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한글로 민족정신 지킨 장지영·김윤경·권덕규 ‘10월의 독립운동가’

우리말 사전 편찬 크게 기여…영화 ‘말모이’ 제작 동기 되기도

2021.10.01 국가보훈처
목록

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장지영·김윤경·권덕규 선생을 ‘2021년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세 명의 선생은 일제의 우리말 탄압에도 꿋꿋하게 한글을 연구하고 우리말 사전을 편찬하는데 크게 기여한 분들로, 이분들의 노력으로 우리말의 보전과 과학적 연구가 가능했으며 민족 언어를 지킬 수 있었다.

특히 이분들의 조선어학회 활동과 조선총독부가 일으킨 조선어학회사건은 영화 ‘말모이’의 제작 동기가 되기도 했다.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한 장지영·김윤경·권덕규 선생. (사진=국가보훈처)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한 장지영·김윤경·권덕규 선생. (사진=국가보훈처)

먼저 장지영 선생은 1905년 관립한성외국어학교 한어과(漢語科) 졸업 후에 주시경 선생을 찾아가 3년간 한글 문법을 배웠다.

이어 주시경 선생의 이념을 계승하고 한글을 체계화하기 위해 김윤경·권덕규 선생 등과 1921년 12월에 조선어학회 전신인 조선어연구회를 조직해 한글 연구, 표준어 확립 및 사전 발간 사업을 했고 1927년 2월 최초 국어 전문잡지인 ‘한글’을 창간했다.

1931년 조선어연구회를 개편한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 통일안’ 제정위원으로 선출돼 활동했고, 1933년 10월 마침내 ‘한글맞춤법통일안’을 공표했다.

1935년 1월부터는 표준어 사정위원으로 참여해 2년 동안 약 1만 개의 어휘를 정립한 1942년 ‘조선어대사전’을 발행했는데, 조선총독부는 한글 말살정책 강화와 연구자들을 탄압하기 위해 ‘조선어학회사건’을 일으켰고 이에 연루된 선생은 모진 고문을 받다가 1944년 10월에 석방됐다.

김윤경 선생은 1911년 1월 서울 남부 상동의 사립청년학원에 입학해 평생 은사인 주시경 선생으로부터 한글을 배웠다.

또한 조선어연구회 회원들과 연구를 해 1922년 1월 ‘우리말과 글의 예와 이제를 보아 바로 잡을 것을 말함’이라는 논문을 작성했고, 조선어사전 편찬위원으로 선임돼 한글을 체계적으로 연구했다.

1931년에는 전국을 순회하며 청년들에게 한글을 강습했고, 1934년 5월에는 한국사와 한국어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진단학회의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해 국학운동에 전념했다.

이후 1937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혹독한 고문을 겪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글 연구를 집대성한 조선문자급어학사를 1938년 수감 중에 발간했다.

선생 또한 조선총독부에서 일으킨 조선어학회사건에 연루돼 1년간 가혹한 옥고를 겪었고 1943년 9월 기소유예로 석방됐다.

권덕규 선생은 1910년 서울 휘문의숙에 입학해 주시경 선생을 만나 사제관계를 맺었는데, 주시경 선생을 도와 최초의 한글 사전인 ‘말모이’ 편찬에 참여했다.

특히 1914년 주시경 선생 사망 이후에도 한글 보존의 일념으로 말모이 편찬을 이어갔으며, 1919년 12월부터 1920년 1월까지 8회에 걸쳐 매일신보에 ‘조선어문에 취하야’라는 논설로 한글 이론을 강의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923년에는 한국어 이론서이자 교과서로써 큰 의미가 있는 조선어문경위를 발간했고, 1926년 한글 맞춤법 확립운동의 시작으로 평가되는 정음회를 조직했으며 1929년 10월에는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의 준비위원회에도 참여했다.

이밖에도 1931년부터 1934년까지 조선어강습회의 강사로 참여해 조선어 강습과 대중강연, 한글 관련 좌담회 연사로 활동해 동아일보 창간 10주년 기념 특집기사에서 ‘조선어문 공로자’로 선정됐고, 1936년 조선어학회에서 발족한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에도 참여했다.

선생 역시 조선총독부에서 일으킨 조선어학회사건에 연루됐으나 와병 중인 탓에 구속되지 않았고, 1943년 4월 기소중지 처분을 받았다.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한 장지영·김윤경·권덕규 선생. (사진=국가보훈처)

이러한 선생들의 활동은 일제의 민족말살 정책과 통치를 강화했던 암울한 시기에 우리말을 끝까지 지킴으로써 민족정신과 자존감을 지켜낸 학술적 독립운동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부에서는 선생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장지영 선생과 김윤경 선생에게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권덕규 선생에게는 2019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각각 추서했다.

문의 : 국가보훈처 공훈관리과(044-202-5780)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식약처, 글로벌 규제과학 선도 우수 연구개발사업 선정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