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1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동월 대비 4.0% 증가
- 오프라인 유통업체 0.5% 감소, 온라인 유통업체 9.1% 증가 - |
|
<‘23년 1월 기준 전년동월 대비 매출 증감률(%)> |
|
|
|
온·오프라인 매출 증감률 |
오프라인 업태별 매출 증감률 |

|

|
1. 전체 매출 동향
□ (전체 매출) 전년대비 이른 설 명절(2.1.→ 1.22.)로 인한 영업일수 감소 등으로 오프라인 부문(△0.5%)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온라인 부문(9.1%) 증가세(전년대비)가 지속되면서 전체 매출은 전년동월 대비 4.0% 상승
ㅇ (오프라인) 설 명절 휴점에 따른 방문객수 감소와 위생용품 등 생활/가정 분야 온라인 구입이 확대되면서 전체적으로 매출 부진
ㅇ (온라인) 해외여행 재개, 설 선물용 e쿠폰, 공연·행사 활성화 등에 따른 서비스/기타 분야의 상승세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매출 성장 기록
* 오프라인/온라인 매출규모(조원) : (’22.11월) 7.18 / 7.60 ⇒ (’22.12월) 7.66 / 7.42
⇒ (’23.1월) 7.51 / 7.20
<주요 유통업체의 전년동월 대비 월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22년 |
‘23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 |
전체 |
13.9 |
4.7 |
7.1 |
10.6 |
10.1 |
9.2 |
9.7 |
15.4 |
7.5 |
7.3 |
8.4 |
6.7 |
4.0 |
오프라인 |
18.4 |
△3.8 |
6.3 |
10.2 |
9.3 |
9.3 |
12.1 |
14.5 |
6.0 |
6.4 |
8.5 |
9.0 |
△0.5 |
온라인 |
9.1 |
14.2 |
7.9 |
11.0 |
11.0 |
9.1 |
7.3 |
16.4 |
9.1 |
8.2 |
8.3 |
4.3 |
9.1 |
□ (상품군별 매출) 가전/문화(4.7%)·서비스/기타(18.1%)의 매출은 상승하였으나, 생활/가정(△2.2%)·해외유명브랜드(△7.2%)의 매출은 하락
ㅇ (오프라인) 생활/가정(△10.0%)·해외유명브랜드(△7.2%)에서 매출이 하락하였으며, 아동/스포츠(6.7%)·서비스/기타(8.9%)는 매출 상승
- 해외유명브랜드는 '20.3월(△19.4%) 이후 처음으로 매출 감소세 기록
ㅇ (온라인) 아동/스포츠(△4.4%) 분야를 제외한, 가전/문화(6.1%)·식품(10.7%)·서비스/기타(27.3%) 등 대부분 품목군에서 매출 상승
<’23년 1월 전년동월 대비 상품군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가전/
문화 |
패션/
잡화 |
아동/
스포츠 |
식품 |
생활/
가정 |
서비스/
기타 |
해외유명
브랜드 |
전체
(비중,%) |
4.0
(100) |
4.7
(12.9) |
2.7
(12.2) |
△0.3
(4.5) |
3.5
(38.9) |
△2.2
(11.9) |
18.1
(14.7) |
△7.2
(4.9) |
오프라인 |
△0.5 |
△4.0 |
0.6 |
6.7 |
0.0 |
△10.0 |
8.9 |
△7.2 |
온라인 |
9.1 |
6.1 |
4.6 |
△4.4 |
10.7 |
4.1 |
27.3 |
- |
□ (구매건수·구매단가) 편의점을 제외한 모든 오프라인 매장의 구매건수 및 구매단가가 감소했으며, 구매건수는 대형마트(△3.4%)·SSM(△3.5%)이 감소폭이 컸고, 구매단가는 백화점(△3.3%)의 감소폭이 가장 큰 것으로 집계
<’23년 1월 오프라인* 부문 구매건수·단가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구매건수 |
5.3 |
△3.4 |
△0.5 |
7.7 |
△3.5 |
구매단가 |
△5.6 |
△0.4 |
△3.3 |
0.7 |
△1.1 |
* 온라인은 구매건수를 집계하지 않고 있어 통계자료에 미포함
□ (업태별 매출 비중) 전년 동월 대비 온라인 매출 비중 증가(2.3%p)
ㅇ 오프라인 업태 중 대형마트(△1.4%p)·백화점(△1.3%p)·준대규모점포(△0.3%p)의 매출 비중은 줄고, 편의점(0.6%p)은 소폭 증가
|
<’22년 vs. ’23년 1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
|
|
’22년 1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23년 1월 업태별 매출구성비 |

|

|
2. 유통업체별 매출 동향
□ 전년 대비 이른 설 명절로 인한 영업일수 감소 등으로 편의점(8.4%)을 제외한 대형마트(△3.8%)·백화점(△3.7%)·SSM(△4.5%)의 매출이 감소하면서, 오프라인 전체 매출은 0.5% 감소
ㅇ (대형마트) 스포츠(2.8%)·잡화(0.7%)·의류(0.2%) 품목군에서 소폭 증가했으나, 가정/생활(△6.9%)·가전/문화(△4.0%)·식품(△3.8%) 등 대부분의 품목군에서 감소세를 보이며 전체 매출은 3.8% 감소
ㅇ (백화점) 소비심리 위축 및 해외여행 재개 등으로 해외유명브랜드(△7.2%) 매출이 감소하였으며, 가정용품(△18.4%)·여성정장(△3.4%) 등이 부진하면서 전체 매출은 3.7% 감소
ㅇ (편의점) 명절 연휴 방문객수 증가로, 잡화(23.7%)·생활용품(19.5%) 등 전 품목에서 매출이 상승하면서 전체 매출은 8.4% 증가
ㅇ (준대규모점포) 환율 하락으로 수입산 매출이 감소한 농수축산(△7.2%)을 비롯, 전 품목의 매출이 떨어지면서 전체 매출은 4.5% 감소
<’23년 1월 오프라인 업태별 전년동월 대비 매출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매출 증감률 |
△0.5 |
△3.8 |
△3.7 |
8.4 |
△4.5 |
□ (점포당 매출) 대형마트(△2.5%)·백화점(△3.7%)·편의점(△0.4%)·SSM(△3.5%) 등 모든 업태에서 감소
ㅇ (점포수) 편의점(8.9%)이 크게 늘고, 대형마트(△1.3%)·SSM(△1.1%)은 소폭 감소
<’23년 1월 전년동월 대비 점포당 매출 및 점포수 증감률 (단위 : %)>
구분 |
전체 |
대형마트 |
백화점 |
편의점 |
SSM |
점포당 매출 증감률 |
△3.6 |
△2.5 |
△3.7 |
△0.4 |
△3.5 |
점포 수 증감률 |
8.5 |
△1.3 |
0.0 |
8.9 |
△1.1 |
□ 설 선물용 e-쿠폰, 해외여행 상품 등 판매 호조가 지속되면서 서비스/기타(27.3%) 매출 상승세가 유지되었고, 다양한 할인행사로 화장품(12.2%) 매출이 증가하면서 온라인 전체 매출은 9.1% 증가
ㅇ 선물세트·냉동 간편식 등의 판매 호조로 식품(10.7%) 매출이 증가했으며, 일부 업체들의 직매입 및 특가 판매 등 마케팅 전략으로 가전/전자(6.5%) 분야 매출 상승
<‘23년 1월 상품군별 전년동월 대비 매출증감률·매출비중 (단위 : %)>
구분 |
전체 |
가전
전자 |
도서
문구 |
패션
의류 |
스포츠 |
화장품 |
아동
유아 |
식품 |
생활
가구 |
서비스기타 |
매출증감률 |
9.1 |
6.5 |
1.2 |
0.2 |
△7.7 |
12.2 |
△1.7 |
10.7 |
4.1 |
27.3 |
매출비중 |
100.0 |
21.0 |
2.0 |
7.8 |
2.4 |
5.1 |
3.1 |
28.0 |
14.3 |
1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