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정병하 극지협력대표, 2025 북극서클총회 참석

2025.10.19 외교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정병하 외교부 극지협력대표는 2025.10.16.(목)~18.(토)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개최된 2025 북극서클총회(Arctic Circle Assembly)*에 참석했다. 이번 총회에는 북극권 주요국 정·관계 인사를 비롯한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북극 기후·환경 문제 대응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 2013년 이래 매년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개최되는 북극 관련 최대 국제 포럼으로, 정부, 기업, 연구기관, 원주민 공동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여 기후변화, 과학기술 연구, 지속가능한 발전 등 북극 이슈를 폭넓게 논의

  - 금년 총회 주요 참석자 : ▴크리스트륀 프로스타도티르(Kristrún Frostadóttir) 아이슬란드 총리, ▴라스 뢰케 라스무센(Lars Løkke Rasmussen) 덴마크 외교장관, ▴엘리나 발토넨(Elina Valtonen) 핀란드 외교장관 ▴리사 머코우스키(Lisa Murkowski) 미국 연방의회 상원의원 등


  이번 총회의 본 행사(Plenary Session) 중 하나인 "북극의 해빙 : 아시아의 미래(Melting Arctic : Asian Futures)" 세션에는 올라푸르 그림슨(Ólafur Grímsson) 북극서클총회 의장의 주재하에 간 시오 황(Gan Siow Huang) 싱가포르 외교부 국무장관의 개회사와 함께 정병하 극지협력대표, 다카하시 가츠히코(Takahashi Katsuhiko) 일본 북극대사, TVN 프라산나(TVN Prasanna) 인도 NSC 해양안보비서관, 리 샹펑(Li Xiangfeng) 중국 외교부 조법사 참사관이 패널로 참석하여 북극의 미래를 위한 아시아 국가들의 역할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정 대표는 북극 과학연구 활동 및 북극권 국가와의 양·다자 협력 등 그간 우리나라의 성과와 북극항로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소개하며 북극 기후·환경 현안 해결을 위한 기여 의지를 강조했다.


  또한, 정 대표는 동남아연구소(ISEAS) 및 트롬쇠대학(UiT)이 주재하는 "변화하는 북극 지정학 – 인도태평양의 관점(The Changing Geopolitics of the Arctic – Views from the Indo-Pacific)" 제하 분과세션에도 참석하여 평화롭고 안정적인 북극 환경 조성을 위한 유사입장국간 협력과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아울러, 정 대표는 친환경 북극 해운 및 신진 북극 연구자 교류 등과 관련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극지연구소(KOPRI), 한국북극연구컨소시엄(KoARC) 등 우리 연구기관 주재 세션 축사를 통해 북극의 변화에 대응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과학적 논의와 신진 과학자들간 네트워크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우리 정부는 앞으로도 북극의 평화적 이용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북극권 및 유관 국가들과의 협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다.


붙임 : 행사 사진. 끝.

“이 자료는 외교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이전다음기사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