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한국 국가채무비율 선진국 대비 양호…적극적 재정운용 필요

5월 26일 <국가채무 관련 기사>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획재정부는 “코로나19 위기극복과 민생안정 지원을 위해 적극적 재정운용이 필요하다”며 “우리나라 국가채무비율은 선진국 대비 양호하며 국제사회에서도 우리의 재정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정부는 주요국 대비 양호한 재정여력을 활용해 경제위기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와 동시에, 재정리스크 요인을 지속 점검하고 강도 높은 지출구조조정을 병행해 중장기적으로 재정건전성도 관리해 나가겠다”고 설명했습니다.

2020.05.26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기획재정부 보도참고자료]

□ 코로나 위기극복과 민생안정 지원을 위해 적극적 재정운용 필요

ㅇ우리나라 국가채무비율은 선진국 대비 양호하며, 국제사회에서도 우리의 재정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

- 우리나라 채무비율은 주요국 대비 약 1/3 수준

* ’18년 일반정부부채(D2) 비율(GDP 대비, %) : OECD 33개 국가 중 4위 ⇒(韓)40.1, (美)106.9, (日)224.1, (獨)70.3, (OECD)109.2

- 신용평가사에서도 우리나라가 코로나 대응을 위한 재정여력이 있다고 평가

최근 신평사의 우리나라 재정에 대한 평가
▶(Fitch) 한국의 재정건전성을 119개국 중 14위로 전망(’20.4)
▶(S&P) 수년간 재정수지 흑자 → 재정건전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경기부양책 가능(’20.4)
▶(Moody’s,) 한국은 효과적인 거시경제·재정·통화 관리 역량 보유, 코로나로 인한 경제적 피해 제한적 → 재정건전성이 심각하게 약화되지 않을 전망(’20.5)

ㅇ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주요국들도 적극적 재정운용* 중

* G20 국가의 재정 및 금융지원 규모(GDP대비, 해외는 IMF 자료, 한국은 대책발표기준) :
(미국) 11.1% (영국) 18.8% (독일) 34.0% (일본) 20.5% (중국) 2.5% (한국) 12.8% 
- 이로 인한 재정수지 적자 및 국가채무 증가는 全세계 공통 현상

- IMF는 코로나 대응으로 선진국의 경우 ‘19년 대비 ’20년  재정수지비율이 △7.7%p, 국가채무비율이 +17.2%p 전망

재정지표 전망(IMF Fiscal Monitor, '20.4)

□ 정부는 주요국 대비 양호한 재정여력을 활용하여 경제위기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

ㅇ 이와 동시에, 재정리스크 요인을 지속 점검하고, 강도 높은 지출구조조정을 병행하여, 중장기적으로 재정건전성도 관리해 나가겠음

문의: 기획재정부 재정건전성과(044-215-5741)

이전다음기사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