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생활치료센터 5월 초까지 권역별 1개 수준으로 감축

가동률 9.7%로 낮아져…일반의료체계로 전면 전환되면 운영중단

2022.04.29 정책브리핑 신주희
목록

오는 5월 초까지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를 권역별 1곳 수준으로 감축하고, 생활치료센터를 대체할 시설이 있는 지자체는 운영 중단도 적극 검토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9일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확진자 수가 감소함에 따라 의료체계 여력이 커지고, 이에 따라 생활치료센터를 단계적으로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를 통해 절감되는 의료인력과 장비 등은 코로나 전담병상과 일반 의료체계 부분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 영등포구의 한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상황실에서 운영총괄반 직원이 센터 내 설치된 CCTV 관제모니터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울 영등포구의 한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상황실에서 운영총괄반 직원이 센터 내 설치된 CCTV 관제모니터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정부는 재택치료가 활성화됨에 따라 가동률이 낮고, 투입 예산·인력 전환 배치 등을 고려해 생활치료센터를 단계적으로 감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30일 50.9%였던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지난 28일 9.7%로 낮아졌고, 지난 8일 기준 전국 89개 1만 9703병상에서 28일 기준으로 53개 1만 2389병상으로 줄였다.

향후 일반의료체계 전면 전환 전까지 지자체는 가동률과 병상현황 등을 고려해 지자체별 상황에 따라 생활치료센터를 감축하되, 한시적으로 사회적 고위험군 수요를 위한 최소 필수병상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손 반장은 “재택치료가 안착되면 생활치료센터의 활용도는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의료자원과 비용이 불필요한 점을 고려해 생활치료센터부터 우선적으로 단계적 감축에 착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5월 초까지 각 권역별로 1곳 수준으로 줄이고, 중수본 차원에서 2곳을 유지해 전국 12곳 약 2400여 병상까지 감축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시설들은 재택치료가 어려운 사회적 고위험군의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며, 다른 대체시설을 운영하는 지자체는 더 감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일반의료체계 전면 전환 이후 생활치료센터 기능이 소멸됐다고 판단되면 생활치료센터 운영을 중지하고, 향후 재유행을 대비해 지자체별 1곳 이상 예비시설 지정을 포함한 비상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문의 :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소통팀(044-202-1714), 생활치료센터확충팀(044-202-1786)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어린이날 100주년…5월 한달간 ‘어린이 문학주간’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