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역사 중 가장 영향력 높은 사건은 무엇일까? 미국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르네상스, 종교개혁, 산업혁명, 시민혁명보다 더 큰 사건은 바로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인쇄술이다.
구텐베르크는 1455년 금속활자를 발명해 ‘구텐베르크 성경’ 180부를 인쇄했다. 이 인쇄술은 당시 비싸고 구하기 힘들어 보급되지 못했던 필사본을 오타가 없이 짧은 시간에 인쇄해 지식과 정보의 보급에 앞장섰던 계기가 됐다.
![]() |
---|
다양한 부스를 통해 우리의 전통 직지를 알리고 있다. |
그런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보다 78년이나 빠른 금속활자가 청주에서 발견됐다. 정식명칭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다.
고려시대 승려인 경한이 불교에서 말하는 선의 요체가 무엇인지를 깨닫는 데 필요한 내용을 정리해 엮은 책인 직지는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만들어진 현존 최고(最古) 금속활자본으로 200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본래는 상, 하권으로 구성된 책이지만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하권만 남아있다.
그런 직지의 정신을 이어받기 위한 만남이 청주에서 열렸다. 지난 9월 1일부터 8일까지 고인쇄박물관과 청주예술의전당 일대에서 직지코리아국제페스티벌이 열렸다. 직지의 시간적·역사적 가치보다 창조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계승하고자 ‘직지, 금빛 씨앗’을 주제로 11개국 35개 팀의 아티스트가 직지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들을 선보였다.
![]() |
---|
시민들이 기부한 책으로 만들어진 책의정원. 직지의 글자수만큼 책을 모아 전시했다. |
전시장 입구에는 시민들이 기증한 책으로 만들어진 책의 정원이 우릴 맞는다. 시민들의 책 모으기 캠페인으로 기증받은 책 2만9183권으로 미로처럼 된 프랑스식 정원을 표현했다. 이 책의 권수는 직지 활자수인 2만9183자를 상징한다.
책을 직접 기부했다는 최윤정 씨는 “집에서 안 읽는 책을 기부했다. 지금처럼 쉽게 원하는 책을 구할 수 있게 된게 생각보다 오래되지 않았다는 점이 신기하다. 이번 페스티벌을 통해 직지가 굉장한 사건이었음을 다시 깨닫게 됐다.”고 전했다.
이번 전시의 포인트는 유물부터 미디어아트까지 소재의 구분이 없이 다양한 작품들이 전시됐다는 점이다. 작가들은 파빌리온, 유물, 회화, 설치미술, 사진, 스테인드글라스, 미디어 아트, VR 등 다양한 형태로 직지를 표현했다.
![]() |
---|
임인호 금속활자장의 작품. 우리 선조들처럼 한자한자 만들어 인판을 재연해냈다. |
특히 전시실 1층 대전시실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01호 임인호 금속활자장이 복원한 인판이 전시됐다. 조선의 첫 금속활자 ‘계미자’와 세종 16년(1434)때 만들어진 ‘갑인자’도 볼 수 있었다.
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직지의 금속활자판을 시작으로 왕실목활자, 훈련도감자, 한글 활자, 활자로 인쇄한 특별한 책 등 다양한 인판이 전시돼 있었다.
임인호 활자장의 시연에도 참석했었다는 박현주 씨는 “금속활자 주조 시연을 통해 활자 하나하나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니 참 힘들게 하나의 글자를 얻는구나 싶었는데 이렇게 복원된 인판을 보니 더욱 뜻깊다.”며 “앞으로도 전통 인쇄술에 관심을 갖고 바라봐야겠다.”고 말했다.
![]() |
---|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인쇄기. 아래에 활자판을 넣어 압착하는 방식이다. |
인판 뿐만 아니라 구텐베르크의 인쇄기도 함께 볼 수 있어 더욱 뜻깊다. 실제로 프레스 방식으로 42행 성서 요한복음 1장 15절 낱장을 찍어보며 고대 서양의 인쇄술은 어떻게 진행됐는지 한눈에 볼 수 있었다.
전통적인 인쇄방법을 직접 볼 수 있었던 것도 특별하지만 다양한 미디어 전시도 눈길을 끌었다. 활자를 미디어로 표현한 것은 색다른 경험이었다.
유리창을 가득 메운 스테인드글라스는 햇빛에 비쳐서 아름다운 글자를 내보였다. 특히 VR로 즐기는 활자가 가장 인기가 높았다. 머리위에 헬멧을 쓰고 즐기는 활자는 단순히 글자가 아니라 하나의 그림처럼 느껴졌다.
![]() |
---|
시민들이 늦은 시간까지 고려시대의 주막체험을 즐기고 있다. 멍석 위에 앉아 한잔 기울이는 막걸리의 맛을 즐기고 있다. |
다양한 부대행사도 이어졌다. 고인쇄박물관 주차장에 들어선 ‘1377고려, 저잣거리’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초가부스로 옛 저잣거리를 재현한 고려 저잣거리에는 환복소가 마련돼 고려 복장으로 갈아입을 수 있다. 또한 민화 그리기, 한지 공예, 서예 등 다양한 전통체험과 바닥에 깔린 멍석 위에 앉아 주전부리도 즐길 수 있었다.
![]() |
---|
다양한 부스에서 책과 인쇄술에 대한 정보를 전달했다. |
2004년 직지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유네스코 직지상은 올해로 6회를 맞았다. 올해는 중남미 국가들이 기록유산 보존 등을 협력하기 위해 1999년 공동 설립한 ‘이베르 아카이브’가 선정됐다. 이들은 중남미 지역에서 기록 유산 보존과 교육 등에 끼친 영향이 높이 평가받아 직지상을 받았다.
활자는 지금도 늘 우리 곁에 있다. 배움과 뜻을 함께하고 나누기 위해 발전해온 인쇄술은 인류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서양과 동양의 첫 인쇄물이 종교의 가르침이라는 것도 의미가 있다. 깨우치고 배운 것을 나누기 위해 발전해온 활자는 앞으로도 더 큰 의미를 담기 위해 발전해 나갈 것이다. 직지 속에 담긴 의미는 세상을 사랑하기 위한 애민정신이 아니었을까.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권혁미 fivewoo@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포장 줄이니까 깔끔하쥬?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