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오늘은 순국선열의 날입니다!

[오피니언] 11월 17일 ‘순국선열의 날’ 맞아 돌아본 보훈 의식

2016.11.17 정책기자 조수연
글자크기 설정
목록

11월 17일, 누군가 당신에게 ‘이 날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가?’라고 묻는다면, 쉽게 대답할 수 있을까? 아마도 대다수의 사람들은 고개를 젓거나 모른다고 답할 것이다. 바쁜 일상 속에서 쉽게 지나칠 것 같은 11월 17일은 제2의 현충일이라고 불리는 ‘순국선열의 날’이다.

순국선열의 날은 일본의 조선 침략과정과 일제강점기 때 조국의 광복을 위해 항거하고 헌신한 독립운동가 가운데 순국선열(殉國先烈)의 숭고한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법정기념일이다.

순국선열은 국가보훈처에서 ‘일제의 국권 침탈 전후로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 국내외에서 일제의 국권 침탈을 반대하거나 독립운동을 하기 위하여 항거하다가 그 항거로 인하여 순국한 자로서 그 공로로 건국훈장, 건국포장 또는 대통령표창을 받은 자’로 정의하고 있다.

작년 순국선열의 날에 맞춰 진행된 사전행사 모습 (출처 : 국가보훈처)
지난해 순국선열의 날에 맞춰 진행된 사전행사 모습.(출처=국가보훈처)


정의를 살펴보면 약간 이해하기 어려울 것 같지만, ‘독립운동을 하다 순국한 자 중에서 국가로부터 표장을 받은 자’로 이해하면 쉽다. 대표적으로 이봉창 의사와 윤봉길 의사,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대명사인 이회영 선생 등이 있다. 그렇다면 왜 순국선열의 날은 11월 17일이 됐을까?

11월 17일은 순국선열의 날이자 일제에게 외교권을 빼앗긴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된 날이다. 외교권을 빼앗겨 을사조약 이후 외국에서 대한제국이라는 국가가 사라져버렸다.

이에 임시정부는 1939년 11월 21일, 임시의정원 제31회 임시총회를 개최했는데, 지청천 장군 등이 11월 17일을 ‘순국선열공동기념일(殉國先烈共同記念日)’로 제안했다. 을사조약의 치욕을 잊지 말자는 것이었다. 이 날은 1997년에 국가기념일로 제정돼 정부가 행사를 주관하고 있다.

필자는 보훈처 기자로 활동하며 올해 수많은 순국선열들의 추모식 현장을 누볐다. 3·1운동의 성지라고 불리는 탑골공원에서 3·1독립운동 희생선열 추념식을 시작으로 윤봉길 의사의 의거일(1932년 4월 29일)에 맞춰 매헌 윤봉길 의사 기념관 취재를 다녀오기도 했다.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고 있는 박승춘 국가보훈처장과 국민들.


국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으로 장안과 낙양, 한단 등을 다니며 중국에 묻혀있는 윤세주, 진광화 열사의 묘소를 돌아보기도 했고,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터와 조선의용군이 활동했던 지역을 돌아다니며, 항일무장투쟁에 대해 자세히 배웠다. 최근에는 강우규 의사 의거 기념식과 이봉창 의사 추모식에 참석했다.

지난 10월 10일에 진행된 이봉창 의사 추념식
지난 10월 10일에 진행된 이봉창 의사 추념식.
 

추모식과 기념식은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3·1운동 기념식에서 다 같이 만세삼창을 했을 때는 가슴이 뭉클해졌고, 매헌 윤봉길 의사 기념관 취재를 할 때는 서울 양재 시민의 숲 인근에 이런 기념관이 있었다는 사실을 너무 늦게 알아 부끄러웠다.

국외독립사적지 탐방으로 중국에 다녀오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도 독립운동가의 발자취가 담겨있는 사적지가 많다는 사실을 알았고, 이들이 조국의 광복을 위해 목숨 바친 사실을 널리 알려야겠다고 생각했다.

중국 한단에 위치한 조선의용군열사기념관
중국 한단에 위치한 조선의용군열사기념관
 

이렇듯 많은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바탕으로 오늘날 우리가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필자가 취재하러 갈 때마다, 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연세가 지긋한 어르신들이었고, 필자 또래의 청년들이 거의 없어 씁쓸하기도 했다.

강우규 의사 의거 97주년 기념식후 찍은 단체사진. 청년들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강우규 의사 의거 97주년 기념식후 찍은 단체사진. 청년들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국가보훈처는 올해 ‘보훈은 살아 있는 사람의 책임, 호국은 우리 모두의 의무’라는 슬로건으로 호국보훈의 달에 많은 순국선열 및 호국영웅들을 알렸다.

위 슬로건에서 보다시피 보훈은 살아 있는 우리의 책임이다.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조국의 광복을 차마 보지 못하고 순국한 모든 순국선열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다. 추모와 존경을 표하는 우리의 작은 행동이 조국의 광복을 위해 거룩한 희생을 한 순국선열들에게 갖춰야 할 최소한의 예의이다.



조수연
정책기자단|조수연
gd8525gd@naver.com
대학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꿈에서 10살 아빠를 만났어요~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