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지난해 국내 방송시장 18조 규모…전년대비 1.9% ↑

과기부·방통위 ‘2021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증가율 전년대비 감소

유료방송 3479만 단자, 프로그램 제작·구매비 2조9000억, 종사자 3만7000명

2021.12.27 과학기술정보통신부·방송통신위원회
글자크기 설정
목록

지난 2020년도 국내 전체 방송시장은 18조 118억 원 규모로 전년대비 1.9% 증가했다. 유료방송 가입자는 3479만 단자, 방송프로그램 제작·구매비 약 2조 9000억 원, 종사자 약 3만 7000명 등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18일 ‘2021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 방송시장 규모는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고 밝혔다.

방송산업 실태조사는 정부 정책과 민간 경영계획 수립 등의 기초가 되는 방송산업의 변화 양상과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매년 매출 연 1억 원 이상의 국내 모든 방송사업자를 대상으로 매출, 가입자, 투자액, 종사자 등을 조사하는 국가승인 통계다.

방송산업 개황
방송산업 개황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방송시장 규모는 방송사업 매출액 기준으로 18조 118억 원으로 전년대비 1.9%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전년 대비 2.1%p 감소했다. 2019년 대비 지상파와 IPTV의 매출은 증가한 반면 그 외 매체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지상파방송사업자의 총 매출액은 3조 6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497억 원 증가(+1.4%)했다. 방송사별로 KBS 1조 3522억 원(+0.5%), MBC(계열사 포함) 9046억 원(+3.4%), SBS 7055억 원(-0.3%)으로 집계됐다.

또한 지상파 매출 중 비중이 가장 높은 광고 수익은 전년 대비 -9.0% 하락해 약 1조원 수준에 머물렀다.

유료방송사업자의 총 매출액은 6조 7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3214억 원 증가(+5.0%)했으나 성장률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 사업자 유형별 매출액은 SO 1조 9328억 원(-4.4%), IPTV 4조 2836억 원(+11.1%), 위성방송 5328억 원(-2.9%) 순이었다.

SO의 경우 수신료와 홈쇼핑 송출수수료의 감소로 2011년도 이후 최초로 매출이 2조원에 못 미쳤으며, 수신료 비중이 지속적으로 줄어 지난해에 홈쇼핑 송출수수료의 비중이 수신료 비중을 추월했다.

홈쇼핑을 제외한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의 매출액은 3조 3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1289억 원 감소(-3.8%)했다. 사업자 유형별 매출은 종편PP 9078억 원(+10.3%), 보도PP 1710억 원(+6.4%), 일반PP 2조 1837억 원(-8.9%)이었다.

데이터홈쇼핑 PP를 포함한 홈쇼핑PP의 매출액은 3조 8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1000억 원 증가(+2.7%)했고, TV홈쇼핑 매출은 3조원에서 정체 중인 반면 데이터홈쇼핑 매출은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매체별 방송사업 매출 추이(단위: 억 원)
방송매체별 방송사업 매출 추이(단위: 억 원)

한편 유료방송 가입자는 3479만 단자로 전년대비 97만 단자 증가(+2.9%)했으나, 증가율은 2016년 이후 하락세를 보였다.

사업자 유형별 가입자 수는 IPTV 1854만 단자(+8.2%), SO 1313만 단자(-2.6%), 위성방송 308만 단자(-2.7%), RO 3만6000 단자(-21.5%)였다.

방송프로그램 제작·구매비는 2조 9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3569억 원 감소(-11.0%)했다. 지상파의 경우 전년보다 감소폭이 확대돼 9699억 원이었고 종편PP는 전년대비 증가(+22.4%)했으나 이 외 PP는 감소했다.

방송프로그램 수출액은 2019년 대비 1억 2440만 달러(+33.9%)가 늘어나 최초로 4억 달러를 돌파해 4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방송프로그램 수입액은 약 5900만 달러로 PP의 방송프로그램(완성품) 수입 규모 축소 등으로 2019년 대비 3764만 달러 감소(-38.8%)했다.

방송분야 종사자 수는 3만 7000여 명으로 전년대비 420명이 감소(-1.1%)했다. 사업자별 종사자 수는 지상파 1만 3827명(-631명, 전체의 37.2%), 유료방송 6014명(+161명, 전체의 16.2%), PP 1만 7249명(+68명, 전체의 46.5%)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실태조사 결과는 과기정통부(www.msit.go.kr), 방통위 방송통계포털(www.mediastat.or.kr), 정보통신정책연구원(www.kisdi.re.kr)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해 이용할 수 있다.

문의 : 과기정통부 방송진흥기획과(044-202-6528), 방송통신위원회 미디어다양성정책과(02-2110-1461)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내년부터 ‘근로시간 단축제도’ 1인 이상 사업장까지 확대 시행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