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뉴스

콘텐츠 영역

축산재해대응반 가동…가축 폭염 폐사에 총력 대응

7월까지 가축 21만 6000마리 폐사…현장 기술지원 강화

피해 농가에 재해보험 손해액 산정, 보험비 지급 신속 지원

2024.08.02 농림축산식품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축산 농가의 폭염 피해 최소화를 위해 긴급 폭염 대응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지난달 27일 장마가 끝난 뒤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폭염 특보가 발령된 가운데, 지난달 31일까지 폭염으로 닭 19만 9000마리, 돼지 1만 5000마리 등 가축 21만 6000마리가 폐사했다.

지난해 여름 경기도 화성시의 한 축사에서 젖소들이 천장에 설치된 대형 선풍기와 쿨링포그 시설로 더위를 식히고 있는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지난해 여름 경기도 화성시의 한 축사에서 젖소들이 천장에 설치된 대형 선풍기와 쿨링포그 시설로 더위를 식히고 있는 모습.(ⓒ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닭은 전체 가축사육 두수의 0.1%, 돼지는 0.14% 수준으로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만, 예년보다 일찍 시작된 폭염으로 가축 폐사 등 피해가 커질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당분간 전국적으로 무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가동 중인 축산재해대응반을 통해 가축의 폭염 피해 예방을 위해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

우선, 품목별 생산자단체, 농협 등을 통해 축사 내부 온도를 낮추고 가축 음수 관리 등 폭염 대비 가축 사양을 관리하는 요령을 전파한다.

아울러, 차광막, 환풍기, 스프링클러, 단열효과가 있는 특수페인트 등 농가 지원을 확대하고, 보급한 시설장비가 고장 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사후관리(A/S) 체계도 미리 점검한다.

또한, 농촌진흥청과 지자체가 협력해 현장기술지원단(5개반, 46명)을 통해 가축 폭염 피해 예방을 위한 현장 기술지원도 강화하고, 피해 발생 농가에는 재해보험 손해액 산정, 보험비 지급 등을 신속히 진행한다.

농식품부는 농협과 계열업체에서도 폭염 피해 최소화와 피해 농가 지원에 적극 나서 달라고 요청했다.

전북 김제시 용지면 한 양계장에서 더위에 지친 닭들 위로 안개분무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전북 김제시 용지면 한 양계장에서 더위에 지친 닭들 위로 안개분무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정욱 축산정책관은 “지자체와 관계기관은 폭염으로 가축 폐사 등 피해가 확산하지 않도록 총력을 다하고, 취약시설에 대해 집중 점검·관리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축산농가에서도 고온에 취약한, 닭, 돼지 등이 폐사하거나 성장이 지연되는 피해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축사 온도관리 철저, 충분한 음수 제공 등 사양관리 요령에 따라 가축의 건강을 잘 챙겨 달라”고 덧붙였다.

문의: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관 축산정책과(044-201-2317)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수산물 사면 최대 2만 원 온누리상품권 받는다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