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강릉단오제서 신명나게 즐기는 평창동계올림픽~

천 년의 역사를 가진 축제 ‘강릉 단오제’ 현장을 가다

2017.05.29 정책기자 박지은
글자크기 설정
목록

유네스코가 지정한 인류문화유산이자 천 년의 역사를 가진 축제, ‘강릉단오제’가 지난 27일 개최됐다. 특히 올해 단오제는 좀 더 특별하게 준비되고 마련됐다. 바로 내년 2018 평창동계올림픽과 연계한 문화올림픽 일환으로 열리고 있기 때문이다. 

강릉단오제 관계자는 “한국의 대표 축제로써 문화올림픽 성공개최에 일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에 맞게 이번 강릉단오제의 슬로건은 ‘소망을 담은 열정, 올림픽 성공 개최’다.

어떻게 하면 더 재밌고 특별하게 강릉단오제를 즐길 수 있을까. 그 현장으로 직접 가보았다.

올림픽성공개최를 기원하는 부스 문구
올림픽성공개최를 기원하는 부스 문구.
  

벌써부터 많은 관광객들로 북적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었던 포스터. 다른 지역에서 온 사람들, 그리고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오는 큰 행사일수록 그들에게 친절을 베풀고, 미소와 함께 질서있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매년 열리던 단오제와 이번 단오제의 가장 큰 차이점을 꼽으라면 역시 2018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여러 행사 부스들이 설치됐다는 점이다. 

1

강릉 과학 올림픽 홍보 체험관 입구




강릉 과학·올림픽 홍보 체험관 입구.


단언컨대 사람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보였던 곳은 과학·올림픽 홍보 체험관이었다. 내년에 열릴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주 종목들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마련됐다.

컬링 체험
컬링 체험.


각 체험 부스마다 종목 소개를 볼 수 있게 해놓았고 특히 아이들은 이제까지 텔레비전에서만 봐왔던 경기들을 실제로 해볼 수 있어 적극적으로 참여를 했다. 

1
사격 체험
사격 체험.


어려울 것 같다고 두려워 할 필요가 없다. 봉사단 학생들의 도움으로 마치 선수가 된 것처럼 체험이 가능하다.

컬링 체험
아이스하키 체험.
 

이렇게 다양한 종목의 부스들이 있으니 사람들이 북적일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오직 2017년 단오에서만 느낄 수 있는 생생한 스포츠 체험을 해봄으로써 올림픽 성공 개최를 응원해보자.

VR로 즐기는 스키점프
VR로 즐기는 스키점프.

  
가상현실에서 스키점프를 체험해 볼 수 있는 VR체험존도 마련됐다. 실제로 하기 어려운 종목들도 이렇게 VR을 통해서 남녀노소 즐길 수 있다. 더더욱 잊혀지지 못할 올림픽 단오가 될 것 같다.

평창올림픽 마스코트 핀버튼 만들기 체험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 핀버튼 만들기 체험.


과학·올림픽 체험관에서 빠져나오니 또 하나의 올림픽 체험부스가 눈에 들어왔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 반다비! 위 사진과 같이, 본인이 직접 색칠하고 꾸며서 마스코트 핀버튼을 만들어 볼 수 있다. 아이들의 손에서 펼쳐지는 평창의 미래가 밝다!

수리취떡 맛보기
수리취떡 맛보기.
 

강릉단오제하면 역시 빠질 수 없는 수리취떡. 가정의 화목과 평안, 행복을 기리면서 수리취떡을 맛보자. 진정한 강릉 단오의 본질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다.

관노가면극
관노가면극.


신주빚기, 대관령 산신제, 대관령국사성황제, 구산 서낭제, 학산 서낭제, 봉안제, 영신제, 영신행차, 조전제, 단오굿, 관노가면극, 송신제, 소제 등 12개 분야 71개의 풍성한 프로그램이 열린다.

또한 2018인분의 수리취떡 퍼포먼스 시연, 2018명의 메시지로 잉어 조형물을 완성하는 체험 등 평창동계올림픽을 향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선보인다.

올해 강릉단오제는 문화올림픽 성공을 위한 첫 신호탄이 될 것이다. 이제 막 단오제가 시작됐다. 여러 굿들과 관노가면극, 다채로운 축제들이 많이 남아있다. 

아직 강릉단오제를 보지 못했다면 꼭 한 번 와서 신명나게 즐겨보길 바란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박지은 wldmsqkr03@naver.com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행복드림 앱은 만능 간장?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123대 국정과제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