 아파요!
이런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어떻게 해야 하죠?”
평소 우리는 치아 건강을 신경 쓰지만 잇몸 관리는 소홀하기 일쑤입니다. 잇몸이 건강해야 치아도 건강한 법인데 말이죠. 잇몸이 붓고 시리며, 입에서 냄새가 난다면 이미 잇몸 건강을 잃었다고 봐야 합니다. 치주질환이 발생하면 위의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혹시 지금 잇몸이 아프다면, 소 잃고 외양간 고치지 않도록 서둘러 잇몸 건강을 지켜주세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다빈도 질병 통계에 따르면 치은염 및 치주질환은 2016년에 이어 2017년에도 가장 많은 외래 진료 환자 수 2위(1519만 명)를 차지했습니다. 환자들의 병원 내원일수도 증가했습니다. 2015년에는 2732만 일이었으나 2017년에는 3097만 일로 증가했습니다.
다빈도 질병 시리즈 두 번째 이야기, ‘치은염 및 치주질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에 따르면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5년 1343만2010명에서 2017년 1518만2391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연령별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50대가 21.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뒤이어 40대(19.1%), 60대(15%), 30대(14.9%) 순으로 진료 인원이 많았습니다.
□ 산출조건(치은염 및 치주질환)
상병코드 : K05/심사년도 : 2015~2017년/지급구분 : 지급(심사결정분)/산출일 : 2018년 10월 31일
□ 제공: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http://opendata.hira.or.kr
※ 상병은 요양기관에서 청구명세서상 기재해 온 진단명을 토대로 산출
※ 더 자세한 통계 자료는 심평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치은염이란 ‘염증이 치은(잇몸) 조직에만 있을 때’를 말합니다. 이러한 치은염을 방치해 치주 인대와 치조골이 파괴될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부릅니다. 이 두 질병을 합쳐서 흔히 잇몸질환이라고도 합니다. 보통은 플라크와 치석이 잇몸에 쌓이면서 염증 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조금 더 깊이 알아보도록 할까요?
치주조직은 치아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치은’과 그 아래를 둘러싸며 치아를 고정시켜주는 ‘치주부착기구’로 나뉩니다. 치주부착기구는 백악질과 치주인대로 구성돼 있습니다. 건강한 치주조직은 치아 주변에 염증이 없고 치아가 정상적인 저작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됩니다.
건강한 치은은 산홋빛을 띠며 표면이 오렌지 껍질 같은 형태의 볼록한 상을 보입니다. 하지만 치석이나 치태가 쌓이면 겉살에 염증이 생겨 잇몸이 붉은 색을 띠고 부어오르거나 표면이 매끈하게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염증이 더 진행되면 잇몸에서 피가 나고 경우에 따라서는 치아가 흔들리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치아 흔들림이 심해지거나 음식물을 씹을 때 욱신거리는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치과를 방문해 진료 받아야 합니다. 만약 치은염 단계에서 제때 치료를 받지 않으면 염증이 반복적으로 재발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치아를 빼야 할 수도 있습니다.
치주질환의 원인은 매우 복합적입니다. 대표적으로 치태와 치석을 꼽을 수 있습니다. 치태를 다른 말로 플라크라고 하는데요. 이 치태는 치아 표면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지만 칫솔질에 의해 제거가 가능합니다.
치태가 단단하게 굳어지면 치석이 됩니다. 치석이 잇몸 아래쪽에 붙어 있다면 양치질만으로는 제거가 어려우며 정기적으로 스케일링을 받아야 합니다. 특히 당뇨병 등으로 신체 저항력이 떨어져 있거나 전신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심한 치주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주질환 치료를 받으면 예전과 같이 건강한 잇몸으로 돌아갈 수 있을 거라 기대하지만 그러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치주질환 치료는 치주질환의 진행 속도를 늦추거나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막는 데 목적을 둡니다. 그러니 미리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 습관
칫솔질의 목적은 식사 후 치아 사이사이에 남아있는 음식물과 함께 구강에 번식한 세균들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칫솔질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칫솔질은 구석구석 빠뜨리지 않고 꼼꼼하게 닦아줘야 합니다. 치주질환이 자주 발생하는 어금니는 안쪽까지 잘 닦아야 합니다. 이러한 부분들을 빠뜨리지 않고 구석구석 닦으려면 순서를 정해서 닦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치주병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치아와 잇몸사이도 닦아주세요.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나 치태 등은 칫솔질만으로는 없애기 어렵기 때문에 치실, 치간 칫솔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치과 치료를 하고 있다면 잇몸 염증을 가속화 시키는 술과 흡연은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치태를 깨끗하게 제거하기 위해 치과에서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중요한데요. 스케일링은 연 1~2회 정도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나래 웹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실직·휴폐업 따른 ‘긴급복지’ 선정 재산기준 40% 완화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