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8월 누적 벤처투자, 역대 최대인 작년 실적 이미 넘어서!
□(벤처투자)올해 8월까지 누적 벤처투자 실적은 4조 6,158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인 작년 4조 3,045억원을 4개월 앞당겨 경신
? 정보통신기술서비스, 바이오·의료 업종은 8월 누적 기준 1조원 돌파
2021.09.28
중소벤처기업부
글자크기 설정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올해 8월 말까지 벤처투자와 펀드결성 실적을 집계한 결과, 벤처투자는 역대 최대였던 작년 실적(4조 3,045억원)을 넘어선 4조 6,158억원, 벤처펀드 결성은 3조 9,472억원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1) 총괄:8월 누적 4조 6,158억원(전년동기 대비 +85.8%)으로,
역대 최대였던 ’20년 4조 3,045억원 경신
‘21년 8월 누적 벤처투자는 전년동기 대비 약 85.8% 증가(+2조 1,312억원)한 4조 6,158억원으로, 역대 최대였던 작년 4조 3,045억원을 4개월 앞당겨 경신했다.
올해 상반기 벤처투자가 3조원을 돌파한 이후 7~8월 동안 총 1조 4,000억원 이상(2개월 평균 약 7,000억원) 투자됐고, 8월까지 월평균 5,770억원이 투자된 셈이다.
8월 누적 투자 건수와 피투자기업 수 역시 각각 3,395건, 1,588개사로 확인되면서 동기 대비 역대 최다 실적을 기록했으며 건당 투자금액은 평균 13억 6,000만원, 기업당 투자금액은 평균 29억 1,000만원으로 나타났다.
< ’17 ∼ ’21년 1∼8월 누적 벤처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건, 개) >
(2) 업종:ICT서비스, 바이오·의료 업종은 8월 누적 투자 1조원 돌파
이들 3개 업종의 투자 증가는 전체 벤처투자 증가(2조 1,312억원)의 약 76%(1조 6,113억원)를 차지하고 있다.
상위 3개 업종 중 정보통신기술 서비스와 유통·서비스 업종은 작년 8월 누적 대비 약 2배 이상 투자가 크게 늘었다. 또한 게임에 대한 투자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업종별 ’20년, ’21년 1∼8월 벤처투자 비교 (단위 : 억원, %) >
(3) 비대면 분야:투자는 약 2배, 피투자기업 수는 약 30% 증가
※ 비대면 분야 : 정보통신기술, 인공지능 또는 빅데이터 기술 등을 활용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전달을 비대면화해 경영 효율화 또는 이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분야(7대 분류 : 스마트헬스케어, 교육, 스마트BIZ&금융, 생활소비, 엔터, 물류·유통, 기반기술)
비대면 분야 기업에 대한 8월 누적 벤처투자는 작년 8월 누적(1조 1,668억원)보다 약 2배 가까이(+97.8%, +1조 1,416억원) 늘어난 2조 3,084억원이며, 피투자기업 수는 작년 8월 기준 586개사에서 약 30% 가까이 늘어난(+175개사) 761개사로 확인됐다.
< ’20년, ’21년 1~8월 비대면 분야 벤처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개) >
(4) 업력:중·후기 기업들의 벤처투자가 작년 8월 누적 대비 2배 이상 늘면서 투자 비중도 모두 증가
8월까지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들 중에서 업력 중·후기 기업들의 벤처투자는 작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업력별 벤처투자 비중을 살펴보면 업력 중기 기업들이 작년 동기 대비 8.3%p 높아지면서 작년과 마찬가지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업력 초기 기업들의 경우, 투자금액은 작년 8월 누적 대비 2,041억원(+25.2%) 늘었지만, 업력 중·후기 기업들에 대한 투자가 더 크게 증가하면서 투자 비중은 약 10.6%p 감소했다.
< ’20년, ’21년 1~8월 업력별 벤처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
(5) 후속투자 비중:최근 5년간 꾸준히 늘면서 ’21년도에 가장 높은 72.7%
올해 8월 누적 후속투자 실적은 3조 3,573억원으로, 최근 5년간 8월 누적 후속투자 비중은 ‘17년도 약 55% 수준에서 매년 꾸준히 늘면서 ‘21년도에 가장 높은 약 72.7%를 차지했다.
< ’17년∼’21년 1~8월 후속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
(6) 대형투자 : 100억원 이상 투자 유치기업 수는 작년 수준(75개사)을 이미 넘어선 92개사로 확인
(1)총괄:8월 누적 벤처펀드 결성, 작년 동기대비 37.8% 증가한 3조 9,472억원
올해 12월까지 연간 펀드결성도 예년 추이와 8월 이후 추가로 결성될 펀드 등을 감안하면 작년 실적을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17년∼’21년 1∼8월 누적 펀드결성 현황 (단위 : 억원, %, 개) >
(2) 출자자:민간 출자 2조 8,702억원으로 작년 8월말보다 약 60% 증가
8월까지 누적 벤처펀드 결성 출자자 현황은 정책금융 부문이 작년 8월 말 대비 약 1.9%(+196억원) 늘어난 1조 770억원, 민간 부문은 약 60%(+1조 634억원) 증가한 2조 8,702억원으로 정책금융보다 2.7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금융 출자 부문을 살펴보면, 모태펀드 출자는 7,057억원으로 정책금융의 약 6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외 산업은행, 정부기금 등이 포함된 기타정책기관은 1,873억원, 성장금융은 1,840억원이었다.
민간 출자자 중 벤처펀드 결성에 가장 많이 출자한 민간 출자자는 ‘일반 법인’으로, 작년 8월 누적 대비 약 3,000억원 이상 많은 7,279억원을 출자했다.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출자를 한 민간 출자자는 6,591억원을 출자한 ’개인‘으로, 전체 민간 출자자 중 작년 8월 누적 대비 출자 증가액(4,564억원)이 가장 많은 걸로 나타났다.
< ’19년, ’20년, ’21년 1∼8월 출자자 현황 비교 (단위 : 억원, %) >
중기부 박용순 벤처혁신정책관은 “올해 벤처투자가 역대 최대 실적인 작년 말 실적을 4개월이나 앞당긴 건 전반적으로 창업벤처생태계가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일관된 창업·벤처 정책에 대한 기대감도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한다”며,
“중기부는 올해 발표한 창업, 벤처 관련 여러 대책들을 차질 없이 이행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벤처강국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 밝혔다.
※ 해당 통계는 중소벤처기업부가 ‘21년 1~8월 벤처투자 실적 동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 분석한 통계로, 통계법에 따른 국가승인통계가 아님을 밝힙니다.
벤처투자 동향 |
(1) 총괄:8월 누적 4조 6,158억원(전년동기 대비 +85.8%)으로,
역대 최대였던 ’20년 4조 3,045억원 경신
‘21년 8월 누적 벤처투자는 전년동기 대비 약 85.8% 증가(+2조 1,312억원)한 4조 6,158억원으로, 역대 최대였던 작년 4조 3,045억원을 4개월 앞당겨 경신했다.
올해 상반기 벤처투자가 3조원을 돌파한 이후 7~8월 동안 총 1조 4,000억원 이상(2개월 평균 약 7,000억원) 투자됐고, 8월까지 월평균 5,770억원이 투자된 셈이다.
8월 누적 투자 건수와 피투자기업 수 역시 각각 3,395건, 1,588개사로 확인되면서 동기 대비 역대 최다 실적을 기록했으며 건당 투자금액은 평균 13억 6,000만원, 기업당 투자금액은 평균 29억 1,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8월 누적 벤처투자 실적(억원)〉 | 〈최근 5년간 8월 누적 투자건수, 피투자기업 수〉 |
< ’17 ∼ ’21년 1∼8월 누적 벤처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건, 개) >
구 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
1~8월 | 투자금액 | 15,058 | 22,268 | 28,007 | 24,846 | 46,158 | ||
전년 대비 |
증감 | - | +7,210 | +5,739 | △3,161 | +21,312 | ||
증감률 | - | +47.9 | +25.8 | △11.3 | +85.8 | |||
투자 건수 | 1,505 | 2,022 | 2,445 | 2,345 | 3,395 | |||
건당 투자 | 10.0 | 11.0 | 11.5 | 10.6 | 13.6 | |||
피투자기업 수 | 834 | 937 | 1,112 | 1,226 | 1,588 | |||
기업당 투자 | 18.1 | 23.8 | 25.2 | 20.3 | 29.1 |
(2) 업종:ICT서비스, 바이오·의료 업종은 8월 누적 투자 1조원 돌파
8월 누적 투자 1~3위 업종은 정보통신기술(ICT)서비스, 바이오·의료, 유통·서비스 3개 업종으로 최근 동향이 유지되고 있다. 특히 이 중 정보통신기술 서비스, 바이오·의료 업종들의 투자는 1조원을 돌파했다. |
|
〈업종별 투자(‘21.8 누적, 억원)〉 |
상위 3개 업종 중 정보통신기술 서비스와 유통·서비스 업종은 작년 8월 누적 대비 약 2배 이상 투자가 크게 늘었다. 또한 게임에 대한 투자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업종별 ’20년, ’21년 1∼8월 벤처투자 비교 (단위 : 억원, %) >
업종 | ‘20.8 누적 |
‘21.8 누적 |
업종 | ‘20.8 누적 |
‘21.8 누적 |
|||||
증가 | 증가율 | 증가 | 증가율 | |||||||
ICT서비스 | 6,482 | 13,080 | +6,598 | +101.8 | 영상·공연·음반 | 1,429 | 2,241 | +812 | +56.8 | |
유통·서비스 | 4,399 | 9,618 | +5,219 | +118.6 | ||||||
기타 | 1,455 | 2,108 | +653 | +44.9 | ||||||
바이오·의료 | 6,639 | 10,935 | +4,296 | +64.7 | ||||||
게임 | 629 | 1,269 | +640 | +101.7 | ||||||
전기·기계·장비 | 1,742 | 3,443 | +1,701 | +97.6 | ||||||
화학·소재 | 1,019 | 1,399 | +380 | +37.3 | ||||||
ICT제조 | 1,052 | 2,065 | +1,013 | +96.3 |
(3) 비대면 분야:투자는 약 2배, 피투자기업 수는 약 30% 증가
※ 비대면 분야 : 정보통신기술, 인공지능 또는 빅데이터 기술 등을 활용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전달을 비대면화해 경영 효율화 또는 이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분야(7대 분류 : 스마트헬스케어, 교육, 스마트BIZ&금융, 생활소비, 엔터, 물류·유통, 기반기술)
비대면 분야 기업에 대한 8월 누적 벤처투자는 작년 8월 누적(1조 1,668억원)보다 약 2배 가까이(+97.8%, +1조 1,416억원) 늘어난 2조 3,084억원이며, 피투자기업 수는 작년 8월 기준 586개사에서 약 30% 가까이 늘어난(+175개사) 761개사로 확인됐다.
< ’20년, ’21년 1~8월 비대면 분야 벤처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개) >
구 분 | ‘20.8 누적 | ‘21.8 누적 | 전년동기 대비 | ||
증감 | 증감률 | ||||
전체 벤처투자(A) | 24,846 | 46,158 | +21,312 | +85.8 | |
비대면 분야(B) | 11,668 | 23,084 | +11,416 | +97.8 | |
비 중(B/A ×100) | 47.0 | 50.0 | +3.0%p | - | |
전체 피투자기업 수(A) | 1,226 | 1,588 | +362 | +29.5 | |
비대면 분야(B) | 586 | 761 | +175 | +29.9 | |
비 중(B/A ×100) | 47.8 | 47.9 | +0.1%p | - |
8월까지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들 중에서 업력 중·후기 기업들의 벤처투자는 작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업력별 벤처투자 비중을 살펴보면 업력 중기 기업들이 작년 동기 대비 8.3%p 높아지면서 작년과 마찬가지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업력 초기 기업들의 경우, 투자금액은 작년 8월 누적 대비 2,041억원(+25.2%) 늘었지만, 업력 중·후기 기업들에 대한 투자가 더 크게 증가하면서 투자 비중은 약 10.6%p 감소했다.
< ’20년, ’21년 1~8월 업력별 벤처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
구 분 | ‘20.8 누적 | ‘21.8 누적 | ||||
금 액 | 비 중 | 금 액 | 비 중 | |||
증감(률) | 증 감 | |||||
초기(업력 3년 이하) | 8,089 | 32.5 | 10,130 | +2,041(+25.2) | 21.9 | △10.6%p |
중기(업력 3~7년 이하) | 9,511 | 38.3 | 21,508 | +11,997(+126.1) | 46.6 | +8.3%p |
후기(업력 7년 초과) | 7,246 | 29.2 | 14,520 | +7,274(+100.4) | 31.5 | +2.3%p |
합 계 | 24,846 | 100.0 | 46,158 | +21,312(+85.8) | 100.0 | - |
(5) 후속투자 비중:최근 5년간 꾸준히 늘면서 ’21년도에 가장 높은 72.7%
올해 8월 누적 후속투자 실적은 3조 3,573억원으로, 최근 5년간 8월 누적 후속투자 비중은 ‘17년도 약 55% 수준에서 매년 꾸준히 늘면서 ‘21년도에 가장 높은 약 72.7%를 차지했다.
< ’17년∼’21년 1~8월 후속투자 현황 (단위 : 억원, %) >
구 분 | ’17.8 누적 | ’18.8 누적 | ’19.8 누적 | ’20.8 누적 | ’21.8 누적 | ||
투자 금액 | 전체 | 15,058 | 22,268 | 28,007 | 24,846 | 46,158 | |
후속 | 8,258 | 13,840 | 18,968 | 17,515 | 33,573 | ||
비 중 | 54.8 | 62.2 | 67.7 | 70.5 | 72.7 |
(6) 대형투자 : 100억원 이상 투자 유치기업 수는 작년 수준(75개사)을 이미 넘어선 92개사로 확인
8월 누적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들 중 100억원 이상 투자를 유치한 기업들은 작년말 75개사보다 17개사 많은 92개사로 확인됐다. 이는 작년 8월 말 기준 46개사의 2배이다. 특히, 300억원 이상 투자를 유치한 기업은 92개사 중 10개사로 파악됐다. |
|
〈100억원 이상 투자유치 기업 수(개사)〉 |
벤처펀드 결성 동향 |
(1)총괄:8월 누적 벤처펀드 결성, 작년 동기대비 37.8% 증가한 3조 9,472억원
‘21년 8월 누적 벤처펀드 결성실적은 작년 8월 누적 대비 약 1조원 이상 늘어난 3조 9,47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 벤처펀드 결성실적을 기록한 작년 말 실적(6조 5,676억원)의 약 60% 수준이다. |
|
〈최근 5년간 8월 누적 벤처펀드 실적(억원)〉 |
올해 12월까지 연간 펀드결성도 예년 추이와 8월 이후 추가로 결성될 펀드 등을 감안하면 작년 실적을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17년∼’21년 1∼8월 누적 펀드결성 현황 (단위 : 억원, %, 개) >
구 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
8월 누적 |
결성금액 | 18,862 | 18,890 | 22,484 | 28,642 | 39,472 | ||
전년 대비 |
증감 | - | +28 | +3,594 | +6,158 | +10,830 | ||
증감률 | - | +0.1 | +19.0 | +27.4 | +37.8 | |||
결성조합 수 | 78 | 68 | 99 | 103 | 206 |
8월까지 누적 벤처펀드 결성 출자자 현황은 정책금융 부문이 작년 8월 말 대비 약 1.9%(+196억원) 늘어난 1조 770억원, 민간 부문은 약 60%(+1조 634억원) 증가한 2조 8,702억원으로 정책금융보다 2.7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금융 출자 부문을 살펴보면, 모태펀드 출자는 7,057억원으로 정책금융의 약 6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외 산업은행, 정부기금 등이 포함된 기타정책기관은 1,873억원, 성장금융은 1,840억원이었다.
민간 출자자 중 벤처펀드 결성에 가장 많이 출자한 민간 출자자는 ‘일반 법인’으로, 작년 8월 누적 대비 약 3,000억원 이상 많은 7,279억원을 출자했다.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출자를 한 민간 출자자는 6,591억원을 출자한 ’개인‘으로, 전체 민간 출자자 중 작년 8월 누적 대비 출자 증가액(4,564억원)이 가장 많은 걸로 나타났다.
< ’19년, ’20년, ’21년 1∼8월 출자자 현황 비교 (단위 : 억원, %) >
구 분 | ‘19.8 | ‘20.8 | ‘21.8 | ||||
증 감 | 증감률 | ||||||
정책 금융 |
모태펀드 | 4,787 | 7,295 | 7,057 | △238 | △3.3 | |
기타정책기관 | 296 | 1,874 | 1,873 | △1 | △0.1 | ||
성장금융 | 754 | 1,405 | 1,840 | +435 | +31.0 | ||
소 계 | 5,837 | 10,574 | 10,770 | +196 | +1.9 | ||
민간 | 개인 | 4,124 | 2,027 | 6,591 | +4,564 | +225.2 | |
법인 | 3,401 | 4,007 | 7,279 | +3,272 | +81.7 | ||
금융기관 (산은 제외) |
은행 | 710 | 1,480 | 1,585 | +105 | +7.1 | |
보험 | 300 | 350 | 405 | +55 | +15.7 | ||
증권 | 599 | 745 | 722 | △23 | △3.1 | ||
기타금융 | 1,378 | 1,359 | 2,949 | +1,590 | +117.0 | ||
2,987 | 3,934 | 5,661 | +1,727 | +43.9 | |||
VC | 2,558 | 2,900 | 5,392 | +2,492 | +85.9 | ||
연금/공제회 | 1,190 | 3,250 | 2,550 | △700 | △21.5 | ||
기타 (기타단체, 외국인) |
2,387 | 1,950 | 1,229 | △721 | △37.0 | ||
소 계 | 16,647 | 18,068 | 28,702 | +10,634 | +58.9 | ||
합 계 | 22,484 | 28,642 | 39,472 | +10,830 | +37.8 |
“중기부는 올해 발표한 창업, 벤처 관련 여러 대책들을 차질 없이 이행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벤처강국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 밝혔다.
※ 해당 통계는 중소벤처기업부가 ‘21년 1~8월 벤처투자 실적 동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 분석한 통계로, 통계법에 따른 국가승인통계가 아님을 밝힙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투자회수관리과 신규호 사무관(☎ 044-204-7722) 또는 윤원민 주무관(☎ 044-204-772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이 자료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세종·서울청사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신속조치 완료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눌렀다가…사칭 유료서비스 가입 주의
최신 뉴스
-
[정책 바로보기] 금융위 "새출발기금 도덕적 해이 방지 위해 다양한 보완장치 운영"
-
영업자를 위한 신규 위생용품 수입신고 절차 가이드
- 무선이어폰 10개 제품 비교정보 제공
- 무선이어폰 10개 제품 비교정보 제공
- 여름철 재해 대비 자원봉사 및 온기나눔 집중기간(7.7.~9.30.) 운영
- 2025년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 국민 여러분이 직접 뽑아주세요!
-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매체(미디어) 표준 경쟁 본격화
- 7월 국립중앙과학관 「별의별 과학특강」
- '25년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선정
- 「소방안전 표어포스터사진」 2025년판 공모전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