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 (8월 12일)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8월 12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53명(전일 대비 35명 증가), 사망자는 58명(전일 대비 1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5,499명(치명률 0.12%)이라고 밝혔다.
구분 |
8.6. |
8.7. |
8.8. |
8.9. |
8.10. |
8.11. |
8.12. |
재원중 위중증 |
313 |
297 |
324 |
364 |
402 |
418 |
453 |
사망자* |
45 |
27 |
29 |
40 |
50 |
59 |
58 |
입원 |
487 |
403 |
305 |
420 |
515 |
484 |
630 |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금일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393명(86.8%),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53명(91.4%)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418명(92.3%), 사망자 중 50세 이상 55명(94.8%)
○ 8월 1주(7.31.~8.6.) 보고된 사망자 209명 중 50세 이상은 201명 (96.2%)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8명(33.8%)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 50세 이상 접종대상자 중 1차미접종자 또는 1차 접종 후 2차 미접종자 비율 5.7% 내외(8.1주차 기준)
< 성별·연령별 사망 및 재원중 위중증 현황 > |
||||||||
구 분 |
신규 사망 |
(%) |
사망누계 |
(%) |
치명률(%) |
위중증 |
구성비(%) |
|
계 |
58 |
(100.00) |
25,499 |
(100.00) |
0.12 |
453 |
(100.00) |
|
성별 |
남성 |
24 |
(41.38) |
12,423 |
(48.72) |
0.13 |
253 |
(55.85) |
여성 |
34 |
(58.62) |
13,076 |
(51.28) |
0.12 |
200 |
(44.15) |
|
연령 |
80세 이상 |
35 |
(60.34) |
14,990 |
(58.79) |
2.46 |
219 |
(48.34) |
70-79 |
15 |
(25.86) |
5,869 |
(23.02) |
0.57 |
103 |
(22.74) |
|
60-69 |
3 |
(5.17) |
3,005 |
(11.78) |
0.14 |
71 |
(15.67) |
|
50-59 |
2 |
(3.45) |
1,062 |
(4.16) |
0.04 |
25 |
(5.52) |
|
40-49 |
1 |
(1.72) |
347 |
(1.36) |
0.01 |
15 |
(3.31) |
|
30-39 |
2 |
(3.45) |
120 |
(0.47) |
0.00 |
12 |
(2.65) |
|
20-29 |
0 |
(0.00) |
65 |
(0.25) |
0.00 |
2 |
(0.44) |
|
10-19 |
0 |
(0.00) |
14 |
(0.05) |
0.00 |
2 |
(0.44) |
|
0-9 |
0 |
(0.00) |
27 |
(0.11) |
0.00 |
4 |
(0.88) |
|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 ‘4차접종 완료’를 통해 사망 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96.3%,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80.0%, ‘3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75.0% 감소하였다.
- 6월 3주차 기준, 60대 이상 전체 인구 중에 예방접종력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미접종군 2.7명(100만 인일당), 3차접종 완료군 0.4명(100만 인일당), 4차접종완료군 0.1명(100만 인일당)로 나타났다.
* 6월 3주 한주동안 분석대상 중 ‘미접종군’. ‘2~4차접종 완료군’에 해당되는 대상자를 확진 이후 28일동안 모니터링한 결과, 코로나19로 사망한 비율임.
□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28,250명, 해외유입 사례는 46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28,71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1,111,840명(해외유입 50,571명)이다.
○ 8월 1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28,250명(최근 1주간 일 평균 119,320.6명)이며, 수도권에서 62,467명(48.7%), 비수도권에서 65,783명(51.3%)이 발생하였다.
※ 국내 주요 발생 현황(지역별 및 권역별 확진자 현황) [붙임 1] 참고
2. 코로나19 치료병상 및 재택치료 현황
□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7,105 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40.8%, 준-중증병상 60.6%, 중등증병상 43.4%이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10.3%이다. (8.11. 17시 기준)
구분 (단위: 개) |
위중증 |
준중증 |
중등증 |
경증 |
||||||||||||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
준-중환자 병상 |
감염병 전담병원 |
생활치료센터 |
|||||||||||||
보유 |
사용 |
가용 |
보유 |
사용 |
가용 |
보유 |
사용 |
가용 |
보유 |
사용 |
가용 |
|||||
% |
% |
% |
% |
|||||||||||||
전국 |
1,764 |
720 |
40.8 |
1,044 |
2,969 |
1,798 |
60.6 |
1,171 |
2,256 |
980 |
43.4 |
1,276 |
116 |
12 |
10.3 |
104 |
수도권 |
1,214 |
498 |
41.0 |
716 |
1,983 |
1,319 |
66.5 |
664 |
1,040 |
480 |
46.2 |
560 |
116 |
12 |
10.3 |
104 |
비수도권 |
550 |
222 |
40.4 |
328 |
986 |
479 |
48.6 |
507 |
1,216 |
500 |
41.1 |
716 |
0 |
0 |
0 |
0 |
□ 8월 12일 0시 기준 현재 재택치료자는 694,643명이다. 어제 신규 재택치료자는 129,752명(수도권 63,345명, 비수도권 66,407명)이다.
재택치료 현원 |
신규 재택치료자(8.11.) |
694,643명 |
129,752명 |
□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3,730개소,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와 검사, 처방, 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9,906개소(비대면 진료 가능 기관 7,704개소)가 있다. (8.11. 17시 기준)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구 분 |
개소수 |
호흡기환자 진료 |
코로나19 검사 |
치료제 처방 |
확진자 진료 |
|
대면 |
비대면 |
|||||
합 계 |
13,730 |
12,733 |
11,916 |
10,714 |
10,846 |
10,862 |
원스톱진료기관 外 |
3,824 |
2,827 |
2,010 |
808 |
940 |
3,158 |
원스톱진료기관 |
9,906 |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분양 현황
□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을 통해 유관부처 및 연구기관 등에 분양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8.10.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는 현재(’22.8.10.)까지 총 118개 기관에 2,290건이 분양되었다.
- 활용 목적별로는 ▲백신 및 치료제 연구용 570건, ▲진단기술 개발용 1,692건, ▲정도관리용 5건, ▲기타 융합연구 등 23건이 분양되었으며,
- 변이 유형별로는 ▲VOC는 1,475*건, ▲ FMV는 104**건, ▲VOI 711***건이 되었다.
* VOC(1,475): 알파(198), 베타(204), 감마(149), 델타(508), 오미크론(416)
** FMV(104): 기타(104)
*** VOI(711): 에타(94), 카파(131), 입실론(196), 아오타(98), 제타(101), 뮤(91)
○ 국립보건연구원은 향후 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해 변이주에 대한 자원 수집을 민간부분으로 확대하여,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분양문의) 국립보건연구원 병원체자원관리과(043-913-4270), 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 http://nccp.kdca.go.kr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하는 코로나19바이러스는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기탁자원임.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22. 8. 10. 0시 기준)]
목적 자원 |
백신·치료제연구 |
진단기술연구 |
기타 |
계 |
|
분양기관 |
23 |
92 |
3 |
118 |
|
분양수(주) |
570 |
1692 |
28 |
2290 |
|
V O C 주 |
알파형 (영국 GRY: B.1.1.7) |
57 |
137 |
4 |
198 |
베타형 (남아프리카공화국 GH: B.1.351) |
54 |
146 |
4 |
204 |
|
감마형 (미국/브라질 GR: P.1) |
37 |
110 |
2 |
149 |
|
델타형 (인도 G: 1.617.2) |
65 |
133 |
2 |
200 |
|
델타형 (인천 GK: B.1.617.2 K417N 포함) |
10 |
72 |
0 |
82 |
|
델타형 (서울 GK: AY.1) |
11 |
77 |
2 |
90 |
|
델타형 (경기 GK: AY.69) |
13 |
60 |
0 |
73 |
|
델타형 (경기 GK: AY.122) |
13 |
50 |
0 |
63 |
|
오미크론형 (경기 GRA: B.1) |
51 |
164 |
1 |
216 |
|
오미크론형 (경기 GRA: B.1.1) |
11 |
29 |
1 |
41 |
|
오미크론형 (경기 GRA: B.2) |
23 |
44 |
1 |
68 |
|
오미크론형 (미국 GRA: B.2.12.1) |
6 |
10 |
0 |
16 |
|
오미크론형 (인천 GRA: B.2.3) |
8 |
10 |
0 |
18 |
|
오미크론형 (남아프리카공화국 GRA: B.4) |
11 |
13 |
1 |
25 |
|
오미크론형 (인천 GRA: B.5) |
16 |
15 |
1 |
32 |
|
V O I 주 |
뮤형 (콜롬비아 GH: B.1.621) |
15 |
75 |
1 |
91 |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7) |
22 |
68 |
1 |
91 |
|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9) |
27 |
77 |
1 |
105 |
|
제타형 (브라질 GR: P.2) |
28 |
70 |
3 |
101 |
|
에타형 (영국/나이지리아 G: B.1.525) |
22 |
71 |
1 |
94 |
|
아오타형 (미국/뉴욕 GH: B.1.526) |
21 |
76 |
1 |
98 |
|
카파형 (인도 G: B.1.617.1) |
35 |
95 |
1 |
131 |
|
F M V 주 |
기타형 (경기 G: B.1.619) |
7 |
47 |
0 |
54 |
기타형 (서울 G: B.1.620) |
7 |
43 |
0 |
50 |
* 참고. Tracking of SARS-CoV-2 variants, WHO (’22. 8. 2.)
4.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은 8월 12일 0시 기준,
○ 신규 1차접종자 435명, 2차접종자 399명, 3차접종자 3,308명, 4차접종자 58,173명이고,
○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94,464명, 2차접종자수는 44,657,941명,3차접종자수는 33,505,102명, 4차접종자수는 6,457,617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단위 : 명, %) |
|||||||
구분 |
직전 누계(A) |
신규 접종(B)1) |
누적 접종(A+B)1) |
인구2)대비 접종률 |
|||
전체 |
5세+ |
12세+ |
18세+ |
||||
1차 |
45,094,029 |
435 |
45,094,464 |
87.9 |
89.9 |
95.7 |
97.3 |
2차 |
44,657,542 |
399 |
44,657,941 |
87.0 |
89.0 |
94.8 |
96.6 |
3차 |
33,501,794 |
3,308 |
33,505,102 |
65.3 |
66.8 |
71.2 |
74.9 |
4차 |
6,399,444 |
58,173 |
6,457,617 |
12.6 |
|
|
14.6 |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1차 접종’과 ‘2차 접종’ 통계에 2)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4차접종 연령별】 (단위 : 명, %) |
|||||||||||
구분 |
인구1)(A) |
대상자2) (B) |
예약자 |
예약률 |
접종자 |
접종률 |
|||||
신규4) |
누적(C) |
인구 대비 (C/A) |
대상자 대비 (C/B) |
신규4) |
누적(D) |
인구 대비 (D/A) |
대상자 (D/B) |
||||
총계 |
44,314,154 |
19,647,438 |
52,415 |
7,017,548 |
15.8 |
35.7 |
58,173 |
6,457,617 |
14.6 |
32.9 |
|
50세 이상(a+b+c+d) |
22,318,306 |
19,309,891 |
50,474 |
6,905,888 |
30.9 |
35.8 |
56,361 |
6,362,382 |
28.5 |
32.9 |
|
60세 이상(a+b+c) |
13,743,932 |
12,301,059 |
27,117 |
5,774,877 |
42.0 |
46.9 |
27,696 |
5,526,682 |
40.2 |
44.9 |
|
|
80대 이상(a) |
2,455,738 |
2,075,535 |
3,318 |
1,337,986 |
54.5 |
64.5 |
3,768 |
1,299,672 |
52.9 |
62.6 |
70-79세(b) |
3,883,747 |
3,565,510 |
7,441 |
2,054,021 |
52.9 |
57.6 |
7,838 |
1,983,070 |
51.1 |
55.6 |
|
60-69세(c) |
7,404,447 |
6,660,014 |
16,358 |
2,382,870 |
32.2 |
35.8 |
16,090 |
2,243,940 |
30.3 |
33.7 |
|
60세 미만(d+e) |
30,570,222 |
7,346,379 |
25,298 |
1,242,671 |
4.1 |
16.9 |
30,477 |
930,935 |
3.0 |
12.7 |
|
|
50-59세(d) |
8,574,374 |
7,008,832 |
23,357 |
1,131,011 |
13.2 |
16.1 |
28,665 |
835,700 |
9.7 |
11.9 |
50세 미만(e)3) |
21,995,848 |
337,547 |
1,941 |
111,660 |
0.5 |
33.1 |
1,812 |
95,235 |
0.4 |
28.2 |
|
1)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2) ‘22. 8. 31일 기준 접종대상자(접종간격 4개월) 3)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 요양병원·시설, 정신건강증진시설 및 노숙인·장애인생활시설 입원·입소·종사자 중 18세-49세 4) 신규실적의 경우 8.11.(목) 실적임 |
【4차접종 대상별】 (단위 : 명, %) |
||||
구분 |
접종대상자(A) |
신규 접종자(B)3) |
누적 접종자(C) |
접종률(C/A) |
면역저하자 |
1,397,487 |
2,954 |
495,870 |
35.5 |
기저질환자1) |
- |
590 |
16,398 |
- |
요양병원·시설2) |
528,726 |
1,331 |
356,728 |
67.5 |
정신건강증진시설2) |
71,442 |
365 |
45,469 |
63.6 |
노숙인 생활시설2) |
7,022 |
96 |
3,544 |
50.5 |
장애인 생활시설2) |
42,352 |
1,083 |
13,162 |
31.1 |
1) 예진의사 확인을 거쳐 기저질환자로 접종을 등록한 18~49세 2) 요양병원·시설, 정신건강증진시설, 노숙인·장애인 생활시설 입원·입소·종사자 중 ‘22년 8월 31일까지 4개월 도래자 수 3) 신규실적의 경우 8.11.(목) 실적임 |
【이부실드 투약 및 예약 현황】 (단위 : 명) |
|||||
구 분 |
예약 |
투약 |
|||
신규 |
누적 |
신규 |
누적 |
||
계 |
76 |
1,139 |
66 |
196 |
|
성 별 |
남성 |
46 |
661 |
35 |
117 |
여성 |
30 |
478 |
31 |
79 |
|
연 령 |
80세~ |
4 |
86 |
1 |
6 |
70-79 |
16 |
259 |
15 |
41 |
|
60-69 |
29 |
349 |
19 |
59 |
|
50-59 |
12 |
219 |
11 |
40 |
|
40-49 |
9 |
110 |
6 |
18 |
|
30-39 |
3 |
47 |
8 |
12 |
|
20-29 |
1 |
26 |
1 |
5 |
|
12-19 |
2 |
43 |
5 |
15 |
|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누적)확진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대응 권역별 병상 현황(생활치료센터 포함)
3. 먹는 치료제 사용 및 재고 현황 (8. 11. 18시 기준)
4. 해외 주요 국가 방역 현황 통계
5. 코로나19 후유증 안내문
6. 코로나19 후유증 Q&A
7.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①
8.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②
9. 재택치료 안내문
10. 재택치료자 동거인 안내문
11. 유전자검사(PCR) 우선순위 대상 안내문
12. 개인방역 6대 중요 수칙
13. 기저질환자 및 면역저하자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4차접종)
14. 청소년 심근염·심낭염 진료 안내문(의료인용)
15. 코로나19 4차접종 안내문
16. 코로나19 4차접종(3차접종 포함) 안내문
17. 코로나19 3차접종 안내문
18. 코로나19 기초접종 안내문
19. 코로나19 소아·청소년 예방접종 안내문
20. 코로나19 외국인 예방접종 안내문
21.「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이 자료는 질병관리청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광복 77주년 계기 '시간과 공간' 역사 이야기공연 개최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소상공인 '전기·가스·수도요금 지원' 근거 마련…22일부터 시행
-
전국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7월부터 최대 300만 원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예금보호한도' 9월부터 1억 원…이달부턴 수영장·헬스장도 소득공제
-
9급 공무원 시험, 2027년부터 과목별 문항 20→25개로 늘린다
-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7월 3일 '타운홀미팅' 방식으로
-
이 대통령 "민생 고통 덜어내고 다시 성장·도약하는 나라 만들 것"
-
정부, 한우 50% 할인·배추 전량 방출…휴가철 바가지요금 집중 관리
-
31조 8000억 원 규모 추경 국회 통과…소비쿠폰, 이달 1차 선지급
-
7월부터 '양육비 선지급제' 시행…미성년 자녀에 월 20만 원 지원
최신 뉴스
-
건설경기 회복·서민 주거안정 추경 확정…1조 9000억 원 규모
-
전 국민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15만 원~45만 원 지급…7월 21일부터
-
고용안전망 보강·청년일자리 지원 등 추경 확정…1조 5837억 원
-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0.5% 상승
- 농식품부, 제44차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총회 참석
-
취약계층·소상공인 채무부담 완화 등 1조 1000억 원 추경 확정
-
산업부 추경 4456억원 확정…고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바로 시행
- 제29회 임시국무회의 브리핑
-
새 정부 첫 추경 국무회의 의결…이 대통령 "하루라도 빨리 집행"
- 행안부-지자체, 재해예방사업 추진 속도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