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2018 평창 패럴림픽 데이가 개최된 강릉 컬링센터 앞. |
패럴림픽 데이는 패럴림픽 정신 확산과 장애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에서 창안해 2003년부터 시작된 특별 행사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5년 서울 광화문과 2016년 춘천 의암빙상장에서 제1, 2회 행사가 각각 진행됐으며, 2018 평창패럴림픽대회를 국민들에게 알리는 효과를 거뒀다.
패럴림픽 데이의 한국 홍보대사를 맡고 있는 전 피겨스케이팅 국가대표 김연아 선수가 초청인사로 소개돼 관중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
동계패럴림픽은 앞서 진행되는 동계올림픽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중의 관심이 적었다. 한계를 뛰어넘는 열정을 가지고 세계적인 무대에 올라온 패럴림픽 선수들에게도 대중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우리가 알지 못했던 패럴림픽 시작과 종목 등 수십 년간의 노력으로 이어져온 이야기에 대하여 한번 알아보자.
‘패럴림픽’은 선천적 요인이나 불의의 사고와 같은 후천적 요인으로 신체적,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운동선수로 참가하는 국제 스포츠 대회이다. 패럴림픽은 ‘함께’ ‘나란히’ 라는 의미를 가진 그리스어 ‘para’가 어원인 ‘Parallel’과 ‘Olympic’이 결합된 용어로 나란히 함께하는 올림픽 대회를 뜻한다.
패럴림픽은 70년 전부터 시작됐다. 1948년 루트비히 구트만 박사는 스토크 맨더빌 병원에 척추손상센터를 만들고 2차 세계대전의 피해로 하반신이 마비된 군인들을 치료했다. 효과적인 재활방법을 고민하다 스포츠를 선택했는데, 재활을 받는 군인들이 운동을 하면서 성격도 쾌활해지고 사회성, 협동심이 높아지는 것을 보게 됐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트만 박사는 2차 세계대전에서 척수 부상을 입은 참전 용사를 위해 올림픽 대회와 같은 경기를 열었고 이것이 패럴림픽의 시초가 됐다. 이후로 1960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제1회 하계패럴림픽이 열렸고, 1976년 스웨덴 오른스퀄드빅에서 제1회 동계패럴림픽이 개최됐다.
제1회 동계패럴림픽대회 모습.(출처=IPC 홈페이지)
현재는 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IPC)에서 패럴림픽 대회와 패럴림픽 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IPC에서는 공정한 경기를 위해 장애기능 등급 분류시스템을 도입하여 참가 자격을 제한, 관리하고 있다. 각 종목에 따라 필요한 능력이 다르고 장애를 가지고 있다 해도 똑같이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종목별로 등급을 나누고 있다.
2016년에 앞서 개최된 리우패럴림픽대회와 내년에 개최될 평창패럴림픽대회를 살펴보면 흥미로운 종목들이 다양하다. 먼저 하계패럴림픽에서는 19개 종목이 있으며 대표적인 종목으로는 골볼과 보치아가 있다. 동계패럴림픽은 하계에 비해 종목은 6개로 적지만 인기가 급부상한 종목들이 대다수다. 그 중 대표적으로 휠체어컬링이 근래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제3회 패럴림픽 데이가 개최된 강릉 컬링센터 앞에 설치된 보치아 체험장에서 행사 참여자들이 안내에 따라 체험을 하고 있다.
하계패럴림픽의 대표 종목인 ‘보치아’ 는 뇌성마비 장애인과 중증장애인을 위한 대표적인 장애인 스포츠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공 던지기 경기에서 유래된 보치아는 표적이 되는 잭볼에 공을 가깝게 던지는 팀이 이기는 경기이다. 주심 주관 아래 투구 구역을 정한 뒤 표적구를 향해 공을 먼저 투구한다. 자신의 공이 상대방의 공보다 표적구에 더 가까이 있는 경우에 득점이 인정되며, 엔드가 모두 끝난 후 각 엔드에서 획득한 점수를 모두 합하여 총 득점이 많은 쪽이 승자가 된다.
제3회 패럴림픽 데이 행사와 연계하여 이어진 ‘2017 세계휠체어컬링선수권대회’에서 휠체어컬링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이 상대팀 미국과 접전을 벌이고 있다. |
기존의 컬링과 가장 큰 차이는 휠체어를 타고서 손 대신 보조기구인 익스텐더 큐로 스톤을 투구하고빗자루 질을 하는 스위퍼가 없다는 점이다. 투구 시 팀원 중 1명은 휠체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표적판(하우스)으로 스톤을 밀어 보낸 후 어느 팀이 과녁 중심에 더 가까이 위치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결정된다.
필자는 현장에서 휠체어컬링 경기를 보며 이 종목이 왜 ‘얼음 위에 체스’ 라고 불리는지 알 수 있었다. 기본 기술 및 체력이 충분히 뒷받침 된 상태에서 상대팀과 불꽃 튀기는 작전 대결을 펼치기 때문이다.
상대팀의 스톤을 밀어냈을 때는 환호를 지르고 스톤이 과녁에 못미칠 때는 아쉬워하며 자신도 모르게 경기에 집중하게 만드는 묘미가 있었다.
제3회 패럴림픽 데이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유동훈 제2차관이 축사 연설을 하고 있다. |
문화체육관광부 유동훈 제2차관은 축사 연설로 “2018 평창패럴림픽은 선수와 관람객 모두가 불편 없이 대회에 참여하는 ‘배리어프리(barrier free)’를 목표로 한다. 이에 장애인들이 대회 시설과 식당, 화장실 등 다양한 시설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개선하고 있다.”라며, “앞으로 1년 남은 평창패럴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국민 여러분의 관심과 성원을 모아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그동안 국내에서 각광받지 못했던 패럴림픽. 이번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을 통해 패럴림픽 선수들에게도 관심과 응원을 보냈으면 한다. 또한 선수들의 열정을 보며 평소에 가지고 있던 장애에 대한 편견을 버리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신우철 tlsdncjf5647@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청년과 중소기업이 더 잘 만날 수 있도록~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