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브리핑룸

콘텐츠 영역

청소년정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자체 실무자 교육 실시

2022.04.25 여성가족부
목록


청소년정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자체 실무자 교육 실시 
- 2022년 청소년 사업 안내 및 정책방향 공유, 중앙·지자체 협력 방안 논의 -



여성가족부(장관 정영애)는 4월 26일(화), 27일(수) 이틀간 ‘2022년 지자체 청소년정책 실무자 교육’을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합니다.



이번 교육은 시·도 및 시· 군· 구의 청소년정책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2022년 달라진 주요 청소년사업에 대한 안내와 함께 향후 청소년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올해는 ‘청소년 정책 전환의 해’를 맞아 지자체 청소년정책 담당공무원과의 현장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온라인 참여를 확대*하였으며, 청소년정책에 대한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각 사업 지침과 ‘제7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23~2027)’에 최대한 반영할 계획입니다.
* (’21년) 270여 명 참석 → (’22년) 500여 명 참여 예정



여성가족부는 지자체의 청소년정책 담당공무원이 청소년의 특성과 새로운 환경 변화를 이해하고 지역 맞춤형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정책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매년 지자체 청소년정책을 평가하여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하는 등 담당 공무원의 청소년정책 전문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재 지자체 청소년 업무 담당 공무원은 1,045명(’21.12월 기준)이며, 이 중 청소년정책 전담공무원*은 322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 청소년 관련 업무 수행 공무원 중 청소년육성 전담공무원(청소년지도사 또는 상담사 자격 소지자), 청소년업무 전문직위 등
** 청소년정책 전담공무원 : ’20년 287명 → ’21년 322명(증 12.2%)



주요 교육내용은 ▲ 청소년 참여증진 및 우대사업 ▲ 청소년활동 진흥 및 안전 사업 ▲ 위기청소년 자립지원 사업 ▲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사업 ▲ 청소년 보호 사업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 등이며, 청소년 정책 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교육 초반에 청소년정책 추진 체계에 대한 설명과 함께, 디지털 중심의 청소년 활동 활성화 필요성, 위기 청소년 발굴·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축 현황 등을 설명합니다.



또한, 배상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디지털시대 청소년의 특징과 정책 방향’을 주제로 청소년 정책 추진 시 고려해야 할 정책 환경 변화 현황을 강의합니다.



김권영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관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청소년정책이 지역사회에 효과적으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중앙부처와 지자체 간의 유기적인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앞으로도 지자체 청소년업무 담당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을 더욱 활성화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이 자료는 여성가족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보도자료) 소방청,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개표소 화재안전점검 실시

히단 배너 영역

추천 뉴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화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많이 본,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