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지만 대학가는 여전히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시험도 끝났고, 놀 시간만 남았는데 무슨 일이냐고 의문을 갖는 이가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지금 대학생들은 예전만큼 한가하지 않다. 역대 최악의 청년 실업난이 말해주듯 도서관에는 발 디딜 틈이 없다. 양손에 책과 노트, 연필을 쥐어진 채 분주하게 움직이는 이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숨죽이며 공부하는 자리에선 누구 하나 잡담하지 않는다.
![]() |
도서관에서 온라인 강의를 듣고 있는 사람들. |
열람실에 들어가 보니 책상에는 토익 책과 공무원 수험서 등이 널부러져 있다. 출판사만 다를 뿐 학생들이 공부하는 분야는 비슷해 보였다. 대부분 올 하반기 ‘반드시 취업’이라는 공통의 목표가 있었다. 바늘구멍 통과하기만큼 어려운 취업 성공을 위해 학생들의 열정은 방학에도 식을 줄 몰랐다.
어느 날 필자는 도서관에서 공부하고 있는 후배들에게 요즘 뭘 준비하냐고 물었다. 아니나 다를까 하나 같이 ‘취업 준비’였다. 대부분 열심히 공부하고 있지만 ‘이게 정답일까’ 라는 걱정이 많아 보였다.
김천 혁신도시에 있는 공공기관으로 취업을 희망하는 최 모 학생은 “공공기관에 이력서를 제출하려면 학점 4점대와 토익 800점, 관련 자격증 3개는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쟁쟁한 취업 준비생들과 비교하면, 아무리 준비해도 부족한 게 많은 것 같다.”고 털어놨다. 때문에 그는 “올 하반기까지 준비해보고 안되면 되는대로 취업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얼마 전 서울에 있는 한 회사에서 면접을 본 김 모 학생은 “함께 면접 본 사람들이 모두 서울권 학생들이었다. 괜히 자신감이 떨어져 내년에 대학원이라도 갈까 고민중이다.” 말했다.
학력을 무시할 수 없는 한국사회에서 ‘지방대’라는 꼬리표는 일종의 아킬레스건으로 통한다. 그래서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거나 자신의 역량보다 한 단계 낮은 회사에 지원하는 일이 흔하다.
초등학교부터 중·고등학교, 대학과 대학원까지 줄곧 지방에서 공부한 필자는 누구보다 지역 학생들의 사정을 잘 알고 있다. 처음에는 열정과 자신감이 있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불안감에 휩싸인 이들을 쉽게 볼 수 있다.
가령, 학생들 사이에선 어느 기업이 수도권 학교 졸업생만 뽑는다거나 특정 학교에 가산점을 준다 등의 이야기가 돈다. 대부분 근거 없어 보이지만 취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겐 괜한 걱정이 드는 건 사실이다. 면접에 떨어졌으면 ‘학교 탓’이라는 자조 섞인 목소리를 내는 학생도 있다.
공공기관, 취업시 학력기재 안 한다
후배들의 걱정을 조금이라도 해소할 방안이 추진될 예정이어서 눈길을 끌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2일 “올해 하반기부터 공무원이나 공공부문 채용할 때 블라인드 채용제를 실시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자기소개서에 기본적으로 적는 학력 칸을 없애 실력위주로 인재를 뽑는다는 취지다.
![]() |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블라인드 채용 관련 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출처=청와대) |
문 대통령은 구체적으로 “채용하는 분야가 일정 이상의 학력이나, 스펙, 신체조건을 요구하는 특별한 경우 외에는 이력서에 학벌이나 학력, 출신지, 신체조건 등 차별적 요인들은 일체 기재하지 않아야 한다.”며 “명문대 출신이나 일반대 출신이나, 서울에 있는 대학 출신이나 지방대 출신이나 똑같은 조건과 출발선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게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발맞춰 국회에서도 지난 23일 ‘블라인드 채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채용 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 이 개정안은 ‘차별적인 개인신상정보의 요구 금지’ 조항을 신설해 구직자에게 채용예정분야의 업무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정보를 요구할 수 없도록 했다.
학력, 출신지, 신체조건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신상정보들이 이에 해당되며 구인자는 이를 요구하거나 입증자료로 수집해서는 안 된다. 차별적 요인들을 걷어내 공정하고 객관적인 채용을 도모하자는 취지라고 할 수 있다.
공무원직 입사 시험에는 2005년부터 학력란을 기재하지 않도록 했고, 고용노동부도 2007년부터 학력, 성별, 출신지 등을 삭제한 표준이력서를 만들어 사용을 권고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도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에서는 이를 사용하는 곳이 드문 상황이다.
지방대 학생들, 기대감 커져
블라인드 채용에 대해 후배들도 반가워하는 눈치였다. 앞서 이야기를 나눈 김 모 학생은 “사실 지방대 학생들은 취업 정보를 얻는 것부터 쉽지 않다.”며 “기업들의 취업설명회가 대부분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개최되기 때문에 남들보다 발 빠른 취업 준비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고 말했다.
![]() |
카페에서 블라인드 채용 관련 대화를 나누고 있는 필자의 모습. |
최 모 학생은 “지역의 많은 공공기관들이 신입사원을 채용하면 대부분 수도권 사람들로 채워진다.”며 “이들은 막상 주말만 되면 서울로 가기 때문에 사실상 균형발전이 안 되는 것 같다는 소식을 접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가균형발전과 지역경제를 활성화를 위해 블라인드 채용을 많이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발표한대로 공공기관에서 블라인드 채용이 활성화 될 경우 우리사회의 고질적인 병폐인 ‘학벌논쟁’이 해소될 전망이다. ‘좋은 학교 나와야 성공한 선후배가 끌어준다’는 그들만의 공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블라인드 채용이 잘 정착되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을 쌓는 것 외에 다른 걱정거리가 생기지 않았으면 한다.
대한민국 정책기자단 이현주 ad_mvp@naver.com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생활 속 화학물질…안전한 사용 중요해요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