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2022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96조 9,377억 원 편성

2021.08.31 보건복지부
목록
2022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96조 9,377억 원 편성
- 전년 대비 8.2%(7조 3,611억 원) 증가, 정부 총지출 중 16.0%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국정과제를 완결하고, △소득 양극화 대응, △저출산 극복 및 △바이오헬스 신산업 육성을 기본 방향으로 2022년 예산(안)을 2021년 대비 8.2% 증가한 96조 9,377억 원 편성하였다고 밝혔다.

< 주 요 내 용 >

1 취약계층 소득생활 안정

기준 중위소득 5.02% 인상(4인 가구),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전면폐지, 의료급여는 부양의무자 가구에 기초연금을 받는 노인이 있는 경우 폐지

자활 일자리 확대(+8천 명), 취약계층 및 청년 자산형성 지원(적립액 10만 원에 대해 1∼3배 국비 매칭)

아동발달지원계좌 매칭 비율 상향(1:1→1:2, 월10만 원), 보호종료아동 자립 수당 지원 기간 확대(월 30만 원, 종료 후 3년→5년)

긴급복지 대상 확대, 상병수당 시범사업 추진, 재난적 의료비 지원 확대(본인 부담 50%→ 소득수준에 따라 50∼80%, 3천만 원 한도)

탈시설 장애인 자립지원 시범사업 추진,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이용시간 확대(100→120시간), 장애인 일자리 확충(+2,500명)

2 저출산·고령사회 인구구조 변화대응

영아수당(0-1세 대상, ’22.1.1 출생아부터 30만 원 지급),
출산지원금(’22.1.1 출생아부터 200만 원 일시금) 도입,
아동수당 지급 연령 확대(만 7세→만 8세 미만)

노인일자리 확대(80만 개→84.5만 개), 기초연금 단가인상(30만 원→30만 1,500원), 국민연금 저소득 지역가입자 보험료 지원 도입

3 안전한 돌봄체계 구축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550개소), 보육료 인상(3%)
다함께돌봄(+450개소), 학교돌봄센터(+100개소) 확충

중증 장애아 아이돌봄서비스 시간(720→840시간/연) 확대

아동학대 재원 일원화(범피, 복권기금→ 일반회계) 및 대폭 증액(45.4%↑)

4 국민 건강안전망 강화

책임의료기관(35→ 43개소), 지방의료원 내 스마트병원*(신규 3개소) 확충

* ICT를 의료에 활용 (예: 원격 중환자실, 스마트 감염관리, 비대면 협진 등)

임신바우처 확대(60→ 100만 원/청소년 산모 120만 원 추가, 기간 1→ 2년)

권역정신응급의료센터 지정(8개소), 정신건강복지센터 확충(260→271개소)

5 바이오헬스 선도국가 도약

글로벌 백신허브 구축을 위해 백신 생산기업 등에 투자하는 K-글로벌 백신펀드 조성(2년간 1조 적립/매년 국비 500억 원), 백신개발 연구개발(R&D), 인력양성 등 지원 (총 1,425억 원 규모)

국산 의료기기 사용 활성화 및 수출 지원, 화장품 산업 진흥, 의료데이터 이용 확대 등 지원 (총 602억 원 규모)

감염병 대응, 바이오헬스, 치매·정신건강 등 공익적 의료연구 및 재활·돌봄 등 취약계층 맞춤형 연구개발(R&D) 확대 (총 7,038억 원 규모)

2022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규모 및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2022년 보건복지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 규모

2021년 8월 31일(화)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된 2022년 정부 총지출은 전년 대비 8.3% 증가한 604.4조 원이며, 보건복지부 총지출은 전년 대비 8.2% 증가한 96조9,377억 원 (정부 전체 총지출의 16.0%)

총지출 증가 규모(7.4조 원)는 정부 전체(46.4조 원)의 15.9%

< 2022년 정부 전체․보건복지부 총지출 규모(안) >

(단위 : 조원, %)

2022년 정부 전체․보건복지부 총지출 규모
구 분 ’21 ’22 증감 %
○ 정부 전체 총지출(a) 558.0 604.4 46.4 8.3
○ 보건복지부 총지출(b) 89.5 96.9 7.4 8.2
·보건복지부 비율(%) b/a 16.0 16.0 -

2022년 총지출은 ‘21년(89조5,766억 원) 대비 8.2%(약 7조3,611억 원) 증가

회계별로 예산은 ‘21년 대비 9.9%, 기금은 5.4% 증가

사회복지 분야는 ‘21년 대비 6.7%, 보건 분야는 16.8% 증가

* 질병관리청 지출 중 건강․응급기금 예산((’21년) 5,985억 원 → (’22년) 6,349억 원(364억 원, +6.1%)) 포함

< 2022년 보건복지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안) >

(단위 : 억원)

2022년 보건복지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구 분 2021년 본예산(A) 2022년 본예산(B) 전년대비
증감 (B-A) %
총 지 출(A+B) 895,766 969,377 73,611 8.2
◇ 예 산(A) 559,035 614,499 55,464 9.9
◇ 기 금(B) 336,731 354,878 18,147 5.4
◇ 사회복지① 757,778 808,171 50,393 6.7
o 기초생활보장 132,334 144,596 12,262 9.3
o 취약계층지원 37,800 41,328 3,528 9.3
o 공적연금 300,026 317,883 17,857 6.0
o 아동·보육 85,568 90,942 5,374 6.3
o 노인 188,723 204,420 15,698 8.3
o 사회복지일반 13,326 9,001 △4,325 △32.5
◇ 보 건② 137,988 161,206 23,218 16.8
o 보건의료 30,300 42,964 12,664 41.8
o 건강보험 107,688 118,242 10,554 9.8

2. 2022년 보건복지부 예산(안) 주요 내용

1. 취약계층 소득 생활 안정

기초생활 보장 강화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전면폐지*(21만 가구, 6,346억 원) 및 기준 중위소득 5.02% 인상**(4인 가구 146만2887원→153만6324원)

* 다만, 부양의무자 가구가 고소득(세전 연소득 1억 원 초과) 또는 고재산(부동산 등 재산 9억 원 초과)인 경우 생계급여 대상에서 제외

** 기준 중위소득 추이: (’16) 4.0 (’17) 1.73 (’18) 1.16 (’19) 2.09 (’20) 2.94 (’21) 2.68%

(의료급여) 부양의무자 가구에 기초연금을 받는 노인이 있는 경우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11만 명, 3,386억 원), 의료급여 식대 인상(1식 3,900원→4,130원) 및 MRI, 초음파 비용지원 등 의료보장성 강화

소득기반 확충 및 자립 지원

(일을 통한 자립지원)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 자활 일자리를 확대(5만 8천→6만6천 개)하고 자활급여 단가인상*(3%)

* 자활사업단 유형에 따라 상이(일 29,240원~56,950원→30,120원~58,660원)

(자산형성 지원) 일하는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대상 희망저축계좌Ⅰ·Ⅱ 및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청년 대상 청년내일저축계좌를 통해 자산형성 지원 (저축액 월 10만 원에 정부가 1∼3배 매칭)

* (매칭비율) 기초생활수급자(희망저축Ⅰ), 차상위 이하 청년 1:3
차상위(희망저축Ⅱ), 차상위∼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청년 1:1

(아동발달지원 계좌) 보호대상아동 및 기초생활수급가구아동의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디딤씨앗통장의 국비 매칭 비율을 1:1에서 1:2로 확대, 지원 한도를 월 5만 원에서 10만 원으로 확대

(자립수당) 아동복지시설 및 가정위탁 보호가 종료된 청년의 안정적 자립을 위해 자립수당(월 30만 원) 지급기간 확대(3년→5년)

빈곤층으로의 추락방지

(긴급복지) 휴·폐업, 질병 등으로 인한 위기 가구 지원 규모 확대(32.5→37.5만 건) 및 생계지원단가 인상(4인 가구 기준 126→130만 원, 3%)

(상병수당 시범사업) 근로자가 아파서 일하기 어려운 경우, 소득 걱정 없이 쉴 수 있도록 상병수당을 지원하는 시범사업 추진(2022년 7월∼)

* 6개 지역에 3개 모형(모형별 2개 지역) 적용

(재난적의료비 지원) 과도한 의료비 지출로 인한 가계파탄 및 빈곤층 추락 예방을 위해 기존 본인 직접부담 의료비(비급여) 50% 지원에서 소득수준에 따라 50∼80% 지원*으로 확대

* 기초생활·차상위 수급자 : 80%,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70%, 기준 중위소득 50∼100% : 60%, 기준 중위소득 100∼200% : 50%

장애인 지원

(장애인 자립지원 시범사업) 탈시설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주거·돌봄·의료 등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범사업 추진 (10개 지역, 지역당 20명 지원)

(활동지원 등) 대상자 확대(9만 9천 명→10만 7천 명) 및 최중증 장애인
돌봄을 위해 가산급여 대상확대(3천 명→4천 명) 및 단가인상(1,500원→2,000원/시간)

- 발달장애인을 위한 주간활동서비스(성인) 시간(100시간→120시간) 확대 및 방과후 활동서비스(청소년) 활성화를 위한 단가인상(14,020원→14,805원)

(장애인 일자리) 만18세 이상 장애인 대상 일자리 확대(24,896→27,396명)

2. 저출산 · 고령사회 인구구조 대응

영유아기 집중투자

(0-1세 영아수당) 자녀 양육의 경제적 부담완화 및 다양한 돌봄수요 충족을 위해 ’22년 1월 1일 출생아부터 매월 30만 원 지급*

* 어린이집 이용 시 영아수당(바우처), 미이용 시 영아수당(현금) 지원

(첫만남이용권) 출산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완화를 위해 ’22년 1월 1일 출생아부터 출산지원금(일시금) 200만 원 지급

(아동수당) 아동권리 강화 및 국가책임 확대를 위해 ‘22년 아동수당 지급 연령을 만 7세 미만에서 만 8세 미만으로 확대해 매월 10만 원 지급(연령 확대로 +43만 명 추가)

노후 생활 보장 강화

(기초연금) 노후소득 보장 강화를 위해 ’22년 1월부터 65세 이상 노인 628만 명(+30만 명) 대상 월 최대 301,500원(물가상승률 +1,500원)지급

(저소득 지역가입자 연금보험료 지원) 사업장가입자(두루누리 지원)와 달리 지원을 받지 못해 사각지대에 있는 지역가입자 납부예외자* 중 납부 재개자 대상 보험료 지원, ’22.7월)

* 사업중단․실직․휴직의 사유로 소득이 없어 보험료 납부를 면제받은 자

(노인 일자리) 노년기 소득보충 및 사회참여 지원을 위해 노인 일자리 양적 확대(80만 개→84.5만 개) 및 신규 시범사업*을 통한 맞춤형 일자리 제공 등 사업 내실화

* 지역사회가 보유한 지역 자원(콘텐츠, 인프라 등)과 지역 기업의 지원을 활용하여 신규 노인일자리 아이템 개발, 창출(5,000명 창출 목표)

(노인장기요양보험 국고지원)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22년 보험료 예상수입의 20% 국고지원(1.8조 원)

3. 안전한 돌봄체계 구축

안전한 돌봄체계 구축

(영유아 돌봄) 공공보육시설 이용 확대를 위해 국공립어린이집 확충(550개소) 및 영유아보육료 지원단가 3% 인상(56.5만 명)

(초등 온종일 돌봄) 다함께돌봄센터(450개소) 및 학교돌봄터(100실)를 확충하고, 다함께돌봄센터 연장운영 시범사업 실시(30개소)

(장애아동 양육지원) 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만6세 미만 중증장애아동의 서비스이용 욕구를 반영해 대상자 확대*(4,005→8,005명) 및 연간 돌봄시간 확대(720→840시간)

* 자부담 설계로 기준 중위소득 120% 초과 가정도 지원대상에 포함

아동학대 대응체계 강화

(재원 일원화) 범죄피해자보호기금, 복권기금, 일반회계로 구성된 아동학대 재원을 일반회계로 일원화하고, 예산 대폭 확대(45.4%↑)

(인프라 확충) 피해아동 분리 시 신속한 안전확보를 위해 학대피해아동쉼터 확충(105개소→140개소) 및 학대 피해아동 심층 사례관리 및 회복지원을 위해 아동보호전문기관(81개소→95개소) 확충

(전담치료․회복) 전문적 치료를 위한 전담의료기관 활성화 시범사업을 실시(신규지정)하고, 심리치료 확대(2,000→4,750명) 및 가족기능 회복에 중점을 둔 방문형 사례관리 추진

노인․장애인 학대예방 및 돌봄 강화

(노인 스마트 돌봄) 독거노인·중증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20만 명→30만 명) 및 AI·IoT 장비를 활용한 디지털 돌봄시설 지원 확대(215개소→357개소)

(장애인 권익옹호) 장애인 학대예방 및 사후지원 강화를 위해 중앙장애인권익옹호기관 전담인력(5명→6명) 및 지역 기관(18개소→19개소) 확대

4. 국민 건강안전망 강화

공공․지역의료 역량 강화 및 의료접근성 제고

(지역거점병원 공공성 강화) 지역책임의료기관 확충(35개소→43개소), 지방의료원 대상 시설·장비 보강 및 ICT를 활용해 감염병 대응, 병원운영 효율성 등을 제고하는 스마트병원 확충(신규 3개소) 등 225억 원 증액(15.7%↑)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통한 의료 안전망 확충 지원 등을 위해 건강보험 정부지원 규모 증액(’21년 9조 5,000억 원 → ’22년안 10조 3,992억 원)

국가 차원의 건강관리 강화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운동․영양 등 생활습관 개선을 지원하는 보건소 사업 확대(160개→180개 보건소)

(비의료 건강관리) 국민이 안심하고 효과성, 안전성이 검증된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증제* 도입방안 추진

* 인증 요건을 충족하는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에 서비스 기능, 개입 정도, 위험도 등에 따른 인증 등급 부여 및 서비스 질 모니터링

(임산부․영유아 건강관리) 임신바우처 지원을 확대(60만 원→100만 원, 지원기간 1→2년)하고, 청소년 산모에게는 지원금(120만 원)을 추가 지급

-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를 건강보험료 하위 50%(’21년 직장 135,000원, 지역 90,000원)에서 70% 이하까지(2022년 별도 안내 예정) 지원 확대

* 건강검진 발달평가 결과 심화평가 권고 시 확진검사비 최대 40만 원 지원

온국민 마음건강을 위한 정신건강복지 투자 확대

(정신과적 응급상황 대응) 권역정신응급의료센터 지정운영(신규, 8개소) 및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 공유를 위한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신규)

(정신건강증진사업 확대)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지역주민의 정신건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을 전국으로 확대(12개소→17개소)하고, 코로나 우울 등 정신건강 문제 대응을 위해 정신건강복지센터 확충 및 전문인력 증원(’21년 228개소/1,575명 → ’22년 245개소/1,875명)

* 광역지자체 단위에서 지역 여건을 고려하여 정신건강정책을 수립하고 정신질환 조기발견-치료, 재활 등 서비스 통합 제공

(자살예방 안전망 강화) 자살 고위험군의 선제적 발굴·지원을 위해 자살예방 상담전화(1393) 전문상담사를 증원하고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88개소→104개소) 및 자살 유족 지원사업 확대(3개 광역·13개 기초→9개 광역·97개 기초 지자체)

(고독사 지원)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2021년 4월 시행)에 따라 고독사 예방 정책기반 구축 및 고독사위험군 신규 지원

5. 바이오헬스 선도국가 도약

글로벌 백신허브 등 제약산업 경쟁력 강화

(글로벌 백신허브) 백신 개발 및 생산기업에 대한 적극적 투자를 위해 정책 펀드 자금을 조성*(500억 원)하고, 백신 등 공정개발 전문인력 양성(20억 원) 및 원부자재 경쟁력 강화 지원(33억 원)

* (K-글로벌 백신 펀드) ‘22년 5천억 원, ‘23년 5천억 원 규모로 2개 펀드를 순차적으로 조성하여 매년 국비 500억 원 지원 계획

(백신개발 R&D) mRNA 백신 임상지원(105억 원), 신속 범용 백신 및 백신기반 기술개발(121억 원), 고부가가치 백신 개발(48억 원) 지원 등을 통해 국내백신 개발 가속화

(제약산업 육성) 대규모 임상시험 지원을 위한 스마트 지원체계(20억 원, 신규) 및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구축(11억 원, 신규), 약사 인력의 제약산업 진출 지원을 위한 미래인력 양성센터 신설(10억 원, 신규)

의료기기, 화장품, 의료데이터 등 보건산업 역량강화

(국산의료기기 경쟁력 강화) 전시·홍보·교육 등을 수행할 광역형 통합 훈련센터를 구축(25억 원, 신규) 및 실증·검증을 위한 의료기기 특화지역 선정(10억 원, 신규),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국제인증센터 운영(5억 원, 신규)

(화장품 산업 지원) 중국 등 해외 수출규제 대응을 위한 화장품 안전관리 지원체계(3억 원→18억 원) 및 국가별 맞춤형 화장품 개발을 위한 피부 유전체 분석센터 및 인체 유래물 은행 구축(25억 원→45억 원) 등 필수 기반(인프라) 지원

(의료데이터 지원) 임상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하기 위한 데이터중심병원을 지원(80억 원)하고, 암 진단 정보와 검진·유전체·사망 등 타 정보를 연계·결합하여 연구에 제공하는 암 임상데이터 활용 네트워크 구축(109억 원)

* 2022∼2025년에 걸쳐 암, 심뇌혈관, 호흡기 임상데이터 단계적 구축 계획

<붙임> 1. 정책 대상별 주요 지원 내용
2. 분야별 주요예산 반영 현황

<별첨> 2022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안 주요사업 15선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보도자료) 2022년 국세수입 예산안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